짜장면은 한국의 화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음식이지만 그렇다고 모든 화교가 다 외식업에만 종사한 것은 아니다. 중국과의 무역이나 상업에 종사한 상인도 있었고(華商), 노동자도 있었으며(華工), 채소 농사에 종사한 농부(華農)도 있었다. 중국 본토를 떠나 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화상, 화공, 화농을 통들어 ‘화교(華僑)’라 부른다.
사진가 김보섭은 지난 40년간 인천의 화교들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모습과 생활을 사진에 담아오며, 화교사회의 변천에 대한 자료를 모아왔다. 인천은 화교들이 본격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한 곳이며, 전국으로 퍼져나간 한국 화교들에게는 고향과 같은 곳이다. 나서 자라온 그곳에서 그는 중국인들이 살았던 청관(차이나타운)의 사회적 분위기를 체험할 수 있었고, 그것은 자연스럽게 그의 평생에 걸친 사진작업으로 연결되었다.
1995년 첫 사진집 『청관』과 이어서 2000년 화교 『한의사 강영재』를 두 번째 사진집으로 상재하고, 첫 번째 개인전(삼성포토갤러리, 1995)도 ‘인천 청관’으로 할 정도로 사진가 김보섭은 화교와 인연이 깊다. 이번 전시는 그동안의 작업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뜻깊은 전시이다. 『청관』작업에서 이미 보여주었던 인천 화교들뿐만 아니라 전국에 흩어져 살아가고 있는 화교들을 사진에 담았다. 지금은 아파트로 변해버린 부산의 화교마을 ‘충효촌’, 그리고 중화요릿집 인천의 ‘공화춘’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군산의 ‘빈해원’의 실내와 주방기구 사진 등이 처음 선보인다. 또한 화교들의 높은 교육열을 증명하듯이 전국에 산재해 있는 화교학교들을 찾아다녔다. 서울, 대전, 강경, 대구, 순천, 부산, 제주 등 화교 인구의 감소로 점차 쇠락해가는 화교학교의 마지막 모습을 기록했다. 그리고 화교들이 문화적 전통으로 지켜온 경극 가면과 배우들의 사진도 이번 전시에 처음 나온다. 직접 사진을 찍는 데 그치지 않고 졸업앨범 등 개인 소장품에서 수집한 옛 화교 사회의 사진도 볼 수 있다.
40여 년 동안 진행해온 김보섭의 한 이민집단에 대한 다양한 사진작업은 우리가 관심을 두지 않거나 피상적으로만 보아왔던 한국 화교의 변천사를 보여줌으로써 그들도 우리가 어깨를 마주하고 함께 살아가야 할 우리의 ‘가까운 이웃’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짜장면은 한국의 화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음식이지만 그렇다고 모든 화교가 다 외식업에만 종사한 것은 아니다. 중국과의 무역이나 상업에 종사한 상인도 있었고(華商), 노동자도 있었으며(華工), 채소 농사에 종사한 농부(華農)도 있었다. 중국 본토를 떠나 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화상, 화공, 화농을 통들어 ‘화교(華僑)’라 부른다.
사진가 김보섭은 지난 40년간 인천의 화교들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모습과 생활을 사진에 담아오며, 화교사회의 변천에 대한 자료를 모아왔다. 인천은 화교들이 본격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한 곳이며, 전국으로 퍼져나간 한국 화교들에게는 고향과 같은 곳이다. 나서 자라온 그곳에서 그는 중국인들이 살았던 청관(차이나타운)의 사회적 분위기를 체험할 수 있었고, 그것은 자연스럽게 그의 평생에 걸친 사진작업으로 연결되었다.
1995년 첫 사진집 『청관』과 이어서 2000년 화교 『한의사 강영재』를 두 번째 사진집으로 상재하고, 첫 번째 개인전(삼성포토갤러리, 1995)도 ‘인천 청관’으로 할 정도로 사진가 김보섭은 화교와 인연이 깊다. 이번 전시는 그동안의 작업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뜻깊은 전시이다. 『청관』작업에서 이미 보여주었던 인천 화교들뿐만 아니라 전국에 흩어져 살아가고 있는 화교들을 사진에 담았다. 지금은 아파트로 변해버린 부산의 화교마을 ‘충효촌’, 그리고 중화요릿집 인천의 ‘공화춘’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군산의 ‘빈해원’의 실내와 주방기구 사진 등이 처음 선보인다. 또한 화교들의 높은 교육열을 증명하듯이 전국에 산재해 있는 화교학교들을 찾아다녔다. 서울, 대전, 강경, 대구, 순천, 부산, 제주 등 화교 인구의 감소로 점차 쇠락해가는 화교학교의 마지막 모습을 기록했다. 그리고 화교들이 문화적 전통으로 지켜온 경극 가면과 배우들의 사진도 이번 전시에 처음 나온다. 직접 사진을 찍는 데 그치지 않고 졸업앨범 등 개인 소장품에서 수집한 옛 화교 사회의 사진도 볼 수 있다.
40여 년 동안 진행해온 김보섭의 한 이민집단에 대한 다양한 사진작업은 우리가 관심을 두지 않거나 피상적으로만 보아왔던 한국 화교의 변천사를 보여줌으로써 그들도 우리가 어깨를 마주하고 함께 살아가야 할 우리의 ‘가까운 이웃’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규상
사진가 김보섭은 지난 40년간 인천의 화교들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모습과 생활을 사진에 담아오며, 화교사회의 변천에 대한 자료를 모아왔다. 인천은 화교들이 본격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한 곳이며, 전국으로 퍼져나간 한국 화교들에게는 고향과 같은 곳이다. 나서 자라온 그곳에서 그는 중국인들이 살았던 청관(차이나타운)의 사회적 분위기를 체험할 수 있었고, 그것은 자연스럽게 그의 평생에 걸친 사진작업으로 연결되었다.
1995년 첫 사진집 『청관』과 이어서 2000년 화교 『한의사 강영재』를 두 번째 사진집으로 상재하고, 첫 번째 개인전(삼성포토갤러리, 1995)도 ‘인천 청관’으로 할 정도로 사진가 김보섭은 화교와 인연이 깊다. 이번 전시는 그동안의 작업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뜻깊은 전시이다. 『청관』작업에서 이미 보여주었던 인천 화교들뿐만 아니라 전국에 흩어져 살아가고 있는 화교들을 사진에 담았다. 지금은 아파트로 변해버린 부산의 화교마을 ‘충효촌’, 그리고 중화요릿집 인천의 ‘공화춘’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군산의 ‘빈해원’의 실내와 주방기구 사진 등이 처음 선보인다. 또한 화교들의 높은 교육열을 증명하듯이 전국에 산재해 있는 화교학교들을 찾아다녔다. 서울, 대전, 강경, 대구, 순천, 부산, 제주 등 화교 인구의 감소로 점차 쇠락해가는 화교학교의 마지막 모습을 기록했다. 그리고 화교들이 문화적 전통으로 지켜온 경극 가면과 배우들의 사진도 이번 전시에 처음 나온다. 직접 사진을 찍는 데 그치지 않고 졸업앨범 등 개인 소장품에서 수집한 옛 화교 사회의 사진도 볼 수 있다.
40여 년 동안 진행해온 김보섭의 한 이민집단에 대한 다양한 사진작업은 우리가 관심을 두지 않거나 피상적으로만 보아왔던 한국 화교의 변천사를 보여줌으로써 그들도 우리가 어깨를 마주하고 함께 살아가야 할 우리의 ‘가까운 이웃’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