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이주노동자들의 꿈을 응원하다
- 김정용 사진전 <개망초의 꿈>展, 9월 16일부터 류가헌
초여름이면 길가와 공터 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꽃 ‘개망초’. 숱하게 피어있는 탓에 귀히 여김 받지 못하고, 질이 떨어지거나 쓸모없는 것을 일컬을 때 사용하는 ‘개’자가 이름 앞에 붙었다. 머나먼 땅 북아메리카에서 건너와 우리 땅에 뿌리내린 귀화식물이다.
이 개망초처럼, 외국에서 건너온 이주노동자들은 우리 땅에 살지만 동시대의 이웃으로 인정받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그들 중 많은 수가 젊은이들이 떠나간 우리 농촌의 빈자리에서 ‘젊은 농부’로 논밭을 경작한다. 2만 명을 넘는다고 하니, 우리 농촌 노동력의 대부분을 이주노동자가 감당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사진가 김정용은 부모님이 농사를 지으시던 곳에서, 태국에서 온 이주노동자 앗 씨와 그의 부인 오잉 씨를 만났다. 이들 부부는 고국에 세 명의 자녀를 남겨둔 채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한국에서 농사일을 하고 있다. 월 평균 근무시간이 284시간에 신분은 미등록노동자(불법 체류자). 고국에 대한 그리움과 부모 없이 생활하고 있는 어린 자녀들에 대한 애틋함까지 더해진 이들의 삶은 결코 녹녹치 않다. 하지만, 앗 씨 부부는 미소를 잃지 않고 묵묵히 하루하루를 책임지며 살아간다.
김정용은 익숙한 풍경 속에서 이질적으로만 보였던 앗 씨 부부의 모습이 점차 친숙하게 느껴지면서, 언뜻 일상적이고 평화롭지만 어딘지 긴장감이 어려 있는 ‘불안한 미소’ 같은 그들의 삶을 기록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농산물을 수확하는 노동 현장의 모습부터 한국의 명소들이 찍힌 달력으로 도배된 생활공간의 풍경까지, 2012년부터 3년 여에 걸쳐 이 부부등 이주노동자들의 일상을 사진에 담기 시작했다.
노동자인 작가는 앗 씨 부부를 촬영하는 동안,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의 현실에도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들의 역할이 아니면 농사일은 물론 마을 자체의 지탱이 어려울 정도인데도 근로기준법과 고용허가제 등의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자신이 자주 얼굴을 마주치면서 그들에게 친숙해졌듯이, <개망초의 꿈>을 통해서 사람들이 외국인 이주노동자들과 그들의 삶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을 키워갈 수 있기를 바란다.
“귀화식물 개망초가 이제는 전국 어디를 가나 우리 들녘에 피어나 고향의 풍경을 만들어주는 것처럼 이국땅에서 힘들게 살아가며 미래의 꿈을 키워가는 그들의 삶을 응원하고 싶습니다.”
김정용 사진전 <개망초의 꿈>은 9월 16일부터 사진위주 갤러리 류가헌에서 만날 수 있다.
전시 문의 : 류가헌 02-720-2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