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숙 | 김인숙에게 사진은 '만남'이다. 그 끊임없는 만남의 흔적을 사진과 영상, 설치 오브제로 시각화하는 그는 이번 전시에서 와 연작을 선보인다. 대학 재학 시절인 2001년부터 아직까지도 현재 진행 중인 이 프로젝트는 그의 작품 세계의 근간을 이룬다. 사진의 배경인 일본의 기타오사카조선초중급학교는 남북한 출신을 가리지 않고 한국인 후손들이 함께 다니는 조총련계 학교이다. 교실 곳곳에 북한의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시각적 장치들이 특별한 배경을 제공하지만,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은 순수와 호기심의 시절을 살아가는 여느 학교의 학생들과 다를 바 없다. 작가는 ‘조선학교’라는 적절치 않은 별칭이 풍기는 이념과 인종주의적 색채가 무색하게 북한과 남한, 그리고 일본이 자연스럽게 공존하는 풍경에 주목한다. 한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작가 역시 조총련계 학교 출신이었기에, 국가도 이데올로기도 뛰어넘어 애정 어린 시선으로 학생들의 달콤한 찰나의 순간을 조명하고 있다.
여지 | 종교처럼 신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외모 지상주의에서 영감을 얻은 여지는 성형수술을 주제로 다큐멘터리 사진 형식의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그의 시리즈는 성형수술 직후 회복기에 있는 여성들의 적나라한 모습을 담는다. 작가는 5년 이상 성형 중독에 시달리고 있는 20대 여성을 물색하고 직접 찾아가 마치 기록 사진 작업을 하듯이 성형의 현장을 추적해 들어간다. 성형의 전과 후 그 사이에 놓인 일종의 무의미한 ‘과정’의 시간을 견뎌내야 하는 여성들의 멍 들고, 흉 지고, 실밥 자국이 선연한 얼굴과 몸에 앵글을 들이댄다. 초점 잃은 눈동자에 불편한 듯 생각 없이 침상에 누운 그리고 모습, 그리고 얼굴에 붕대를 두른 채 창 밖을 응시하는 시선과 몸짓은 이리저리 기워진 그녀들의 육신 이상으로 메시지를 던진다. 성형수술 직후의 여성들의 표정과 심리를 읽어낸 작가는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 그녀들의 사적인 시공간을 그대로 노출함으로써 아름다움에 대한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오늘의 세태를 비판한다.
이지양 | 이지양은 사회적으로 체계화되고 제도화된 현실 그 너머를 바라보고 의문을 던지는 행위에서 작업의 모티브를 삼는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그의 <중력>시리즈는 다양한 직업군의 인물들을 제시한다. 제복으로 신분을 내세운 사진 속 인물들은 경찰, 소방관, 약사, 편의점 직원, 학생 등 다양하다. 하지만 무언가 불편한 듯 힘겨운 기색이 역력한데, 그 이유는 바로 작가가 이들을 거꾸로 매단 채로 사진을 찍었기 때문이다. 거꾸로 매달린 자의 거꾸로 된 그의 사진은 바짝 올라간 어깨와 부릅뜬 눈으로 보통 인물 사진과 매우 다른 느낌을 선사한다. 작가는 사회적인 합의에 의해 마련된 규정의 하나인 제복을 입은 인물들을 거꾸로 매닮으로써 제복이 아닌 자신의 고유한 힘을 통해 외부적인 힘인 중력을 견디고 있는 장면을 연출한다. 사회와 제도에 순응하면서 겪는 무게를 잠시라도 내려놓은 채 자기 자신에게 더 집중하길 바라는 작가의 바람을 중력 저항이라는 물리적인 체험으로 제시한다. 바로 중력 앞에서 우리는 그저 똑같은 인간일 뿐이며, 이것이 오히려 진실한 우리의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