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59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기간 2015. 6. 6 ~ 8. 19
전시장소 고은사진미술관 GoEun Museum of Photography, Busan
갤러리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452번길 16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goeunmuseum.kr
관람시간 화요일-일요일 10:00-19:00 *매주 월요일 휴관
GoEun Contemporary Photo Museum has pursued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while prospecting photographic trends and various working ways of the artists in young generation through ‘Interim Report’ following 4th affiliated exhibition this year and ‘New Force of Photography’. The art of photography has been expanded its sphere in the field of modern art in past years. Inferring the photography has duplicative characteristic, which crosses over the boundary of various genres based on its technical and pictorial trait, altering of the position of photography might already have been predicted. Consequently, the artists in young generation constantly verify possibility and take new attempts, based on the medium characteristic of photography and are intend to discover another stream of photography. In broader context, this could be the accomplishment from the endless efforts and challenges of the artists of past generation who tried to change awareness of traditional photography. Moreover, reviewing the value of source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solely within theoretical context would be worthwhile at this point. As for the origin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GoEun Contemporary Photo Museum is featuring the series of 《The New Wave of the Photography》(1988) showing Dae Soo Kim’s early works, who work at the turning point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 ⓒ김대수 Daesoo Kim
    지혜의 땅, Land of wisdom nlw1996815, Gelatin silver print and photo etching on copperplate, 58.5x82.4cm, 1996
  • ⓒ김대수 Daesoo Kim
    지혜의 땅, Land of wisdom nlw1996822, Gelatin silver print and photo etching on copperplate, 53x53cm, 1996
  • ⓒ김대수 Daesoo Kim
    지혜의 땅, Land of wisdom nlw1996834, Gelatin silver print, 51.5x71.5cm, 1996
  • ⓒ김대수 Daesoo Kim
    창조 그리고..., Creation and then nca1986806, Oil on photo, 101.7x113.2cm, 1986
  • ⓒ김대수 Daesoo Kim
    창조 그리고..., First couple nsw1985001, Coloring on photo, 21.5x32cm, 1985
  • ⓒ김대수 Daesoo Kim
    창조 그리고..., Where I am nca1986892, Oil on photo, 91.5x105cm, 1986
  • ⓒ김대수 Daesoo Kim
    탄생이후, Born and after nba1990103, Archival pigment print, 120x150cm, 2015
  • ⓒ김대수 Daesoo Kim
    탄생이후, Born and after nba1990107, Archival pigment print, 44x55cm, 2015
  • ⓒ김대수 Daesoo Kim
    태초에, Father to son nbf1990111, Archival pigment print, 85x80cm, 1990
  • ⓒ김대수 Daesoo Kim
    태초에, From beginning nbf1990026, Mixed media, 27x35cm, 1990
고은컨템포러리사진미술관은 지난 4년간 연례기획 ‘중간보고서’와 ‘사진 미래色’을 통해 젊은 세대작가들의 다양한 작업방식과 사진적 경향을 조망하며 한국현대사진의 발전을 모색해왔다. 사진예술은 지난 몇 십 년 간 현대미술의 장 속에서 자신의 영역을 확장시키며 그 외연을 넓혀왔다. 기계적 · 회화적 특징을 토대로 다양한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사진의 이중적 성격을 미루어보았을 때, 사진의 위치변화는 이미 예견된 일일지도 모른다. 젊은 세대 작가들 또한 이러한 사진의 매체적 특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도와 가능성을 증명해 보이며 또 다른 사진의 조류를 모의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 사진의 인식변화를 시도한 전 세대 작가들의 끊임없는 도전과 노력의 결과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 한국현대사진 원류의 가치를 지극히 원론적인 의미에서 재조명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의 일환으로 고은컨템포러리사진미술관에서는 한국현대사진의 원류인 《사진 새 시좌전》(1988)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사진의 전환점에서 활동했었던 김대수의 초기 작업을 선보인다.

《사진 새 시좌전》은 1988년 워커힐 미술관에서 1세대 유학파로 분류되는 구본창, 김대수, 이규철, 이주용, 임영균, 최광호, 하봉호, 한옥란이 참여한 전시다. 전시가 열린 1980년대는 모더니즘이 견지해온 미학개념이 와해되며 장르간의 해체가 이루어진 포스트 모더니즘이 등장한 시기이다. 국내에서는 사진 유학파들의 국내 유입이 증가하고 대학 내 사진학과가 개설되는 한편 사진 전공자들이 배출되기 시작하는 시기였다. 예술이 당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사회적 산물이라는 입장에서 이 시기의 한국사진은 새로운 사회문화가 반영됨과 동시에 새로운 사고체계의 수용을 요구하였다. 의도된 기획전시는 아니었지만 《사진 새 시좌전》은 이러한 시대상을 투영하며 한국사진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전시작은 평면으로만 보이는 사진의 범주를 넘어 설치, 회화, 조각 등 다른 매체와의 혼용을 통한 3차원적 공간의 표출 등 새로운 형식과 개념에 기반을 둔 작업들이었다. 작가들은 기록을 넘어 다양한 표현매체로 변모된 사진을 선보이며 전통적 사진에 충실했던 기존 한국 사진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고은컨템포러리사진미술관에서 선보이는 김대수는 《사진 새 시좌전》을 기점으로 [창조, 그리고···](1985), [태초에](1990), [탄생 이후](1990), [영의 시대](1994), [지혜의 땅](1996) 시리즈 등 10년간 ‘존재의 근원과 의미'라는 주제로 작업을 이어왔다. 위 초기작들은 사진의 재현적 입장에서 벗어나, 사물들의 재배치와 고의적인 스크래치 등 회화와 조각, 판화적 요소를 이용해 매체의 경계를 해체하는 작업들이다. 이 작업들은 혼용된 매체들을 통해 한 장의 사진 안에 존재하는 시공간을 분리하고 해방시킨다. 매체의 변용을 통해 작가의 주관적 주제의식을 표면화 시킨 김대수의 작업은 많은 이들의 사진에 대한 고착된 인식과 사고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새로운 사진패러다임을 형성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스트레이트 한 사진이 주류를 이루던 국내에서 전위적인 작업을 선보이며 새로운 사진문화운동의 중심에서 활동하였던 김대수의 작업은 오늘의 현대사진에서도 그 가치를 증명해낸다. 고은컨템포러리사진미술관은 김대수의 초기작업을 통하여 한국 현대사진이 어떤 과정을 통하여 변모하고 확장되어 왔는가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고은사진미술관
GoEun Contemporary Photo Museum has pursued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while prospecting photographic trends and various working ways of the artists in young generation through ‘Interim Report’ following 4th affiliated exhibition this year and ‘New Force of Photography’. The art of photography has been expanded its sphere in the field of modern art in past years. Inferring the photography has duplicative characteristic, which crosses over the boundary of various genres based on its technical and pictorial trait, altering of the position of photography might already have been predicted. Consequently, the artists in young generation constantly verify possibility and take new attempts, based on the medium characteristic of photography and are intend to discover another stream of photography. In broader context, this could be the accomplishment from the endless efforts and challenges of the artists of past generation who tried to change awareness of traditional photography. Moreover, reviewing the value of source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solely within theoretical context would be worthwhile at this point. As for the origin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GoEun Contemporary Photo Museum is featuring the series of 《The New Wave of the Photography》(1988) showing Dae Soo Kim’s early works, who work at the turning point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The New Wave of the Photography》 is the exhibition held in 1988 at Walker Hill art museum in Seoul featuring the works of Bohn Chang Koo, Dae Soo Kim, Kyu Chol Lee, Ju Yong Lee, Young Kyun Lim, Kwang Ho Choi, Bong Ho Ha, Ok Ran Han, who are called as the 1st generation artists educated abroad. During 1980s, when the exhibition was held,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aesthetic that Modernism had conserved, collapsed and deconstructed genre between genres, and Post-Modernism began as a result. In domestic, the photographers who studied abroad began to return to Korea and the department of photography was established in many colleges, thus it was a period in which numerous artists who majored in photography emerged. From the point of view of art as societal product that reflects the social aspect of each era, the Korean photography at that point was reflected with new social culture, thus the acceptance of new thinking system was required at the same time. 《The New Wave of the Photography》 was not intended at first but as projecting the times therefore it brought a new sensation to the field of Korean photography. The featured works were all based on the new concept and form such as expressing three-dimensional space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medium like installation, painting, sculpture, and so on. While the artists of that time tried to show altered photos to various expressive medium crossing over records, they marked distinguishing point with the Korean photography of that time which was solely based on the traditional photograph.

GoEun Contemporary Photo Museum is featuring Dae Soo Kim’s 《The New Wave of the Photography》 as beginning, also including his other series such as 《Creation and Then…》(1985), 《From Beginning》(1990), (1990), 《Era of the Spirit》(1994), and 《The Land of Wisdom》(1996) which show the constant subject ‘the meaning and origin of existence’ for past 10 years of his works. These early works of Kim are apart from representing photographs, but deconstructing the boundary of medium by using components of painting, sculpture, and printmaking like rearrangement of objects and intentional scratches. These kinds of his works separate and emancipate the world of space-and-time that exists within the frame of a picture through mingled medium. Kim’s work that externalizes his subjective and thematic consciousness caused people uproar for fixed awareness and thoughts about photography. Thus, this later provides the opportunity to create new paradigm for photography. During the period when straightforward photographs were mainstreams in domestic, Kim showed his innovative work and enthusiastically stood in the middle of new photography culture movement; overall, it proves its value in modern photography of the present time. GoEun Contemporary Photo Museum wishes to observe how and what made changes and expansion of Korean modern photography through the early works of Dae Soo Kim.

GoEun Museum of Photography
김대수
1955년 서울에서 출생한 김대수는 사진가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촬영을 시작했다. 이후 시각예술에 대한 관심으로1979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미국 파슨스 디자인학교(Parsons School of Design) 사진학과에서 학사, 1987년 프랫인스티튜트 대학원(Pratt Institute ) 사진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1983년 뉴욕 개인전을 시작으로 한국과 홍콩, 일본, 타이완, 독일, 프랑스에서 21차례 개인전과 130여 차례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1988년 개인전 《창조, 그리고…》와 그룹전 《사진 새 시좌전》이후 10여 년 동안 작업한 시리즈로서 사진이 가진 리얼리티 이미지와 작가의 주관적인 주제의식이 드러난 회화 표현을 함께 볼 수 있는 개념적인 작업을 다시 선보인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당시 한국 사진계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으며, 이로 인해 그는 한국의 새로운 사진 운동을 주관하는 중심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그는 2009년 파리포토에서는 ‘프랑스가 주목해야 할 작가’로 선정되었으며, 2011년 ‘파리 시테 인터내셔널 레지던시 작가’로 활동하며 한국인의 조형언어를 국제화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는 한국적 조형의식에 기반을 두고지속적인 작업을 하며 국제무대에서의 활동 기반을 다져 가고 있다

1993년부터 현재까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사진전공 교수로 재직하면서 신진작가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김대수의 작품은 미국 캘리포리아산타바바라뮤지엄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한미사진미술관, 대법원, 경찰청, 제주현대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의 스트레이트 한 흑백 작업은 한국인의 고고한 선비정신과 조형의식의 단서가 되는 여러 자연물들을 소재로 하여 국내외에서큰 명성을 얻고 있다.
Daesoo Kim

Daesoo Kim was born in Seoul in 1955 and began taking photographs in early age due to his father’s influence. Since then he had continuous interest in Visual art, he graduated Hongik University in 1979 majoring in Visual Design, and went to study abroad to America. He received his B.A in Photography at Parsons School of Design in 1983, and completed his M.A in photography at Pratt Institute in 1987.

Beginning as his solo exhibition in New York in 1983, he had solo exhibitions for 21 times and participated in a numerous group exhibitions about 130 times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Korea, Hong Kong, Japan, Taiwan, Germany, and France. This exhibition features the series that he has been working for past 10 years after his solo exhibition and his group exhibition in 1988. It once again shows the conceptual works of photography that reveal both the realistic image and the artist’s subjective and thematic consciousness. This kind of attempt brought a new sensation to the field of Korean Photography; therefore, he could stand in the middle of new photography culture movement. Kim was nominated at Paris Photo held at Carrousel du Louvre in Paris in 2009 and began working as the residency artist in the Cité Internationale des Arts in Paris in 2011, which led him to have an opportunity to globalize the Korean formative language. He is constantly working based on Korean formative consciousness and is continuously appearing on the international stage.

Beginning as his solo exhibition in New York in 1983, he had solo exhibitions for 21 times and participated in a numerous group exhibitions about 130 times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Korea, Hong Kong, Japan, Taiwan, Germany, and France. This exhibition features the series that he has been working for past 10 years after his solo exhibition and his group exhibition in 1988. It once again shows the conceptual works of photography that reveal both the realistic image and the artist’s subjective and thematic consciousness. This kind of attempt brought a new sensation to the field of Korean Photography; therefore, he could stand in the middle of new photography culture movement. Kim was nominated at Paris Photo held at Carrousel du Louvre in Paris in 2009 and began working as the residency artist in the Cité Internationale des Arts in Paris in 2011, which led him to have an opportunity to globalize the Korean formative language. He is constantly working based on Korean formative consciousness and is continuously appearing on the international stage.
개념으로 사진과 새로운 형태 탐구

미국서 귀국 후인 1980 년대 후반부터 90 년대 후반까지 10 여 년간 김대수의 작업은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순수 예술로의 지향과 개념적 표현이었다. 이 시기는 ‘80 년대 중반 유학 시절부터 시작된 사진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물음과 같이 자아를 확인하고자 하는 개념적 사진의 실험으로 새로운 형태 탐구가 우선이었다. 당시 이러한 매체 작업은 시대적 요구인 동시에 지역적 특성과 맞물려 나타난다. 모더니즘 이후 해체 현상과 탈 장르 및 개념미술이 갖는 다양한 형태와 형식 변화 등으로 전위적 성격의 작가들은 자기비판에 가까운 새로운 미의식 탐구에 몰입하게 된다.
시대정신을 담고자 하는 예술사조의 새로운 물결 속에서 김대수는 누구보다 실험적이며 전위적 생각을 가지고 사진의 형식과 개념적 작업에 몰두한다. 사진이 갖는 재현적 리얼리티나 이미지 재생에서 벗어나 작가의 주관적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신 표현 경향에 매달리는 것이다. 사진의 새로운 형태 탐구는 작가 자신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하며, 그 후 여러 단계의 순화 과정을 거쳐 오늘날 독자적 ‘자연’의 부분을 담는 그의 관조와 명상적 사진 예술에 뿌리가 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김대수의 경우, 어느 시기에나 사진이 갖는 순수성을 믿으면서 이를 통해 자아를 확인하고, 비판하면서 자신의 예술의지를 담고자 한다. 사실성이라는 리얼리티 문제도 시간의 기억뿐만 아니라 작가의 의지를 담는 것으로 확인시키고 있다. 기계적 이미지가 아름답거나 아름답지 않거나 우리의 시선과 마음을 끌고, 나아가 연극 무대처럼 지루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예술가의 의지가 담긴 사진은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1980 년대 후반 유학을 마치고 우리에게 나타난다. 당시 자신의 작업은 ‘사진의 새로운 형태’(New Form) 탐구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작업 초기에 나는 사진의 개념과 설치, 회화, 조각과 사진의 만남을 생각한다. 사진만으로 표현이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사진 위에 무언가를 자꾸 더해 나가게 된다……. 사진 위에 연필이나 수채화, 오일을 바르고 닦고, 깎아내는 작업, 평면 사진이 아닌 공간적 차원이 형성되는 작업으로 모색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의 말처럼 제작되기 시작한 것이 1980 년대 중 후반 작업으로 [빛으로 탐구 1983- ]와 [창조, 그리고...1985- ] 연작이며, 이후 1990 년대부터 [태에서 1990- ], [탄생이후 1990- ],[영의 시대 1994- ], [지혜의 땅 1996- ] 연작이 있다. 이 시기 대부분 작업은 사진을 일반적 특성이나 고유성보다 탈 장르의 성격을 보여주는 매체 작품들로 주제와 조형적 구성이 강조되는 회화와 조각, 판화 등 혼합적 성격의 기법과 설치에 초점을 맞춘다. 주제는 자신의 기독교인으로 믿음과 순수 표현의 미적 개념을 담으면서 포토그램 형식의 사진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도구를 이용한 지우기와 덧붙이는 혼합기법이 주류를 이룬다.
연작 형식의 작품 내용을 살펴보면 작가 자신의 모습이 등장하는 데스마스크 형상이나 자신의 손과 아기손이 겹친 이미지, 그리고 십자가 형상과 불특정의 인간 군상들을 비롯하여 나비와 선사시대의 화석 등 다양한 이미지가 화면 위에 나타난다. 추상 공간에 자리 잡은 개별화된 이미지들은 독립적이면서 때로 서로의 관계를 유지한다. 파편화된 이미지들은 붓 터치나 스크래치 기법에 의해 지워지거나 형상이 강조되면서 추상표현의 특성을 보여준다. 특히 형태의 파편화는 추상 공간에서 사진이 갖는 리얼리티를 강조하게 되면서 작가가 의도하는 주제에 밀접하게 다가선다. 콤바인 페인팅의 추상표현 공간과 사진 이미지들이 결합되는 실험이다.

1988 년 이후 작품에서 키워드는 인간의 존재와 종교적 믿음, 그리고 ‘영의 시대’나 ‘지혜의 땅’과 같은 정신적이며 추상적 표현이다. 이러한 내용과 주제에서 확인되는 것은 사진이란 기술 세계에서 벗어난 개념과 확장된 사고의 표현 가능성이다. 형식과 내용 모두 틀에 박힌 규범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작가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김대수는 사진의 기본을 유지하면서 만들고, 그리고, 지우고, 다시 그리면서 ‘창작’에 매달린다. 여기서는 묘사적이고 재현적인 것보다 추상적 표현의 개념이 강조된다. 빛과 창조, 영혼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한다. 그는 현대라는 우리 시대에 변하기 쉬운 것에서 영원의 존재 가치를 찾고자 하는 예술의지를 담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화면 구조는 사진이 결합된 흑백의 모노크롬 추상표현으로 이루어진다. 부분적으로 드러나는 의도된 형태는 긁히고 부식되어 명확하게 보여주지 못하나 그 흔적만으로 형상은 지적 사고의 반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빛의 사라짐을 슬퍼하듯 그의 평면 위에 존재하는 형태는 지적이며, 단순한 흑백 대립의 구조에서 벗어나 창조와 존재, 탄생, 믿음, 삶이 은유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현대의 일상성과 자아 모색이 단순한 사진적 기록에서 벗어나 존재와 시간 개념이 담긴 작업으로 변화를 갖는다.
초기 실험적인 사진 설치와 동판 작업 등에 나타난 화면은 이미지와 달리 배경이 어둡고 거칠며 때로 무질서하고 차가운 빛의 흐름으로 보이나 작가가 의도하는 것은 작품에서 “빛으로 충만한 나의 현재 확인”이며, 나아가 “나의 형태”를 탄생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는 빛의 가시적 표현으로 이미지를 강조하며, 진리와 영원의 시간이 담긴 빛으로 주제에 몰입하고자 한다. 빛의 새로운 표현을 통한 몰입은 존재의 근원을 밝히기 위한 모색이다.
사진이란 현존의 사물, 대상을 자동적으로 기술하고, 기록한다. 동시에 사고의 함축을 담는 새로운 형태의 사진은 좀 더 본질적인 것을 드러낼 수 있다는 확신을 갖기에 이른다. 이것이 행위성이 가미된 형태 지우기와 빛의 드러냄이라는 작업이다. 빛의 강조는 작가의 감성적 표현이다. 거칠고 어둡지만 호소력이 크다. 사진 이미지의 볼륨감과 배경의 추상적 공간표현으로 주제를 돋보이게 한다. 어둠에서 벗어난 빛의 밝기는 형태를 확인하기에 충분하며, 나아가 비 물질성의 기호로 빛은 장식적 형태나 시각적 눈속임이 아니라는 미의 전령처럼 우리에게 나타난다.

1988 년 미국서 귀국 이후 1998 년까지 10 여 년간 김대수는 사진의 설치와 혼합적 표현기법으로 주목 받아 왔다. 전위적 성격의 사진으로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그의 초기 시리즈 작업이 단순히 사진의 기술적 기법 실험이 아닌 독자적 개념미술로 확인되었던 것이다. 비록 세련됨과는 거리가 있고, 주제의식이 거칠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 시기를 통해 작가는 자신과 사진과의 관계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여 왔으며, 나아가 규범화된 사진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진작가로 사명감과 예술의지의 표현이다. 결과적으로 초기 사진의 새로운 형태 탐구와 개념작업은 오늘날 그의 관조적 자연 사진을 ‘창작’하게 되는 밑거름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유재길 (홍익대교수, 미술비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