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6.09.24 01:41

김옥선 Oksun Kim

조회 수 906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순수 박물관 Museum of Innocence
전시기간 2016. 8. 20 ~ 10. 12
전시장소 고은사진미술관 GoEun Museum of Photography, Busan
갤러리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452번길 16 (051.746.0055)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goeunmuseum.kr
GoEun Museum of Photography's yearly exhibition of 〈Interim Report〉 reviews the accomplishments of selected photographers in their 40s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prompting progress of Korean photography. Artists at this age are positioned in between the masters and the new talents, but they are the main force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photography spectrum in Korea. GoEun Museum of Photography wishe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these photographers who are facing an important moment of their lives to look back at their past works, in order to pursue and set up a new direction for their future work.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becomes a leader of the project to review one's own work and suggest subsequent projects. Following by Area Park in 2013, EunKyung Shin in 2014 and SeungWoo Back in 2015, Oksun Kim is the participant of 〈Interim Report 2016〉.
  • ⓒ김옥선 Oksun Kim
    minsu and two young men, Digital C-Print, 150x120cm, 2016
  • ⓒ김옥선 Oksun Kim
    anonymity, Digital C-Print, 125x100cm, 2016.jpg
  • ⓒ김옥선 Oksun Kim
    leela and her friends, Digital C-Print, 150x120cm, 2010
  • ⓒ김옥선 Oksun Kim
    lisa, Digital C-Print, 125x100cm, 2009
  • ⓒ김옥선 Oksun Kim
    local_beopwhan225, Digital C-Print, 100x80cm, 2014
  • ⓒ김옥선 Oksun Kim
    local_songsan178, Digital C-Print, 125x100cm, 2014
  • ⓒ김옥선 Oksun Kim
    untitled_daepo1170, Digital C-Print, 150x120cm, 2014
  • ⓒ김옥선 Oksun Kim
    untitled_hogeun485, Digital C-Print, 150x120cm, 2014
  • ⓒ김옥선 Oksun Kim
    untitled_seonhle693, Digital C-Print, 125x100cm, 2016
  • ⓒ김옥선 Oksun Kim
    untitled_yongheung681, Digital C-Print, 150x120cm, 2016
고은사진미술관은 한국사진의 발전을 추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2013년부터 매년 40대 사진가의 성과를 점검하는 〈중간보고서〉를 기획하고 있다. 한국사진계에서 40대 작가들은 중견과 신진 사이에서 사진의 다양성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에 고은사진미술관은 스스로에게도 중대한 시기에 직면한 40대의 사진가들에게 이전의 작업을 돌아보면서, 앞으로의 작업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설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전시는 작가가 전시기획의 주체가 되어 자신의 작업을 중간 점검하고 이후의 작업을 예시하는 프로젝트인 셈이다. 2013년 박진영, 2014년 신은경, 2015년 백승우에 이어 2016년의 〈중간보고서〉에는 김옥선이 참여했다.

〈중간보고서 2016〉은 주변의 인물과 풍경을 일관성 있게 담아온 김옥선이 사진을 찍는 행위가 자신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고민하면서 만든 전시이다. 매 시리즈마다 반복되는 대상과 장치를 통해 의미의 네트워크를 만들어온 김옥선은 “순수 박물관”이란 주제로 이전 작업과의 관계 속에서 확장된 새로운 작업을 선보이고자 한다. 이 주제는 우선 오르한 파묵의 소설 『순수 박물관』에서 제목을 빌려왔다. 사랑하는 여인의 물건을 모아 마침내 박물관을 만들어 버린 주인공 케말의 병적인 집착에서 김옥선은 자신이 이방인 혹은 주변인에 대해 갖는 집요한 관심을 떠올렸다. 주변의 인물과 풍경을 기록하고 수집하는 행위는 김옥선 작업의 중심축인 동시에 집착과 애정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작업 전체를 돌아보고 아우른다는 의미도 포함된다..

김옥선의 작업은 정체성에 대한 연구로 집약된다. 이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자기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비주류로서의 경험”이 밑바탕이 되어 차이와 차별에 대한 사유로 이어지는 이 과정은 현재의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독립 혹은 결혼이라는 사회제도의 기로에 선 자신과 같은 30대의 여성을 누드로 담아낸 첫 작업 〈방 안의 여자〉를 거쳐, 〈해피 투게더〉에서는 자신을 포함한 국제결혼을 한 커플과 동성애 커플의 시선과 포즈를 통해 제도와 현실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드러나는 갈등을 보여준다.

〈해피 투게더〉에서 차이에 대해 주목했다면, 〈함일의 배〉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제주도에 표류하여 억류된 삶을 살았던 하멜(한국식 이름 함일)과 연결시킨다. 여기서 제주도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지가 아니라 이방인들이 꿈을 꾸며 혹은 절망하며 살아가는 일상의 공간이다. 김옥선은 이들이 제주도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소를 골라 그 곳에서 그들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노 디렉션 홈〉은 제주도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실제 거주하는 집 내부에서 주로 찍은 사진들로, 내러티브를 토대로 한 이전 작업들과 달리 이미지 자체에 주목했다. 균일한 조명과 콘트라스트 그리고 대상과의 적절한 거리두기를 통해 사진의 매체성에 대해 고민한 이 시리즈는 김옥선의 이전 작업들과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연결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빛나는 것들〉은 제주도에 이식된 외래종 나무와 숲을 사물 그 자체로서 드러내면서, 사유가 아닌 시각으로 느끼는 표면과 평면성을 극대화한다.

대부분이 신작들로 구성되는 이번 전시는 이전 작업의 내용이나 형식에서 확장된 것들이다. 〈해피 투게더〉의 국제결혼부부는 다문화가족으로, 〈함일의 배〉와 〈노 디렉션 홈〉에서 다루었던 이방인은 가장 불안정한 위치의 난민들로, 그리고 〈빛나는 것들〉의 나무에 대한 기록은 나무뿐만이 아니라 제주의 집과 이질적인 풍경으로 확장된다. 조형성의 아름다움을 포기하면서 그녀가 지향하는 것은 ‘보이는 것을 어떻게 사진적으로 담아낼 것인가’이다. 따라서 이번 전시에서는 특히 대상의 물성과 사진의 물성이 강조된다. 그녀의 나무와 인물과 집들이 별개로 구분되기보다 중심에서 벗어난 주변과 비주류로 비유될 수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얼굴은 있으나 표정을 읽을 수 없고, 형태는 있으나 복잡하게 뒤엉킨 인물과 나무들은 지금 우리 눈앞에 보이는 것들을 이렇게 보이게 만든, 눈에 보이지 않는 메커니즘에 대한 은유는 아닐까. 김옥선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사물성”은 가시적 형상들에서 드러난다기 보다 그 형상들 사이의 관계에서 암시된다.. 이제 사진의 출발점이었던 김옥선의 정체성은 남편으로 대표되는 이방인의 정체성에서 사진의 정체성으로 이동한다. 김옥선이 스스로 지긋지긋한 집착이라고 표현한 이 일관된 관심이 〈중간보고서 2016〉을 그 무대로 삼아 끝을 볼 수 있을까? 김옥선이 자신만의 “순수 박물관”을 만들고 난 이후, 모든 것을 비우고 난 이후의 작업은 어떤 것이 될까? 《중간보고서 2016 - 순수 박물관》은 이러한 질문과 기대와 함께 시작된다.

고은사진미술관

1 여기서 ‘주변’은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김옥선이 물리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가깝게 느낀다는 의미와 중심이나 주류에서 벗어난 변방과 경계에 서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GoEun Museum of Photography's yearly exhibition of 〈Interim Report〉 reviews the accomplishments of selected photographers in their 40s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prompting progress of Korean photography. Artists at this age are positioned in between the masters and the new talents, but they are the main force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photography spectrum in Korea. GoEun Museum of Photography wishe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these photographers who are facing an important moment of their lives to look back at their past works, in order to pursue and set up a new direction for their future work.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becomes a leader of the project to review one's own work and suggest subsequent projects. Following by Area Park in 2013, EunKyung Shin in 2014 and SeungWoo Back in 2015, Oksun Kim is the participant of 〈Interim Report 2016〉.

〈Interim Report 2016〉 is an exhibition prepared by Oksun Kim, a photographer who consistently captured surrounding characters and landscapes, as she contemplated on what photo taking means to her. She has created a network of meaning using subjects and devices that are repeated in each series. This time under the title of “Museum of Innocence”, Kim presents a new project that has expanded in connection with previous works. The theme is named after Orhan Pamuk's novel of the same title. From Kemal's pathological obsession shown by collecting belongings of the woman he loves to create a museum in the end, Oksun Kim was reminded of the stubborn interest she has on strangers and marginal characters. The act of documenting people and landscapes around her and collecting the documents are the pivotal point of Kim's projects and can be categorized as obsession and affection as well. Naturally it also indicates reviewing and embracing the entire work.

In a nutshell, Oksun Kim's project is a study on identity. It is a process of understanding oneself through the medium of photography to confirm one's existence. Starting from the "experience as an outsider" and continuing onto the contemplation on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this journey is highly significant from the current point of view as well. In her first project Woman in a Room she captured nude women in their 30s like herself facing a social dilemma of standing alone or marriage. Then in Happy Together Kim displayed conflicts of different forms revealed from the system and reality through the views and poses of couples in international marriage including herself as well as homosexual couples.

While she focused on differences in Happy Together, in Hamel's Boat she links foreigners living in Jejudo with Hamel (Korean name is Ham Il) who drifted to the island and was detained there. In the image Jejudo is not a tourist site boasting of beautiful sceneries but is a place of everyday life where foreigners live on dreaming or in despair. She selected places they like the most on the island and questioned their identity there. No Direction Home consists of photographs taken inside the homes that are actually inhabited by Jeju-residing foreigners, and focused on the images themselves unlike her previous works that were based on the narratives. Through steady lighting and contrast, and keeping moderate distance from the object the series reflects on the medium of photography. It is also the point connecting Kim's past projects with currently ones. The Shining Things exposes imported trees and woods in Jeju only as objects themselves, while maximizing the surface and flatness that are sensed visually and not cognitively.

The exhibition is mostly composed of new works that are an expansion from previous contents and formats. International couples from Happy Together are expanded to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ers from Hamel's Boat and No Direction Home to refugees in their most unstable positions, and the documentation on trees from The Shining Things is expanded to the houses and foreign sceneries in Jeju. By abandoning beauty of an artwork she aims at 'photographically capturing things that meet the eye.' Therefore the exhibition highlights the subject's nature and property of photographs in particular. That is why her trees, people and houses can be compared to the periphery and outsiders that are far from the center rather than have them distinguished individually. There is a face but its expression is indistinguishable, while those people and trees are entangled without an order although they still keep their shapes. Perhaps they are a metaphor on an invisible mechanism that makes what we see in front of us appear that way. The object's materialism revealed in Oksun Kim's works is implied in the relationship amongst the visual forms rather than in the forms themselves.

Kim's identity that had been the starting point of the photographs is now moving away from the identity of a foreigner represented by her husband, towards the identity of photography. Will this consistent interest that herself has described as a 'tedious obsession' come to an end with 〈Interim Report 2016〉? What will be her next project after Kim finishes building her own “Museum of Innocence” and lets go of everything? These are the question and prospect Interim Report 2016 - Museum of Innocence starts with.

GoEun Museum of Photography

1 The word 'surrounding' is used here in ambiguous ways. It means Oksun Kim regards them physically and mentally close, as well as being peripheral and marginal that is far from the core or majority.
사진을 찍고 기록하는 행위, 인화하고 수집하는 행위는 박물관의 기능과 유사하다. 작가로 나선 이후 내 주변의 인물들과 주변 풍경들이 내 작업의 주제고, 이들의 지루한 기록과 수집이 내 사진의 방법론이다. 여태 보여준 사진들의 일관성이란 것이 달리 보면 그만큼 집요한 집착과 다름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혹은 이를 사랑이라든가 순수 또는 애호라든가 하는 것으로 완곡하게 호칭할 수도 있겠다.

소설 ‘순수박물관’에서 남 주인공 케말은 남의 아내가 된 퓌순의 집에 매일 저녁 방문하여 그녀가 비벼 끈 담배꽁초를 비롯하여, 성냥갑, 소금 통, 커피 잔, 머리핀, 재떨이, 찻잔, 슬리퍼 같은 것들을 수집하기 시작한다…. 결국 그녀의 물건들과 추억을 순수박물관에 모아놓았는데 순수란 집착과 집요함을 부르는 다른 말처럼 내게는 들린다.

내 사진에는 외국인이 많이 나온다. 어릴 적 태어나고 살았던 동네가 한남동 이태원과 가깝기는 했지만 결혼 전까지 외국 또는 이국에 대한 충격적 경험이나 동경이 거의 없었다고 기억한다. 그리고 내 손에 카메라가 있었다. 사진을 시작한 이래 내게 생각하게 하고 의문시되는 관심거리들이 내 사진의 주제가 되었다. 이러한 주제로 한 동안 작업하다 보면 중요하고 한쪽에서만 보였던 것들이 덜 중요해지고 다른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기고 이 주제가 나를 통과해 가는 것이 보인다. 내 사진들은 덤덤하고 절제되어 표현되지만 한때 내게는 소중한 것들의 총합이다.

케말은 지긋지긋하다. 그리고 집요하다.

내 사진도 그러하다. 얼굴이 반복된다. 외국인이다. 그리고 갑자기 야자수로 오버랩된다. 그 위에 풍경들. 모두 비슷비슷하다. 이방인을 지속적으로 사진 대상으로 삼는 건 그들이 낯설지만 곧이어 갖게 되는 일종의 동류의식 때문이다. 그들이 궁금하고 알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그들은 나의 불안을 대변하고 경계없는 선입견은 사진을 찍는 행위로 귀결된다. 기억은 그들의 외형을 담아낸 스트레이트한 사진으로 반복되고 한 장이 전체가 된다.

여태의 주제들을 모아 ‘순수박물관’에 전시하는 의도는 지금까지 사진을 찍는다는 행위가 내게 어떤 한계였는지 확인하고자 함이다. 사진은 나의 일상과 노화를 함께하고 있다. 내 사진들을 박물관에 넣는다는 의미는 이방, 외국이란 여태의 주제가 갖는 강박에서 벗어나 그 바깥의 자유로움을 스스로 허용하려는 염원이다.
김옥선 Oksun Kim

1967 서울 출생

학력
201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사진학 박사수료
1996 홍익대학교 산미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사진디자인 석사졸업
1989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16 《제15회 동강사진상 수상자전 - 김옥선》,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2015 《빛나는 것들》, 아트스페이스 C, 제주
2014 《빛나는 것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0000 《함일의 배》, 한신대학교 한신갤러리, 오산
0000 《함일의 배》, 서학동 사진관, 전주
2011 《노 디렉션 홈》,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 두손갤러리, 제주
0000 《구르는 돌처럼》, 테이크아웃드로잉, 서울
2009 《함일의 배》, 리씨갤러리 윈도우, 서울
2008 《함일의 배》, 금호미술관, 서울 /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2007 《해피 투게더》, 아트스페이스 C, 제주
2005 《유 앤 아이》, 마로니에미술관, 서울
2004 《해피 투게더》, 뉴욕한국문화원갤러리코리아, 뉴욕, 미국
2002 《해피 투게더》,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
2000 《방 안의 여인2》, 타임스페이스, 서울
1996 《방 안의 여인》, 샘터갤러리, 서울

주요 단체전
2016 《그다음 몸》, 소마미술관, 서울
0000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5 《소란스러운, 뜨거운, 넘치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0000 《심안으로 본 타자》, 갤러리 LUX, 서울
0000 《가족 앨범: 플로팅 아이덴티티》, LIG아트센터, 서울
0000 《제주 4.3미술제 – 얼음의 투명한 눈물》,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3 《풀 메탈 재킷》, 인사아트센터, 서울
0000 《더글라시즘, 불온한 공기》, 관훈갤러리, 서울
0000 《시대의 초상, 초상의 시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0000 《사진의 재발견》, 네모갤러리, 서울,
0000 《인물 파노라마》,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0000 《이어지다》, 토포하우스, 서울
2012 《파라렐 비전》, 홍콩아트센터, 완차이, 홍콩
0000 《사진의 힘》, 트렁크갤러리, 서울
0000 《또 다른 목소리》, 옆집갤러리, 서울
0000 《시선 사이에서》,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2011 《직면》,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0000 《코리안 랩소디》, 삼성리움미술관, 서울
0000 《뷰 리뷰 프리뷰》, 한벽원갤러리, 서울
0000 《인스피레이션》, 난지갤러리, 서울
2010 《카오틱 하모니》, 산타바바라미술관, 산타바바라, 미국
0000 《컨버젼스》, 윌리엄스 타워 갤러리, 휴스턴, 미국
0000 《온 더 커팅 엣지》, 타이완국립미술관, 타이중, 대만
0000 《모먼트》, 갤러리 노리, 제주
0000 《만 레이와 그의 친구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0000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9 《박하사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0000 《카오틱 하모니》, 휴스턴미술관, 휴스턴, 미국
0000 《사진비평상 10년의궤적: 시간을 읽다 1999-2008》,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서울
0000 《자연의 신화 제주》,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0000 《제1회 포토코리아: 슈팅이미지》, 코엑스, 서울
0000 《네 가지 방법》, 가디언가든, 도쿄, 일본
0000 《마그네틱 파워》, 코리아나미술관, 서울
0000 《신진기예》, 토탈미술관, 서울
2008 《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 구서울역사, 서울
0000 《사진의 북쪽》, 관훈갤러리, 서울
0000 《내일의 기억: 대구사진비엔날레 주제전》, 엑스코, 대구
0000 《한국현대사진 60년: 1948-200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7 《박하사탕: 한국현대미술 중남미순회전》,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미술관,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0000 《박하사탕: 한국현대미술 중남미순회전》, 산티아고현대미술관, 산티아고, 칠레
0000 《한국현대사진의 풍경》,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0000 《한국현대사진 스펙트럼》, 트렁크갤러리, 서울
0000 《제도와 관계》, 포스갤러리, 서울
2006 《대구사진비엔날레 특별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5 《평요 국제사진축제 본전시》, 평요, 중국
0000 《서울포토트리엔날레: 변이》,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4 《위 아 더 월드》, 첼시 미술박물관, 뉴욕, 미국
0000 《13인을 위한 비자》, 모마 ps1 현대 미술관, 뉴욕, 미국
0000 《다큐먼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0000 《PS1 오픈 스튜디오》, 모마 PS1현대 미술관, 뉴욕, 미국
2003 《서울생활의 재발견》, 쌈지스페이스 / 대안공간 루프, 서울
2002 《바람 사람 한국현대사진의 지평전》, 센다이미디어텍, 센다이, 일본
0000 《한국의 현대사진가》, 몽펠리에 사진미술관, 몽펠리에, 프랑스 외 다수

수상 및 선정
2016 제15회 동강국제사진상 수상, 동강국제사진제, 영월
2010 제1회 세코사진상 수상, 서울
2007 제6회 다음작가상 수상, 박건희문화재단, 서울
2003 모마 PS1 국제스튜디오프로그램 펠로우쉽 수상, 뉴욕, 미국

작품 소장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 SECO, 서울 / KT&G, 서울 /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 박건희문화재단, 서울 /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 / 아트스페이스 C, 제주 / 경기도미술관, 안산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과천 /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출판
2014 『빛나는 것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2011 『노 디렉션 홈』, 포토넷, 서울
2008 『함일의 배』, 박건희문화재단, 서울
2003 『해피 투게더』, 도서출판 디웍스, 서울
김옥선 Oksun Kim

1967 Born in Seoul

Education
2012 Ph.D Candidate. Department of Artistic Crafts Design (Photography),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996 M.F.A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Photography),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989 B.A Department of Pedag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6 15th Dong Gang Photography Award - Oksun Kim, Dong Gang Museum of Photography, Yeongwol, Korea
2015 The Shining Things, Art Space C, Jeju, Korea
2014 The Shining Things, 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Korea
0000 Hamel’s Boat, Hanshin Gallery HanShin University, Osan, Korea
0000 Hamel’s Boat, Seohakdong Photo Museum, Jeonju, Korea
2011 No Direction Home, 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 Duson Museum, Jeju, Korea
0000 Like a Rolling Stone, Take Out Drawing, Seoul, Korea
2009 Hamel's Boat, Lee C Window Gallery, Seoul, Korea
2008 Hamel's Boat, Kumho Museum of Art, Seoul /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Jeju, Korea
2007 Happy Together, Art Space C, Jeju, Korea
2005 You and I, Marronnier Gallery, Seoul, Korea
2004 Happy Together, Gallery Korea, New York, USA
2002 Happy Together, Art Space Pool, Seoul, Korea
2000 Woman in a Room2, Time Space Gallery, Seoul, Korea
1996 Woman in a Room, Samteo Gallery,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6 Body Matters, Seoul Olympic Museum of Art, Seoul, Korea
0000 Public to Private: Photography in Korean Art since 1989,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2015 Uproarious, Heated, Inundated,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0000 Uncovering the Essence of Another, Gallery LUX, Seoul, Korea
0000 Family Album: Floating Identity, LIG Art Space, Seoul, Korea
0000 Jeju April 3rd Art Festival - Clear Tears of Ice, Jeju Museum of Art, Jeju, Korea
2013 Full Metal Jacket, Insa Art Center, Seoul, Korea
0000 Douglasism, Itemized Miasma,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0000 Portraits in Modern Era, Portraits Today,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0000 Re-Photography, Nemo Gallery, Seoul, Korea
0000 Panoramic Personage, Jeonbuk Museum of Art, Wanju, Korea
0000 Succeeding, Topohaus, Seoul, Korea
2012 Parallel Vision, Hong Kong Art Center, Wan Chai, Hong Kong
0000 Power of Photography, Trunk Gallery, Seoul, Korea
0000 Another Voice, Next Door Gallery, Seoul, Korea
0000 In Between Gazes, Hongik Museum of Art, Seoul, Korea
2011 Confrontation, GoEun Museum of Photography, Busan, Korea
0000 Korean Rhapsody, Leeum, Seoul, Korea
0000 View Review Preview, HanByukWon Gallery, Seoul, Korea
0000 Inspiration, Nanji Gallery, Seoul, Korea
2010 Chaotic Harmon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anta Barbara, USA
0000 Convergence, Williams Tower Gallery, Houston, USA
0000 On the Cutting Edge,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aichung, Taiwan
0000 Moment, Nori Gallery, Jeju, Korea
0000 Man Ray and His Friends, Seoul Museum of Art, Seoul / Jeju Museum of Art, Jeju, Korea
0000 Daegu Photo Biennale, Daegu Culture & Arts Center, Daegu, Korea
2009 Peppermint Candy,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Korea
0000 Chaotic Harmony, Museum of Fine Arts, Houston, USA
0000 The Trace of Ten Years of Sajin Bipyong Awards: An Observation on Time
0000 1999-2008, Gyeonghuigung of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0000 The deification of Nature, JEJU,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Jeju, Korea
0000 1st Photo Korea: Shooting Image, Coex, Seoul, Korea
0000 The 4 Different Ways, Guardian Garden, Tokyo, Japan
0000 Magnetic Power, Coreana Museum of Art, Seoul, Korea
2008 Up and Comers,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0000 Seoul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Old Seoul Station, Seoul, Korea
0000 On Photography,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0000 Memory of the Future: Daegu Photo Biennale, Exco, Daegu, Korea
2007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1948-2008,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0000 Peppermint Candy: Contemporary Korean Art, Museo Nacional de BellasArtes, Buenos Aires, Argentina
0000 Peppermint Candy: Contemporary Korean Art, Museo de Arte Contemporaneo, Santiago, Chile
0000 Landscape of Korean Contemporary Photography,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0000 Korean Contemporary Photographer’s Spectrum, Trunk gallery, Seoul, Korea
0000 Regime and Relationship, Phos Gallery, Seoul, Korea
2006 Daegu Photo Biennale, Daegu Cultural & Art Center, Daegu, Korea
2005 Pingyao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Pingyao, China
0000 Seoul Photo Triennale: Transit,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2004 We are the World, Chelsea Art Museum, New York, USA
0000 Visa for Thirteen, MoMA PS1 Contemporary Art Museum, New York, USA
0000 Document,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0000 PS1 Open Studio, MoMA PS1 Contemporary Art Museum, New York, USA
2003 Rediscover Daily Life of Seoul, Ssamzie Space / Alternative Space Loop, Seoul, Korea
2002 Wind and People, Sendai Media Theque, Sendai, Japan
0000 Contemporary Photographers from Korea, La Galerie Photo de Montpellier, Montpellier, France

Awards & Honors
2016 15th Dong Gang Photography Award, Dong Gang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Yeongwol, Korea
2010 1st Seco Photo Award, Seoul, Korea
2007 6th Daum Prize, Parkgeonhi Foundation, Seoul, Korea
2003 MoMA PS1 International Studio Program fellowship, New York, USA

Collections
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Korea / SECO, Seoul, Korea / KT&G, Seoul, Korea / Jeju Museum of Art, Jeju, Korea / Parkgeonhi Foundation, Seoul, Korea /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Jeju, Korea / Arts Council Korea, Seoul, Korea / Art Space C, Jeju, Korea /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Korea /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t Bank, Gwacheon, Korea /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Publications
2014 The Shining Things, 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Korea
2011 No Direction Home, PHOTONET, Seoul, Korea
2008 Hamel's Boat, Parkgeonhi Foundation, Seoul, Korea
2003 Happy Together, The Works, Seoul, Korea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