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cannot be fully separated from a place. He himself is a place. Making connections with a place by carrying on daily lives are as essential and important as the person to person relationships. A place can be one profound and complicated experience of a man. A place holding its very own natural, cultural and specific energy will interact with men and create multiple histories through the continual cycles of generation and transition. Therefore a place is men’s nature for fundamental existence as well as an origin of one’s identity and stability.
‘Film-Map’ is an ongoing project to take photos of the movie locations for 4 years. Film location is a work to bring out a particular concept of space from identity of that place. The new concept of space is preserved in the movie and carved to the audience. However identity of space in the movie is not preserved and no longer exists. The space of location loses its own identity. Nevertheless the location is recognized as a place with special meaning place to those who has seen the movie. The place is over-painted by event of location. The place of location will become a stage in real life. The residents and visitors will newly acknowledge and experience the place as “the place from … movie”. Taking photos of the film locations is a record of the places’ identity changes and the photographer’s personal interpretation of the places along those changes. And also places of location could be the stage where people consumes their desires.
Film-Map
개인은 장소와 별개가 아니다. 그가 바로 장소다. 장소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 장소와 깊이 연루되며, 장소에 대한 애착은 대인관계만큼이나 필수적이고 중요하다. 장소는 인간이 세계를 경험하는 심오하고도 복잡한 측면이다. 장소는 특정 위치로서 자연적, 문화적 요소들이 고유하게 통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과 상호작용으로 순환하며 생성과 변천의 역사성을 갖는다. 장소는 개인마다 특정한 의미를 갖는다. 장소는 인간의 근본적인 존재속성이며 정체성과 안정감의 원천이다.
‘Film-Map’은 현재 진행중인 작업으로, 로케이션 되었던 영화 촬영지를 찾아가서 촬영했다. 영화에서 어떤 특정 장소를 로케이션 한다는 것은 그 장소의 정체성으로부터 새로운 장소 개념을 끌어내는 작업이다. 그 새로운 장소 개념은 영화로 보존되고 관객에게 각인된다. 그러나 로케이션이 이루어졌던 장소는 영화 속의 장소 정체성을 보존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에서 그곳을 경험한 사람들에게나 영화를 보지 않았던 사람에게조차 로케이션 장소는 특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장소가 로케이션이라는 사건(이벤트)을 통해 다른 색이 덧입혀지는 것이다. 로케이션 되었던 장소는 현실 속에 들어와 있는 하나의 무대가 되어버린다. 방문자들은 로케이션으로 인해 덧입혀진 정체성의 장소를 경험한다. 그들은 현실 속에 들어와 있는 무대에서 마치 배우처럼 찍고 찍히면서 놀이를 한다. 로케이션 되었던 장소를 촬영하는 것은 장소의 정체성 변화와 욕망의 지층을 기록하는 행위일 뿐만 아니라, 그 지층을 재해석하고 덧칠하는 과정이다. 이렇듯 카메라는 장소와 행위의 의미를 누적해 나가고 동시에 재발견한다.
Film-Map
One cannot be fully separated from a place. He himself is a place. Making connections with a place by carrying on daily lives are as essential and important as the person to person relationships. A place can be one profound and complicated experience of a man. A place holding its very own natural, cultural and specific energy will interact with men and create multiple histories through the continual cycles of generation and transition. Therefore a place is men’s nature for fundamental existence as well as an origin of one’s identity and stability.
‘Film-Map’ is an ongoing project to take photos of the movie locations for 4 years. Film location is a work to bring out a particular concept of space from identity of that place. The new concept of space is preserved in the movie and carved to the audience. However identity of space in the movie is not preserved and no longer exists. The space of location loses its own identity. Nevertheless the location is recognized as a place with special meaning place to those who has seen the movie. The place is over-painted by event of location. The place of location will become a stage in real life. The residents and visitors will newly acknowledge and experience the place as “the place from … movie”. Taking photos of the film locations is a record of the places’ identity changes and the photographer’s personal interpretation of the places along those changes. And also places of location could be the stage where people consumes their desires.
위치에서 장소로, 장소에서 지도로
신수진 사진심리학자
인간이 발을 내디딘 땅이 좌표를 통해 위치 정보를 지니게 된 것은 지구상의 모든 ‘위치location’가 공유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요사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는 지리좌표계 상의 숫자보다 훨씬 많다. 구글 맵을 통해서 거리 뷰 street view가 제공되는 곳이 점점 늘어나고,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일수록 다양한 정보가 붙는다. 도시의 길을 검색하면 주변 맛 집은 기본이고 각종 편이 시설에 대한 위치 및 평가가 따라온다. 이 쯤 되면 익명의 ‘위치’는 사라지고 ‘명소 名所’만이 가득한 세상이다. 일단 명소의 반열에 들면 그 곳에 대한 정보는 주변 위치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노출되고 더 많은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힘을 지니게 된다. 이렇게 ‘위치’는 단순한 좌표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장소 place’가 된다.
이경희의 신작 <필름맵 Film Map>은 영화의 배경으로 선택됨으로써 장소로 거듭난 곳들을 찾아다니며 촬영되었다고 한다. 제목에서 읽을 수 있듯이 작가는 지도를 그리듯 지역의 촬영지들을 순례하였을 것이다. 무슨 우연인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사진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장소를 가보지 못했거나 그 곳을 유의미하게 만든 영화들을 보지 못했다. 그 덕에 사진을 더 잘 볼 수 있으리라 위안 삼는다. 이경희의 사진엔 늘 바람이 불어왔다. 미풍이기도 폭풍이기도 한 그 바람은 오래 전 처음 그의 사진을 접했을 때나 지금이나 그대로이다. 따뜻하기도 차갑기도, 훈훈하기도 매섭기도, 선선하기도 후텁지근하기도 한 바람을 맞으며 그의 카메라는 걸음을 이어간다. 거부할 수 없는 방랑과도 같은 산책, 철학자의 사색적 발걸음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거부할 수 없는 힘에 이끌리 듯 사진을 따라 동행하는 나의 걸음도 여유로움과 숨가쁨 사이를 오간다.
가볍게 따라나선 봄 소풍 같은 나들이에서 만난 기념사진 찍는 사람들, 답답한 마음을 달래려 정처 없이 걷다 마주친 낯선 이들의 등짝, 손을 뻗으면 닿을 거리에서도 각자 연기하듯 자신의 세계에만 몰두한 얼굴들. 누구도 나를 의식하지 않는다. 나에게 흘깃이라도 눈길을 주는 사람은 없다. 아무도 나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나는 마음 놓고 그들 사이를 조용히 미끄러지듯 누빈다. 때로는 잠시 멈춰서고 때로는 잰 걸음으로 내달으며, 익숙하지만 낯설고 평범하지만 기묘한 지형을 탐색한다. 나는 작가의 눈을 따라 끊임없이 걷는다. 그의 카메라를 따라 걸을 수 있지만, 그를 볼 순 없다. 지도에는 지도를 그린 사람이 나타나지 않는 것처럼, 사진으로 기록한 산책의 지도에 그의 모습은 담겨있지 않다. 다만 그 발걸음의 시간과 마음의 자국이 지도로 남았을 뿐이다. 나는 그 지도를 살피며 걷는 게 영화보다 재미있다.
한국 부산 태생의 이경희는 약학을 전공했으며, 2014년 국립부산대학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지금까지 12차례의 개인전과 20여 차례의 그룹전을 가졌다. 2008년 일본 冬靑社(토세이사)에서 첫 사진집 『island』를 발간했으며, 그 해 「파리 포토, 2008」 북 사인회에 초대 받았다. 2012년 11월에는 일본 토세이사에서 두 번째 사진집 『The Seventh Sense』를 발간했다. 그녀의 작품은 중국의 리엔조, 얀쉐이, 따리, 핑야오 등의 국제사진축제에 소개되었으며, 미국 워싱턴DC의 포토위크와 뉴욕의 BURN 갤러리에 전시되었고, 2010년에는 『BURN. 01』에 발간되었다. 2015년 3월에는 홍콩 포토북 페어의 북사인회와 프리젠테이션, 5월에는 호주 시드니의 Head On Photo Festival에 Featured artist로 초대받았다. 2017년 3월에는 Lisa J. Sutcliffe(Curator of Photography and Media Arts at the Milwaukee Art Museum)가 큐레이팅한 “Borders, Boundaries and Edges" 가 Lens Culture에 전시되었다.
홈페이지: https://www.lensculture.com/kyunghee-lee-2
홈페이지: https://www.lensculture.com/kyunghee-lee-2
Kyunghee Lee, from Busan, Korea, holds BA in Pharmacy and is a Ph.D of Art from Busan National University. She has held 12 private and over 20 group exhibitions, and published her first book 'island' in 2008 (Toseisha, Japan) which was invited for book signing at the Paris Photo 2008 and published her second book ‘The seventh sense’ in 2012 (Toseisha, Japan). Her work has been shown by the Lianzhou, Yansui, Dali, Pingyao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of China, and Fotoweek DC, Wash. DC, Burn Gallery show, NY of USA, etc. And also shown 'Burn.01' in print. She had book-signing and presentation in HongKong Photobook Fair this March and is invited to the exhibition of Head On Photo Festival as featured artist in Sydney May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