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그리고 광복, 전쟁이라는 상처와 유신, 민주화 항쟁 등….
그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컨트롤하기엔 역부족인 시대를 살았다.
모진 비바람 같던 그의 일생은 대한민국 현대사를 고스라니 관통한다.
그는 열다섯 살에 홀로 삼팔선을 넘었고, 6.25전쟁에 참전했다.
휴전이 되었고 생계를 위해 안 해 본 일이 없다고 했다.
마흔살이 다 되어서야 결혼을 했고 슬하에 1남2녀를 두었다.
몇 번인가 사업 실패로 고전했지만 가족들에겐 내색하지 않았다.
그는 돌도 안 된 아들에게 세발자전거를 선물했고, 대학가는 딸들에게는 데모하지 말라 당부했다.
시쳇말로 ‘이제 좀 살만해졌을 때’ 노환과 함께 알츠하이머가 찾아왔다.
생애 마지막 날, 흐릿해지는 정신을 부여 잡으며 그가 했던 마지막 한 마디는이 아버지가 부족해서 미안하다…였다.
사진은 사라진 시간과 존재를 어떻게 복원하고 호명하는가
- 사진책전시지원22 김희진 <金順喆> 6월 6일부터 류가헌1932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민국을 살다 간 한 남자가 있다. 이름 金順喆(김순철).
고향이 평안북도 구성인 그는 열다섯 살에 홀로 삼팔선을 넘었고, 6.25전쟁에 참전했다. 생계를 위해 안 해 본 일 없는 청장년기를 보냈고 마흔이 다 되어서야 결혼을 해 1남2녀를 두었다. 몇 번인가 사업 실패로 고전했지만 가족들에게는 내색하지 않았다. 그는 돌도 안 된 아들에게 세발자전거를 선물했고, 대학 가는 딸들에게는 데모하지 말라 당부했다. 시쳇말로 ‘이제 좀 살만해졌을 때’ 노환과 함께 알츠하이머가 찾아왔다. 생애 마지막 날, 흐릿해지는 정신을 부여잡으며 그가 했던 한 마디는 ‘이 아버지가 부족해서 미안하다…’였다.
사진가 김희진은 그런 ‘金順喆’ 씨의 여식이다. 이번 전시작과 사진집 <金順喆>은 딸이 그 아버지의 생애를 찍고 기록한 것이다. 김희진은, 열다섯 살에 홀로 삼팔선을 넘는 아버지의 등 뒤에서 사진을 찍었다. 후에 무공수훈자가 되게 한 6.25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함께 있었다. 가족에게 내색 않고 혼자 사업실패를 감당하며 걷던 날들에 아버지의 걸음도, 알츠하이머로 기억이 지워져가는 늙은 아버지의 시선도 찍었다.
시멘트 블록 위에 버려진 시계,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에 주저앉아있는 취객, 신문지가 덮인 채 내놓여진 식당의 배달 쟁반, 날아가는 연... 전시 사진 속 어디에도 金順喆은 없다. 사진집 한 권의 사진들을 다 보아도, 金順喆 씨의 얼굴이 어떻게 생겼는지 조차 알 수 없다.
00540080, 3211151334919, 0185407, 317018 등 책 속에 등장하는 숫자들은 金順喆 씨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거라 짐작할 수 있지만 무엇을 나타내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런데도 도처에 金順喆이 ‘있다’. 위에 열거한 숫자들이 엄연히 존재했던 金順喆 씨의 환자번호, 주민등록번호, 군번, 납골당번호이듯이, 각각의 사진들은 모두 金順喆 씨의 고단했던 삶의 단편들과 감정들을 은유하고 묘사하고 상징함으로써 그를 호명한다. 이미 지나가 버린 시간과 사라진 존재를 현존하는 사물로 치환하는 방식을 통해 작가는 아버지 金順喆을 기억하고 기록한 것이다.
더 나아가 <金順喆>은 金順喆 한 사람만이 아니라 그로 대변되는 그 시대의 수많은 이들의 이야기로도 확장된다. 일제강점기와 광복, 전쟁이라는 상처와 유신, 민주화 항쟁 등…. 대한민국 현대사를 고스라니 관통했지만 자신의 삶을 스스로 컨트롤하기엔 역부족인 시대를 살았던 수많은 金順喆들의 초상인 것이다. 사진의 경계를 허물고 확장한 사진가 김희진에 대한 놀라움이 여기에 있다.
김희진의 <金順喆>은 사진집과 함께 6월 6일부터 6월 11일까지 전시된다. 사진책과 독자 사이 접점을 위해 류가헌이 꾸준히 이어가고 있는 22번째 사진책전시지원이다.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길 때 마다 그 속에 숨어 있는 한 인간의 삶을 추측해 보다가 마지막 페이지를 넘길 때 즈음 중첩된 이미지들의 잔상이 모여 독자의 아버지를 문득 떠올리기를 바란다.” 사진가의 말이다.
金順喆
일제강점기 그리고 광복, 전쟁이라는 상처와 유신, 민주화 항쟁 등….
그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컨트롤하기엔 역부족인 시대를 살았다.
모진 비바람 같던 그의 일생은 대한민국 현대사를 고스라니 관통한다.
그는 열다섯 살에 홀로 삼팔선을 넘었고, 6.25전쟁에 참전했다.
휴전이 되었고 생계를 위해 안 해 본 일이 없다고 했다.
마흔살이 다 되어서야 결혼을 했고 슬하에 1남2녀를 두었다.
몇 번인가 사업 실패로 고전했지만 가족들에겐 내색하지 않았다.
그는 돌도 안 된 아들에게 세발자전거를 선물했고, 대학가는 딸들에게는 데모하지 말라 당부했다.
시쳇말로 ‘이제 좀 살만해졌을 때’ 노환과 함께 알츠하이머가 찾아왔다.
생애 마지막 날, 흐릿해지는 정신을 부여 잡으며 그가 했던 마지막 한 마디는이 아버지가 부족해서 미안하다…였다.
김순철.
그는 나의 아버지가 아니다.
그는 당신의 아버지가 아니다.
그는 아직 살아 있는 이 시대의 초상이며, 우리 모두의 아버지다.
ps. 사랑하는 김순철씨, 이제 세상 시름 모두 내려 놓으시고 편안히 쉬세요.
김순철, 환유된 질문
김희진의 김순철은 힌트 없이는 이해가 불가능한 사진집이다. 실상 힌트를 준다고 해도 은유와 비유와 풍자와 묘사의 모순, 그리고 그것들의 상징이 환유되는 과정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사실상 김희진의 김순철을 이해하거나 느끼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38페이지의 ‘기억이 거꾸로 흐르기 시작했다. 과거는 점점 또렷해지고 현재는 자꾸 아득해졌다.’ 라는 글을 만나는 순간 당신은 지금껏 본 이미지들이 주는 지시체의 실상 또는 어떤 환영에 대해 어림짐작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이야기가 바뀔 때마다 책장에 등장하는 숫자들은 거의 난수표 수준이다. 00540080, 3211151334919, 0185407, 317018 등이 그러하다. 물론 우리는 아주 오랜 경험을 통해 이 숫자들이 이 사진집의 등장 인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 라고는 상상할 수 있지만, 이 숫자들이 정작 무엇을 나타내고 있는지는 알 수 없을 것이다. 실제 이 숫자들은 환자번호, 주민등록번호, 군번, 납골당번호이다.
이쯤 되면 당신은 118페이지의 ‘그가 떠났다. 아무도 불행하지 않았다.’ 에서 말 할수 없는 슬픔이 저 깊은 곳으로부터 올라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당신은 용도 폐기된 이미지들의 중첩과 난수표 같은 숫자들의 나열이 결국 누군가를 지칭 하고 있고 그 사람은 모순과 모순의 묘사로 환유되는 존재일 뿐 아니라,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우리 자신들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김희진은 우리들이 이미지뿐만이 아니라 숫자로도 김희진의 김순철이나 김순철의 김희진을 환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로소 당신이 처음부터 김희진의 김순철을 한 장 한 장 노려보며 김순철을 찾을 것을 예상하며!
이제 당신이 김순철에 대해 알았다면 당신은 김순철처럼 이 세상을 떠나도 ‘아무도 불행하지 않은 존재’인가? 그리고 그렇다면 당신은 당신을 어떤 이미지, 어떤 숫자로 나타낼 수 있겠는가? 이제 당신은 김희진의 질문에 답해야 할 김순철이 되었다.
사진가/김홍희
金順喆 1932-2015
‘金順喆’은 작가의 아버지다. 그러나 작가는 “그는 나의 아버지가 아니다. 그는 당신의 아버지가 아니다. 그는 살아있는 이 시대의 초상이며, 우리 모두의 아버지다.”라고 작가 노트에 썼다. 필자는 이 글을 읽었을 때 롤랑 바르트가 자신의 어머니에 대해서 했던 말을 떠올렸고, 리처드 아베돈이 임종 직전에 아버지를 찍었을 때 했던 말을 떠올 렸다. 비슷한 말이다. 즉 사진가는 어떻게 자아를 타자적 시선으로 전환할 수 있는가? 또는 어떻게 나를 향한 거울로서 대상이 세상을 향한 창으로서 대상이 될 수 있을까?
필자는 문학의 오랜 고민이었던 1인칭과 3인칭 서사의 인칭적 시점의 문제를 김희진의 ‘金順喆’에서 본다. 그러니까 화자의 시점을 고민했던 문학의 인칭적 서사 혹은 화법의 문제를 김희진의 사진에서 본다는 이야기다. 때문에 김희진의 ‘金順喆’이 어떻게 우리 모두의 아버지가 될 수 있는지 그 사진적 미학을 보게 된다.
또 하나, 한 주체의 연대기적 자국 혹은 몰락의 시간들이 어떻게 시간의 마디로 끊어지는지, 또 각 시대의 상징적 기호들을 통해서 어떻게 의미화 되는지를 보면 된다. 작가는 취객의 뒷모습에서 하늘로 날아가는 연(鳶)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시점과 거리감을 유지한다. 그로인해 역사적 기억으로서의 아버지의 시간이 모두의 아버지로 이끌어지는 3인칭 시점이 돋보이도록 했다.
역사적 기억의 문제는 사진의 버거운 숙제와 같다. 지난 과거를 어떻게 현재로 추스릴 수 있으며 몰락한 시간의 문제를 어떻게 현재로부터 부활 또는 복원시킬 수 있는 지는 여전히 난제다. 필자는 김희진의 ‘金順喆’에서 문학과 영화의 플래시백을 동시에 본다. 더욱이 시간이 아주 긴, 대과거를 현재형으로 말하는 연대기적 서사는 더 어려운 사진의 화법이다. 김희진의 ‘金順喆’은 그 어려운 ‘현재로부터 과거’의 플래시백의 문제, 시점과 서사의 문제를 자기만의 화법으로 잘 풀어냈다.
사진평론가/진동선
김희진 Heejin Kim
2013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광고디자인과 졸업
現 광고대행사 애드컴퍼스 제작국장
現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시각디자인과 겸임교수
Solo Exhibition
2017 이태원프리덤展, 서울 (갤러리74 / 초대展)
2017 말하는 사진展, 서울 (갤러리74 / 초대展)
2016 말하는 사진展, 서울 (노피디의 콩 볶는 집)
Group Exhibition
2017 일단찍GO픽쳐스展, 서울 (갤러리74)
2017 서울 오늘을 찍다展, 서울 (서울시립미술관SeMA창고)
2016 어쩌다 마주친 전시, 서울 (플레이앤드)
2016 P&I 2016 Photo&Travel 아티스트그룹展, 서울 (코엑스)
2016 Between展, 제주 (카페다미)
2015 intermission展, 서울 (DPPA 마포출판진흥지구협의회)
2015 사진집단 일우 중국 신선거 초대展, 서울 / 부산
2015 (DPPA / 서울숲갤러리 / 채스아트센타 / 중국문화원)
Publishing
2017 金順喆 / ILU
2017 이태원프리덤 / MUA
2015 신선거, 신이 머무는 그 곳 / 사진집단 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