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7 09
2017.08.23 17:32

손승현 Sung Hyun Sohn

조회 수 1200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HOMECOMING
전시기간 2017. 8. 27 ~ 9. 27
전시장소 복합공간 소네마리, 수유너머 104 1층 갤러리
오프닝 2017. 8. 29 5:00pm~7:00pm
작가와의 만남 2017. 8. 29 7:00pm
갤러리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성산로 315 (연희동 435) 1, 2층 수유너머 104 T.070-8270-091
작가 홈페이지 http://www.shsohn.com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nomadist.org
관람시간 평일 월-일 오전 10시~ 오후 18시
주최 복합공간 소네마리, 수유너머 104
후원 평화디딤돌(Steppingstone for Peace), 에이지아이 소사이어티(AGI Society), 수유너머 104
We are born into a social context. Some stay in the context that they are born into, and others face territories that are unfamiliar to them. These photographs tell the stories of people who had been born in Korea but left later, people who came back long time after they had left, or those people who did not manage to return to Korea at all. My ultimate concern is to have an intimate look at the living state of the Korean immigrants in the foreign lands and the social institutions that force them to live on as strangers, even when they return to Korea. These soci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as well as the power structure of the societies alter the human figure, even their most nuanced facial features. The pictures shown in the exhibition are an archive of historical testimonies of Koreans whose strange fate led them to live wandering around the world in countries such as the USA, Japan, China, and Russia for the past 100 years. Through the lens of appreciation,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barren and difficult landscapes of the transnational Korean lives.
  • ⓒ손승현 Sung Hyun Sohn
  • ⓒ손승현 Sung Hyun Sohn
    34 South & North 코리안 어메리칸 Mrs, Choi 2005 C-Print 최애영,아시아계미국인평등위원회,아시아계미국인유권자연합회대표
  • ⓒ손승현 Sung Hyun Sohn
    35인의 삶
  • ⓒ손승현 Sung Hyun Sohn
    South & North 코리안 어메리칸, 2004, 김포,재미화가 (1907-2014)
  • ⓒ손승현 Sung Hyun Sohn
    South & North 코리안 어메리칸, 2004, 이승만목사,미국교회대표단ncc대표
  • ⓒ손승현 Sung Hyun Sohn
    김양자,1943,파독 간호사
  • ⓒ손승현 Sung Hyun Sohn
    삶의 역사 셰넌 하나두나 하이트자매, 2014 Digital Inkjet Print 입양인 재미교포-1
  • ⓒ손승현 Sung Hyun Sohn
    장일삼, 사할린 귀국동포, 2014
  • ⓒ손승현 Sung Hyun Sohn
    70년만의 귀향 - 돌아오지 못한 영혼, 돌아오지못한 사람들, 홋카이도, 2017. Digital C-print 16 x 20inch
  • ⓒ손승현 Sung Hyun Sohn
    70 Year Homecoming, 2015. Digital C-print 16 x 20inch
  • ⓒ손승현 Sung Hyun Sohn
    이영빈 할아버지, 기억, 이주
  • ⓒ손승현 Sung Hyun Sohn
    슈마리나이, 북해도 동아시아 워크숍 2014
전시는 2016년 손승현 작가의 미국 일리노이 대학 초청전시 [Homecoming]작업의 일부를 복합공간 소네마리에서 보여진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가 그동안 여러차례 작업한 바 있는“고려아리랑”

작업이 새롭게 선보인다. 그동안 진행한 고려인들의 생애사 작업과 그 이야기들도 볼수있다. 올해는 중앙 아시아 고려인들의 강제이주 8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Homecoming] 사진전은 유럽, 아메리카, 러시아 사할린 동포, 중앙아시아 고려인 동포들, 조선족 동포, 북한 이탈 주민들(새터민), 자이니치(재일동포)를 비롯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초상이 전시된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합법적인 국민으로 살아왔지만 냉전과 분단이라는 한국사회의 암울한 역사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우리 사회의 소수자로 인식되어온 사람들의 이야기가 사진으로 전시된다. 전시는 한국에서 이주한 다른 사회에서 겪어야 했던 한국 이주민의 이야기를 통해 오늘날 다양한 문화계층이 공존해 살아가는 한국의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우리 근대의 해결되지 못한 큰 주제인 강제 징용에 대한 한국과 일본인들의 관계를 다룬 “70년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 돌아오지못한 사람들” 작업도 선보인다. [Homecoming] 전시는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오랜 기간 타국에서 다른 문화 속에서 살아온 코리안 디아스포라 인들의 이야기와 초상을 기록한다. 전시는 지난 20여년간 기록한 ”삶의 역사’, “South & North 코리안 아메리칸”, “70년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 돌아오지못한 사람들”, “고려아리랑”, “봉우제 카레이스키 마을” 등 5개의 사진작업이 전시된다.

HOMECOMING
돌아오지 못한 영혼,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손승현


사람이 세상에 와서 살아갈때 사회 공간 속의 많은 제도,환경과 관계 맺으며 살아간다 나는 그 동안 한반도에서 태어나 한국을 떠났거나 오랜 시간 지나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사람들, 고향으로 돌아간 사람들, 그리고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사진으로 기록했다. 나의 궁극적 관심사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적 모습들과 사람들에게 그런 사회적 삶을 살게하는 사회적 환경, 제도들이다. 한국인들이 각기 고향을 떠나 살아가야 했던 낯선 이방인의 땅, 각기 다른 사회 속 제도와 관습, 권력 등은 사람의 모습과 얼굴모양 마저도 바꾼다. 이번 전시에서 보여지는 사진들은 지난100년 동안 미국을 포함해서 일본, 중국, 러시아, 사할린, 중앙아시아 등 세계곳곳을 떠돌아 다니면서 살아야만 했던 기구한 운명의 한국 사람들의 역사적 증언으로서의 인물기록사진이다. 현실의 삶이 척박하고 힘들고 괴로워도 아름다움과 결합될 때 긍정적 효과와 연결된다는 생각을 사진작업을 통해 드러내자 했다.
[Homecoming] 사진전은 유럽, 아메리카, 러시아 사할린 동포, 중앙아시아 고려인 동포들, 조선족 동포, 북한 이탈 주민들(새터민), 재일동포들을 비롯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초상이 전시된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합법적인 국민으로 살아왔지만 냉전과 분단이라는 한국사회의 암울한 역사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우리 사회의 소수자로 인식되어온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가 사진으로 전시된다. 전시는 한국에서 이주한 다른 사회에서 겪어야 했던 한국 이주민의 이야기를 통해 오늘날 다양한 문화계층이 공존해 살아가는 한국의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Homecoming] 전시는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오랜 기간 타국에서 다른 문화 속에서 살아온 코리안 디아스포라 인들의 이야기와 초상을 기록한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여년간 기록한 ”삶의 역사’, “South & North 코리안 아메리칸”, “70년만의 귀향”, “고려 아리랑”, “봉우제 카레이스키 마을” 등 5개의 사진작업이 전시된다.

남쪽 왼쪽 벽면에는 “삶의역사”작업이 전시된다. 이 작업은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의 다양한 생애사와 삶의 기억을 채록하고 이들의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을 다양한 시각에서 담아내었다. 냉전체제의 붕괴와 국가 간 자본과 노동력의 이동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해지고 정치, 경제, 문화적 경계가 약화되고 있는 글로벌화(Globalation) 과정 속에서 짧은 기간 비약적 경제성장을 이룩한 한국 사회 역시 이주 노동자와 결혼이주자를 비롯해서 정치, 경제 역사적인 이유로 타국으로의 이주를 경험한 수많은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이 생겨났다. 이들은 여전히 삶의 터전이 해외에 있거나, 이제 긴 삶을 정리하고 한국사회에 돌아와 정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사회에 정착한 이주자 중 특히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인해 사할린과 중국, 북한 등으로 이주와 이산을 경험해야 했던 사람들의 경우, 우리와 같은 민족적 정서를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타국살이를 통해 체화된 타민족의 문화와 우리사회 내부의 차가운 시선으로 인해 한국사회에 적응함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러시아 사할린 동포, 중앙아시아 고려인 동포들, 조선족 동포, 북한 이탈 주민들(새터민), 재일동포, 재미동포들을 비롯한 코리안 디아스포라들과 한국사회에서 합법적인 국민으로 살아왔지만 냉전과 분단이라는 한국사회의 암울한 역사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우리 사회의 소수자로 인식되어온 사람들의 초상과 이야기가 기록된 작업이다.

남쪽 오른쪽 벽면에는 “South & North 코리안 아메리칸” 사진작업이 전시된다. 2002년부터 현재까지 남,북 아메리카 대륙의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의 삶의 현장에서 50여명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이 이야기는 1903년부터 시작된다. 그 해 인천을 출발한 배에는 하와이로 가는 한국인들이 타고 있었다. 보다 나은 삶을 약속하는 광고를 보고 인생을 기탁한 수백의 한국인들에게 이방의 땅에는 한국에서보다 더 고단한 삶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제 첫 한국인 이주민의 3,4세대 후손들이 선대의 희생 속에 자신들의 공동체를 일구어 삶을 영위하고 있다. 첫 한국 이민자들은 하와이, 그리고 서부, 동부로 퍼져나갔고, 현재 약 200만명의 소수 마이너리티를 형성하고 있다. 각 분야에서 활동하는 한국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 그들의 삶의 이야기는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그 이상의 것들이 많다. 그들 자신과 가족들의 이야기는 한국 현대 사회에 나타난 발전의 모순과 그대로 닮아있다.

서쪽 왼쪽 벽면에는 “70년만의 귀향” 작업이 전시된다 이 작업은 한국근대사의 일본 식민시기와 분단, 이후 일본에 살아야만 했던 재일동포들의 삶의 이야기다. 일본의 태평양 전쟁시기인 1939년에서 1945년 사이 일본 정부와 기업이 집행한 조선인 강제징용자는 일본으로100만명에 이르고 한반도 내에서 전쟁에 동원된 징용자는 450만명에 이른다. 한국에서의 징용자까지 모두 합하면 600만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일본정부와 일본의 대기업들에 의해 강제 징용에 동원되었다. 강제노동, 강제 연행의 문제와 더불어 오사카 교토 등 일본내 전쟁후 남겨진 재일 동포들의 거주와 생존권의 문제를 이야기한다. 홋카이도 강제노동 희생자 유골 발굴은 1980년대 일본의 시민과 종교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지난 1997년부터 17년간 한국과 일본의 민간 전문가들과 학생․청년들이 함께 일본 홋카이도에서 태평양전쟁 시기의 강제노동 희생자 유골 50 여구를 발굴하고, 인근 지역 사찰 등에서 100 여구의 유골을 수습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 홋카이도에 강제 연행 당한 한국사람들의 유골이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방치된 채로 60년 이상이 흘러가 버렸다. 강제 연행과 강제 노동은 일본정부가 전쟁 정책을 펴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고 관련 기업들이 많은 사람들을 그들의 고향으로부터 끌고 와서 죽음으로 내 몰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 정부와 기업이 책임을 지지 않고 지나간 일을 한국과 일본의 시민들이 알게 되고 인간을 존중하는 가장 기본적인 일로써 희생자 유골을 발굴해 그들의 고향으로 돌려보내주는 일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70년만의 귀향]사진작업을 통해 한.일 양국의 시민들이 국가간 갈등을 넘어 어떻게 교류하고 유골발굴을 통한 만남을 지속하고 있는지의 기록을 사진으로 살펴볼 수 있다.

서쪽 벽면은 “고려 아리랑”과 “봉우제 까레이스키 마을- Korean Russian Village” 작업이 소개된다. 중앙아시아 고려인 동포들이 한국으로 돌아와 그들이 살아왔던 방식대로 공동으로 살아가는 집단 농장을 기록한 사진작업이다. 이 이야기는 고려인 강제이주이야기로부터 시작된다. 1937년 7월, 중.일 전쟁이 일어나자 중국과 소련은 불가침 조약을 체결한다. 같은날 고려인 강제 이주에 대한 결의문도 채택된다. 고려인들 주거지에 일본 첩자의 침투와 내통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원동(연해주)에서 6,000km 나 떨어진 반 사막지대인 중앙 아시아 벌판으로 171,781명이 강제로 옮겨가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겨울 들판에 내려진다. 이후 소련 연방의 각지에서 여러 다민족들 또한 중앙아시아 지역으로의 강제이주가 이루어진다. 1937년 강제 이주가 이루어지고 흐루시초프 시대인 1957년 이후, 러시아 연해주나 우크라이나 체첸으로의 귀향, 1991년 소비에트 붕괴 이후의 한국으로의 노동 이주 등으로 이주 중이다. 이들 고려인들은 현재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등으로 이주했지만 이들의 정신세계를 구축하는 공통의 기억은 1937년 시행된 강제이주이다. 강제 이주 후에 형성된 다문화 사회, 다문화 집단 농장에서의 다민족 문화의 경험, 사회주의에서의 생활 경험은 이들이 새롭게 이주한 자본주의 국가 안에서의 공동체 생활을 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이들 고려인과 유대인, 체첸, 우크라이나, 쿠르드인들, 러시아인들 간의 교류와 결혼 등을 통해 이웃과 가족이 되었고 새로운 문화공간을 만들었다. 안산 원곡동에 이주해온 많은 고려인 후손들을 둘러싼 이런 다문화 속에서의 삶은 이미 그들이 살던 국가에서는 체험된 일상으로 볼 수 있다. 한국으로의 이주와 마을 만들기를 진행중인 이들의 의식속에는 이러한 다문화 속 삶의 경험이 바탕이 되고 있다.

지난 20여년간 조국을 떠나 타국의 삶의 경계에서 아슬아슬하게 살아온 수많은 한국인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들 수백명 한명 한명의 이야기가 가슴속 깊이 새겨졌다. 작가로써 가졌던 질문들 인간이란 과연 무었일까? 인간은 무엇으로 살아갈까? 에 대한 나의 기대를 훨씬 넘어가는 놀라운 삶의 이야기 때문에 이야기를 들으며 많이 울었고 그 삶들로부터 여러가지 배울 수 있었다. 이제는 작고 외소해진 사람들의 살아온 과거 이야기를 듣고 나면 그들에 대한 경외심이 생겼다. 그리고 그들의 삶을 이야기를 듣고 난 뒤에는 그 삶들에 대한 존경으로 진심으로 위로 드리고 싶은 사람들로 보였다. 내 가슴속에서 반응한 것은 이 사람들의 놀라운 ‘생명력’ 이었다. 감당하기 불가능한 힘들고 어려운 선택이 인생의 매 순간 다가와도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맞선 사람들의 얼굴은 삶의 지도와 같았다. 사진을 통해 이 사람들의 보이는, 그리고 보이지 않는 부분의 삶의 모습을 이야기 하고자 사진작업을 해왔다.

억눌린 자들의 전통이 우리들에게 가르치고 있는 교훈은,
우리들이 오늘날 그 속에서 살고있는 “비상사태 the state of Emergency” 라는 것이 예외가 아니라 항상 같이 한다는 것이다.
발터 벤야민, 《역사철학테제》

마지막으로 이번 전시작업을 지지해주신 정병호 교수님과 데이빗 플래스 교수님, 그리고 도노히라 요시히코 스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Homecoming_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Sung Hyun Sohn


We are born into a social context. Some stay in the context that they are born into, and others face territories that are unfamiliar to them. These photographs tell the stories of people who had been born in Korea but left later, people who came back long time after they had left, or those people who did not manage to return to Korea at all. My ultimate concern is to have an intimate look at the living state of the Korean immigrants in the foreign lands and the social institutions that force them to live on as strangers, even when they return to Korea. These soci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as well as the power structure of the societies alter the human figure, even their most nuanced facial features. The pictures shown in the exhibition are an archive of historical testimonies of Koreans whose strange fate led them to live wandering around the world in countries such as the USA, Japan, China, and Russia for the past 100 years. Through the lens of appreciation,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barren and difficult landscapes of the transnational Korean lives.

Homecoming is a collection of portraits and stories told by the transnational Koreans - from Koreans in Europe and America to Russians Koreans in Sakhalin, from Koryoin Koreans in Central Asia to Chosonjok Koreans in China, and from Saeteomin (North Korean defectors) to Zainichi Koreans in Japan. Also included are the portraits of repatriated unconverted long-term North Korean prisoners whose lives reflect the grim history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stories of what Korean emigrants have had to face in different societies including that of their homeland, this exhibition hope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cultural stratums that co-exist in Korean society today. Homecoming is composed of five projects: “Life Histories of Transnational Koreans,” “The Korean Americans,” “70 Year Homecoming,” “Koryo Arirang,” and “Bongwooje Korean Russian Village,” that were recorded over the past twenty years.

“Life Histories of Transnational Koreans” is featured on the south left wall. This project is a record of the diverse life histories and personal memories of transnational Koreans, capturing their images both past and present. With the end of Cold War, started the age of globalization where inter-country movement of the capital and labor became ever more active while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boundaries became fragile. Meanwhile Korea achieved an extensive economic growth in such short period of time and its society joined the rest of the world in witnessing countless cases of “diaspora,” accepting into its society, im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relocating for political, economic and historical reasons. Many of them left behind their foundation of life in the countries they originated from, and some put an end to the old life to create a new one in Korea. Among those who have relocated to Korea, are Koreans who have the history of having moved to Sakhalin, China and North Korea due to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and have experienced migration and separation of the families in the course. Although they share the common Korean sentiments, they find it very difficult to mingle back into the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 culture shock coming from having embodied foreign cultures over long years, and the cold treatment of stereotyping they receive from this society. Fellow Koreans from Sakhalin in Russia, Central Asia, China, Japan, America, as well as the North Korean defectors, live as legal citizens of Korean society, yet amidst the sad history of Korea tainted with the Cold War and separation of the peninsula, deemed as minorities of this country.

“The Korean Americans” is featured on the left right wall. This project, consisting of photographs taken from 2002-2016, is a photographic record of approximately fifty members of the Korean Americans living in North and South America. The Korean-American story goes back to 1903 when hundreds of Koreans set sail from Incheon port for a better life in Hawaii as advertised. What they found in Hawaii, however, was a life that was harder than that of the homeland. The present members of the Korean-American communities are the descendents of the Korean immigrants, removed by three to four generations. The early generations of Korean-Americans spread to the West and East coasts of America to form a minority of approximately 2-million today. It is no longer surprising to find a Korean-American working in every field of the American industries. From 2002 I have been interviewing Korean-Americans who have settled in America, and what I’ve found is that there is more to their lives than meets the eye. Their life stories and family histories resemble the contradictions found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70 Year Homecoming” is featured on the left side of the west wall. This project is the story of the lives of Zainichi Koreans who were forced to live in Japan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Between the years of 1939 and 1945, during the Asia-Pacific war, as many as one million Koreans were conscripted to Japan as forced laborers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Japanese companie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up to four and a half million Koreans were conscripted and forced to serve for Japan in the war. Including Koreans that were conscripted domestically, up to six million Koreans were forced to work for the Japanese government or Japanese companies. Along with the issues of forced labor and forced emigration, these photos tell the stories of the Zainichi Koreans who were left in Osaka, Kyoto, and other parts of Japan after the war ended, as well as the problems they faced, fighting for their right to reside and right to live. The excavation of Korean forced laborers in Hokkaido has been underway since the 1980s, led by some citizens and religious leaders in Japan. Since then, and over the past 17 years since 1997, Korean and Japanese experts, students, and youths have excavated the skeletons of 50 victims who died due to forced labor in Hokkaido during the Pacific War, along with the remains of about 100 additional victims recovered at temples nearby. While preparing for the project, “70 Year Homecoming,” to transport the ashes of 115 Korean victims such a long distance back to their home, the exhibition was planned to illuminate how these victims were connected to people still alive today. After the Pacific War ended, it was known that there were many bodies of Korean victims in Hokkaido, where they had been brought for forced labor. Their remains were left on the strange island for over 60 years. Forced labor was encourag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during wartime to implement the country’s war policies. Following the government’s directions, many companies dragged numerous Korean people from their hometowns, forcing them into work until their death.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ompanies still ignored their responsibilities,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uncovered this historical tragedy and began to work at excavating the remains of Korean victims in order to send them home. The excavation project should not be understood only in terms of a conflict between assailants and victims. The discontinued relationship in history can only be recovered when all those involved in the excavation project dedicate themselves to their duties. “70 Year Homecoming” will show how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have opened their minds and communicated throughout the cooperative project for the excavation of Korean victims, overcoming any conflicts that exist between the two countries.

“Koryo Arirang,” and “Bongwooje Korean Russian Village” is featured on the west wall. This project depicts Koryoins, or Korean emigrants in Central Asia, who returned to Korea and created a community farm collective. Their story begins with the forced relocation of Koryoins. In July 1937, at the start of the Sino-Japanese War, China and the Soviet Union signed the Sino-Soviet Non-Aggression Pact. On the same day, the resolution regarding the deportation of Koryoin was also adopted. The official reason for the forced relocation of Koryoin was to suppress the possibility of Japanese spies infiltrating the areas where Koryoins resided. 171,781 people were forcibly moved over 6,000km from the border regions where they had been living, to the semi-desert regions of Central Asia, and left to resettle in the wintery fields of Kazakhstan and Uzbekistan. After the first wave of deportation was carried out, Koryoins continued to be deported from different areas of the Soviet Union to various multiethnic regions of Central Asia. After the forced relocation of 1937 and since the Khrushchev era beginning in 1957, Koryoin have been returning to the border regions of Russia, Ukraine, or Chechen, an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many have begun returning to Korea as migrant workers. Although Koryoin have migrated to areas throughout Asia, such as present-day Russia, Central Asia, and Korea, the collective memory that has forged their consciousness is the forced relocation of 1937. The multiethnic cultural experiences they had from working on multicultural collective farms and living within multicultural societies after they were deported, as well as their experiences living in a socialist society, have become the basis of their communal living within the capitalist countries to which they have migrated. Through cultural exchange and marriage, etc. between Koryoin and Jewish, Chechen, Ukrainian, Kurdish, and Russian people, Koryoin have become neighbors and family members and have created a new cultural space. For the many Koryoin descendants who have migrated and now live in Wongok-dong neighborhood of Ansan, South Korea, living in a multicultural community is something that they have already experienced in their home countries. For Koryoin who have migrated to South Korea and are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ir community, the experience of living amidst such multiculturalism is already a basis of their consciousness.

For the past twenty years, I have listened to the stories of hundreds of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those who had to leave behind their homelands and barely managed to live and survive in foreign lands. Each and every one of their stories left a deep impression on my heart. As a photographer, my work has always been an attempt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at it means to be human and what it is that we live for. The answers that I heard in the course of hearing their amazing life histories exceeded my expectations by leaps and bounds, often brought me to tears and taught me so much. Although at first glance, they would be considered weak and vulnerable by most of society, I grew a sense of awe and respect for them after hearing their life stories. What my heart responded to most was their exceptional vitality. Their faces were like maps of their lives - lives which had been spent confronting impossibly difficult choices head-on, even though they approached them every moment of their lives. The goal of this project was to capture and convey in photographs both the visible and invisible parts of their lives.

The tradition of the oppressed teaches us that “state of emergency” in which we live is not the exception but the rule.
Walter Benjamin, from “Theses on the Philosophy of History.”

I’d like to thank Professor Byung Ho Chung, Professor David Plath, and Tonohira Yoshihiko. Without their generous support this exhibition wouldn’t have come to fruition.

Recapturing a light long lost
카메라는 노인들의 눈에서 빛을 도로 찾아줄 수 있을까?


이영준


노래가 소리를 잃는다면 얼마나 슬플까? 슬프기에 앞서서, 우리는 노래의 호소를 들을 수 없을 것이다. 노래의 소리는 악기와 결과 분위기와 양식에 따라 다성적(polyphony)이므로 그 호소도 매우 다층적이다. 만일 한 가지 방식으로 호소해서 통하지 않으면 다른 방식을 쓰면 된다. 피리로 호소했는데 안 통하면 북으로 호소하면 된다. 따라서 소리의 호소를 한꺼번에 잃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사진이 빛을 잃는다면 얼마나 슬플까? 오늘날 빛의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빛의 예술인 사진도 그 가치를 잃고 말았다. 빛이 귀하던 시절에는 작은 빛도 소중하게 여겼다. 동진(東晋)의 차윤과 손강은 반딧불빛으로 공부했다고 하는데 오늘날 빛이 모자라서 공부 못 하는 사람은 없다. 세상을 밝혀줘야 하는 빛은 전기의 힘을 빌어 범람하더니 급기야는 사람의 눈을 멀게 했다. 빛이 너무 강하고 밝아서 눈이 멀고, 빛에 실려 전달되던 온갖 소식과 즐길 거리들이 혹세무민하고 곡학아세하니 눈이 멀게 된다. 정말 좋은 빛을 좇아서 아주 세심하게 조절해서 이미지를 만드는 예술인 사진도 빛을 잃었다. 한때 세상을 밝혀주던 등불 역할을 하던 사진은 이제는 세상의 눈을 멀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됐다. 누구도 사진을 귀하게 여기지 않게 됐고, 사진이 전하는 빛을 제대로 들여다 볼 생각을 안 한다. 도탄에 빠진 세상에서 사진이 할 일은 무엇일까? 나아가, 도탄에 빠진 사진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손승현은 이런 무거운 책무감을 안고 거친 바람이 부는 대륙으로 갔다. 거기에는 대륙 같은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사람과 일대일로 맞붙으면 능히 제압할 수 있는 영물인 호랑이도 인간의 간사한 문명 앞에서 무기력하듯이, 대륙의 거친 사람들도 간사한 도회 사람들 앞에서 무기력해진다. 한때 대륙을 호령하던 사람들은 이제는 대륙의 변방으로 밀려났다. 몽골이 그랬고 아메리카 인디언이 그랬으며 이번에는 사할린이 그렇다. 지리적으로만 변방이 아니라 정치적으로, 문화적으로 변방이 됐다. “아무개네가 캘리포니아로 이민 갔대” 하면 부러워 해도 사할린으로 이민 갔다면 혀를 찰 것 아닌가. 손승현은 타의에 의해 변방으로 밀려난 사람들을 찾아 다닌다. 그들의 거칠지만 살아 있는 숨결을 찾아서.
노인들의 눈에서는 빛이 사라졌다. 그들도 젊었을 때는 눈에서 빛이 났을 것이다. 그러나 오랜 세월 고향을 등지고 거친 땅을 떠도느라 눈에서 빛을 잃은 지 오래다. 고향이란 언제든 돌아갈 수 있는 곳이 아니라 희망고문의 땅이었기에 눈을 반짝이며 고향 갈 날을 기다리는 것은 너무 힘들어 포기한 지 오래다. 누가 이들의 눈에 도로 빛을 찾아줄 수 있을까? 과연 눈에서 빛이 난다는 것이 무엇일까? 눈에서 빛이 나기는 하는 걸까? 인간이 반딧불 같은 발광체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고, 들짐승의 홍채를 가져서 눈에서 빛을 반사하는 것도 아닌 이상 사람 눈에서 빛이 날 리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눈빛‘이라는 말을 쓰는 걸까? 아마도 이때 빛이란 생기에 대한 은유일 것이다. ’부리부리한 눈빛’이라거나, ‘눈을 빛내며 관심을 보였다’는 말들은 눈 주위의 얼굴 전체에 활기와 긴장이 넘치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일 것이다. 눈 자체가 빛을 낼 리는 없으니 말이다. 사할린에 끌려간 노인들에게서 눈빛이 사라졌다는 것은 그들을 살아서 움직이게 할 활기가 없다는 뜻일 게다. 그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는 디아스포라의 한을 쉽게 풀 수 없으니 말이다.
빛을 잃어버려 낡은 매체가 된 사진이 사할린 실향민의 눈에 빛을 찾아줄 수 있을까? 손승현은 그렇게 하기 위해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사진으로 실향민의 한을 풀어주려는 것이다. 오랜 세월 구구절절한 사연들과 더불어 쌓인 한을 작은 카메라로 풀 수는 없을 것이다. 아마도 카메라는 그 얘기를 들어주는 상자가 아닐까. 한이라는 개념에 대해 생각해 보자. 누구는 한이 우리 민족의 문화적 특질이라고 하는데 말도 안 되는 얘기다. 역사적으로 숱한 핍박을 받으며 커온 우리 민족이지만 우리 보다 더 심한 핍박을 받은 민족이 더 많다. 우리가 아무리 핍박을 받았다고 해도 유태인처럼 외세에 의해 600만명이나 학살당하지는 않았다. 오랜 세월 동안 중국, 프랑스, 미국에 유린당한 베트남에 비하면 우리가 받은 핍박은 약하다. 칭기즈칸이 훑고 지나간 지역의 사람들은 아예 몰살을 당했다. 하지만 한을 양의 문제로 따질 수는 없다. 한은 성질의 문제다. 가슴에 맺힌 그 어떤 성질이 한이다. 한을 문화라고 말 할 때는 문화라는 말의 사전적 정의에 따라 그것을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어주는 활동과 산물을 말 하는 것이다. 즉 가슴에 한이 맺혀서 땅을 치며 울화를 돋구는 것은 문화가 아니다. 한이 문화가 된다는 것은 한을 풀어내기 위한 제스처들, 노래나 그림들, 그 내러티브의 형상화를 말한다.
한은 우리 민족의 특질이 아니라 우리 민족이 당한 설움의 역사를 우리가 기억하는 방식이다. 우리는 핍박의 역사를 슬픈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만일 그것을 슬픔이 아니라 보복의 차원에서 기억했다면 그것은 슬픔과는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것이다. 그러나 고려 때는 몽골에, 근대에는 일본에 그렇게 당했으면서도 보복하겠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기껏해야 축구 한일대항전에서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정도다. 아마 그게 우리가 품고 있는 한의 결인지도 모른다. 엄청나게 맺히고 꼬여 있는 것 같지만 별것 아닌 일로 스르르 풀려 버리는 것. 그렇다고 한이 가볍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아주 작은 열쇠 하나면 풀리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 열쇠가 어디 있는지 몰라서 헤맸을 뿐이다. 손승현은 사진 속에서 그 열쇠를 찾는다. 사할린에 징용 가서 고국에 못 돌아오고 눈을 감은 이들, 혹은 늙고 병 들어서 설사 고국에 돌아온다 해도 발걸음 하나 제대로 떼기 힘든 이들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 카메라를 든다. 그들의 한 맺힌 사연 몇편을 소개해 본다. 출처는 모두 부산에 있는 사할린 한인 역사 기념사업회 홈페이지 중 [사할린으로 부터의 호소] (ttp://sahallin.net/campaign/hope.php)이다.

모국어를 한국어로 쓰지 않아 이렇게 러시아어로 쓰는 것을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사할린주 시네고르스크부락 출신입니다. 1950년 2월 27일생 이용대입니다. 부모님들은 일본정부가 사할린으로 끌고 왔습니다. 정확한 시기는 정확히 모르지만 1943~44년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버지는 이을돌입니다. 어머니는 차말연입니다. 아버지는 시네고르스크탄광에서 일하셨고, 1951년에 고향을 보지 못하신 채 돌아가셨습니다. 지금 저의 기억으로는 어머니가 많은 눈물을 흘리면서 노래를 부르셨습니다. 저도 그 모습을 보고 너무 안타까웠고, 고향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어머니는 다시 한 번 고향에 갈 수 있다는 소식을 듣지 못하고 1982년에 돌아가셨습니다. 저는 30년 동안 강아지 목에 걸린 줄을 매달고 살 듯 살았습니다. 무국적자로 살았던 것입니다. 무국적자에 대해서는 책을 내야할 정도입니다.
2011년 1월 29일 이용대, 주소: 유즈노사할린스크시 네벨스카야거리 4-19

작은 카메라로 대륙만한 크기의 한을 풀어준다는 것은 언감생심이다. 그저 한의 끝을 잡아볼 수 있을 뿐이다. 카메라가 구원의 역할을 한다고 하면 지나친 기대일 뿐이다. 구원할 수 있는 존재는 하느님 아니면 행정관청 뿐인데 손승현의 카메라는 하느님도 아니고 행정관청도 아니다. 기껏해야 기록도구일 뿐이다. 손승현의 카메라는 한 많은 사연을 들어주는 작은 귀일 뿐이다. 사람 귀에는 청각신경이 있고 그 신경은 뇌에 연결돼 있으며 뇌는 신체 바깥의 온갖 맥락들과 타자들과 닿아 있다. 사실 사진에 대한 판단은 이미지 자체가 좋으냐 나쁘냐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지 바깥에서 무엇을 하고 돌아다니느냐 하는 퍼포머티브한 측면에 맞춰져야 한다. 즉 이미지가 구원하는지, 혹은 파멸 시키는지, 정보를 주는지 혹은 감각적 놀이에 집중하는지, 의학에 쓰이는지, 전쟁에 쓰이는지 하는 퍼포먼스들 말이다. 손승현의 이미지들은 인류학이라는 실천과 맞닿아 있다. 그는 아트 갤러리가 아니라 인류학 학술발표회에 주로 사진을 발표한다. 대륙의 인간들을 쫓아다녀 놓고 그들의 이미지를 아트 갤러리의 숨 막히는 화이트 큐브에 가둬 놓는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조국을 떠난 한인들의 궤적은 아주 큰 상처 같이 넓게 퍼져 있는 지리적 지역들을 이리저리 할퀴고 지나간다. 러시아의 모스크바에서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할린까지, 중국의 흑룡강과 길림, 베이징까지 상처는 대륙적 스케일로 나 있다. 그 궤적은 멀리서 보면 항공사의 노선도 같아 보인다. 그러나 디아스포라가 되어 낯선 땅을 떠돈 한인들의 궤적이 항공사 노선도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전자는 마음대로 경계를 넘나들며 여행할 수 없다는데 있다. 그들의 정체성은 드넓은 하늘을 떠돌 뿐이다. 그러면서 분열돼 있다. "디아스포라에게는 조국(선조의 출신국), 고국(자기가 태어난 나라), 모국(현재 '국민'으로 속해 있는 나라)의 삼자가 분열해 있으며 그와 같은 분열이야말로 디아스포라적 삶의 특징이다. 그들에게 조국•고국•모국이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삼자의 지배적인 문화관이나 가치관은 서로 많이 다르고 자주 상극을 이룬다"(서경식 [디아스포라 기행―추방 당한 자의 시선] 돌베개 2007, p.114). 이들 한인 디아스포라들은 국민국가가 추구하는 안정된 질서 바깥으로 떨어져 나온 사람들이다. 국민국가는 그 경계 언저리에 있는 분열되고 주변화된 주체들에게 별 관심이 없다. 그래서 일제 때 사할린에 징용 간 분들이 다시 한국 땅을 밟기 까지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이다. 손승현은 그런 분들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스스로 디아스포라가 된다. 그의 카메라도 따라서 디아스포라가 된다. 그의 작업도 예술사진의 범주에 머무르지 않고 디아스포라가 되어 인류학과 다큐먼트와 기념사진 사이를 오간다.
손승현은 일본에 강제로 징용 갔다 유골로 되돌아온 분들의 흔적을 찍은 [70년만의 귀향]에 대해 ‘참여사진’이라는 말을 붙였다. 그리고는 겸손하게 그 분들이 고향으로 되돌아온 경로를 제사를 지내듯이 따라다니며 사진 찍었을 뿐이다. 그는 귀향의 경로를 다시 밟기 위해 일본 홋카이도 최북단의 하마톤베쯔 마을까지 찾아간다. 그곳에는 강제징용 갔던 한인 노동자들의 유골이 묻혀 있었다. 그는 귀환의 경로에 실제로 참여했던 것이다. 그 결과로 나온 사진들은 전혀 스펙터큘러 하지 않다. 오랜 세월 한 맺힌 유골이 돌아오는 장면을 스펙터클로 만든다는 것은 미적으로나 윤리적으로나 맞지 않는 일이다. 그는 귀향의 과정에 참여하면서 유골로 남은 분들의 고통에 참여하고 살아남은 분들의 고통에도 참여하려 한다. 사진으로 하는 참여는 심정적 참여로 이어진다. ‘예술의 현실참여’라는 이름으로 실제로는 아무런 기여도 하지 못하는 선언적 예술을 했던 과거의 예술가들과는 다르게, 손승현은 겸손하고 경건하게 곁을 지킬 뿐이다. 그 사진들을 예술의 영역에 넣는 것은 적당치 않아 보인다. 그것은 인류학 기록에 가깝다. 그렇다고 서구의 인류학자들이 남미나 아프리카, 아시아에서 했듯이 타자들을 대상으로 삼아 기록하고 분석하는 식의 인류학과는 많이 다르다. 그것은 심정적 참여의 인류학이다. 낯선 땅으로 유배되고 징용 되어 정체성도 빼앗기고 고통 속에 살아야 했던 분들을 어찌 인류학의 이름으로 대상화할 수 있단 말인가. 손승현의 카메라는 겸손하다. 그의 카메라는 대상을 기념비처럼 우뚝 선 것으로 묘사할 경우에도 겸손했다. 한국전쟁 때 포로로 잡혔다가 끝내 전향을 거부하고 장기수로 살다 나온 분들, 백인들에게 짓밟혀 자기 땅에서 내쫓기고 야만인 취급을 당한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검은 배경에 정면상으로 찍어서 존재감을 적극적으로 드러냈지만 그래도 카메라는 겸손하게 그들의 존재가 떠오르게 했을 뿐이다.
그렇게 해서 그는 정체성을 잃고 떠돌던 분들에게 빛을 되찾아 줬을까? 무리스런 요구다. 국가가 못 하는 것을 어떻게 개인 사진가에게 요구한단 말인가? 아마도 손승현의 카메라는 우리가 빛을 잃은 시대에 살고 있음을 증언하는 도구인지도 모른다. 필자는 이 글을 쓰는 동안 시베리아의 이르쿠츠크를 다녀올 기회가 있었다. 초가을이라 날씨는 선선했고 햇빛은 눈부셨었다. 끝도 없는 타이가숲에는 자작나무와 소나무들이 한도 끝도 없이 뻗어 있었고 공기는 참 맑았었다. 하지만 러시아라는 곳은 척박했다. 사람들 인심도, 언어도 통하지 않았다. 아마도 겨울의 그곳은 무척이나 삭막한 곳이리라. 우리의 조상들이 먼 옛날 이런 땅을 떠돌았다는 생각을 하니 가슴이 먹먹해져 왔다. 나는 관광객으로 편하게 왔지만 그들은 유민(流民)이 되어 떠돌며 시베리아에 왔다. 그들은 많은 것을 잃었다. 정든 고향만이 아니라 정체성을 잃고 기억도 잃었다. 손승현의 카메라는 그 잃어버린 것들을 되찾아주려는 시도이다. 하지만 그 시도가 반드시 성공해야 빛이 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어차피 국가도 하지 못한 일을 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작은 카메라로 커다란 한을 담으려 한 그 시도 자체가 빛나는 일이다. 오랜 세월 동안 드넓은 대지와 하늘에서 쌓인 한을 푸는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카메라는 한 없이 겸손해지고 손은 떨린다. 그렇게 낮아져야만 비로소 눈물 젖은 사연을 만날 수 있을 것 같다. 그것은 작가도 포기하고 인류학도 포기하고 진리도 포기해야 가능한 일이다. 무엇을 찍겠다고 달려드는 태도 보다는 제사 지낼 때 술 한 잔 올리듯이 경건하게 찍는 그 태도가 눈물을 닦아줄 수 있는 것 아닐까. 손승현의 사진을 보면서 사진이 한 없이 힘이 없다고 느끼는 것은 나만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손승현의 시도는 더 가치가 있다. 불가능에 가까운 것을 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사진의 가치를 제대로 느끼려면 역사가 흘러 남의 땅에 끌려간 사람들이 온전한 모습으로 되돌아오고 그 분들의 정체성이 제대로 회복될 때가 돼야 할 것이다. 그때가 되면 억울한 눈에 피눈물이 난 사연을 카메라가 담을 수 있었는지도 알 수 있을 테니까. 그런 점에서 손승현의 작업은 미래지향적이다. 먼 땅으로 끌려갔던 분들이 돌아오려면 미래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성급하게 셔터를 누르는 카메라가 아니라 당장 눈앞의 그림을 놓쳐도 기다리는 카메라가 진정 가치 있는 카메라인 것 같다. 이제 서서히 빛이 돌아오는 것 같다. 이 세상의 온갖 매력적인 스펙터클의 빛에 눈이 멀었던 사진이 무엇을 밝혀야 할지 스스로 알게 되는 것 같다. 사할린으로 징용 갔던 분들의 주름살 속에도 빛이 살아나는 것 같다. 홋카이도에 징용 갔다가 돌아가신 분들의 유골함에 밝은 빛이 비추는 것은 왠지 우연은 아닌 것 같다.

Recapturing a light long lost


Youngjun Lee


The light has disappeared from their eyes. When they were young, their eyes would’ve sparkled, full of light. But, after having to leave their hometowns behind and settle in new lands, the light has long been lost. The word “hometown” came to mean not a place that you could return whenever you wished, but rather a source of false hope. Dreaming of going home - eyes shining bright with hope - only made it harder, only served to torture them further. And so, they gave up such hope. Who can recapture the light long lost from their eyes? Using the word light to describe someone’s eyes is a metaphor for liveliness. Phrases like “big bright eyes” and “to have stars in one’s eyes” refer to situations where one’s entire face is full of life and energy. That the light has been lost from the eyes of the elderly men and women who were forcefully exiled to Sakhalin means that they have lost their liveliness; the weight on their shoulders, the deep sorrow or ‘han’ of the diaspora, cannot be easily resolved.
Can an old medium that has lost its luster like photography recover the light lost from the eyes of the displaced Sakhalin? Sung Hyun Sohn work is an effort to do just that. Put another way, he is fighting to resolve the ‘han’ of the displaced Sakhalin through photography. Of course, the ‘han’ built up through each and every difficult circumstance and struggle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n hardly be resolved with one small camera alone. Rather, the camera is a tool that listens to its subject’s stories. Regarding ‘han,’ some may say that it is a cultural characteristic specific to Korea, but that is, of course, nonsense. Although Korea developed under enormous persecution throughout our history, there are many other peoples who have faced even greater persecution. But ‘han’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measured and compared; it is a temperament, a state of mind. ‘Han’ is a deep sorrow and resentment in one’s heart. When referring to ‘han’ as a culture, based on the dictionary definition for the term, we are referring to the actions and products that give culture its meaning. In other words, if one pounds the ground with rage due to their ‘han,’ that is not culture. ‘Han’ becomes culture through the gestures, songs, drawings, and narratives created in order to release one’s ‘han.’
‘Han’ is not specific to Koreans but it is a way to recollect the deep sorrow and pain of our history. We remember the persecution of our past as sadness. If, however, we remembered our history not as sadness but as a dimension of retaliation, such memories would be felt differently. However, even after being persecuted by Monglia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again by Japan in modern history, I have never heard a pledge to retaliate. At most, we cheer fervently for Korea to beat Japan in soccer matches. This may be a result of the ‘han’ we are still carrying with us. Although it can seem overwhelming and inescapable, we are able to eventually untangle and release ourselves from it. That said, although ‘han’ is not something to be taken lightly, it may be unlocked by a single, small key, but searching for that key can lead to years of wandering. Sung Hyun Sohn is finding the key in photographs. Using his camera, Sohn attempts to release the ‘han’ of the Koreans who were conscripted and met their deaths without being able to return to their motherlands, or of those who may have been able to go home in their twilight years, but were unable to take a proper step in their hometowns due to their age and frailty. I would like to introduce one such story, from the website of the Sakhalin Korean Historical Commemoration Society located in Busan [The plea of Sakhalin Koreans] (http://sahallin.net/campaign/hope.php):

“I feel sorry that I write my mother tongue, not as Korean, but as Russian. Please understand. I am from the town of Sinegorsk on the island of Sakhalin. My name is Lee Yong-dae and I was born on February 27, 1950. My parents were brought to Sakhalin by the Japanese government. I am not sure of the exact date, but I believe it was around 1943-1944. My father’s name is Lee Eul-dol and my mother’s name is Cha Mal-yeon. My father worked in the coal mines in Sinegorsk and he passed away in 1951, having never been able to return to his hometown. From my recollection, my mother wept as she sang. Seeing my mother like that made me feel pity for their situation and made me realize what exactly hometown meant. My mother passed away in 1982, also never able to return to her hometown. I have lived the past thirty years like a dog with a collar around its neck due to being stateless. The things I could tell you about living as a stateless person, I could write a book about it.” Lee Yong-dae, January 29, 2011

Resolving ‘han’ the size of continents using nothing more than a small camera is an impossible task; perhaps it is only possible to grasp the end of its rope. Expecting a camera to play the role of lifesaver is unrealistic. At best, Sohn’s camera is an instrument for recording, a single ear listening to the ‘han’-filled stories of their lives. Truthfully, the value of a photograph is not a matter of whether the image is ‘good’ or ‘bad,’ but rather it is determined by the performative aspect of its meaning and impact in the outside world. In other words, is the image being used as a performance of rescue or ruin, or is it being used to convey information or to stimulate senses, or is it being used for medical purposes or as wartime propaganda? Sohn’s images are used in anthropological practice. In fact, his works are usually exhibited not in art galleries but at anthropology conferences. After all, it would not be right to confine the images of those he has traveled across continents to capture, to the white cubes of art galleries
The life trajectories of Koreans who have had to leave their motherlands are scratched like a large scar across widely spread geographic regions. From Moscow, Russia to Kazakhstan and Uzbekistan, reaching as far as Sakhalin, or from China’s Heilong Jiang and Jilin to Beijing, the depth of the wound is continental in scale. Looking at those trajectories from afar, it presents like a map of airline routes. However,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life trajectories of diasporic Koreans who were left to settle in unfamiliar lands and airline routes is that the former could not simply cross borders and travel as they pleased. For those who are a part of the diaspora, the term ‘homeland’ is divided into three meanings: the homeland where your ancestors were from, the homeland where you were born, and the homeland where you currently reside as a ‘citizen.’ Such divisions are characteristic of diasporic life. Not only do these three homelands not coincide, the dominant culture or set of values among the three can be extremely different from and incompatible with each another (Seo Gyeong-sik [Tour of the Diaspora: From the Eyes of the Exiled] Dolbaegae 2007, p.114).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fall outside of the order of stability sought by the nation-state. The nation-state has little concern for the separated and marginalized that exist on the perimeters of such borders. Thus, it took a long time before those who were conscripted to Sakhalin were able to set foot on Korean soil again. Following the routes of diasporic Koreans around the world, Sohn, along with his camera, has become a member of the diaspora himself. His work has exceeded the parameters of art and now fluctuates somewhere between anthropological study, documentary, and commemoration.
Referring to 70 Years Homecoming, a project comprised of photographs of the vestiges of the lives of those who had been forcibly taken to Japan and who later returned to Korea as ashes, Sohn called it ‘concerned photography.’ In addition, as if carrying out ancestral rites, he humbly retraced and photographed the route taken to return to their hometowns. In order to retrace their steps home, he traveled as far as Hamatonbetzu, the northernmost village of Hokkaido. The remains of many Korean forced laborers had been laid to rest there. Sohn thus participated in their journey to repatriate and return to Korea. The photographic results of this endeavor were not spectacular in the least. Frankly, making the scenes of sorrowful ashes being returned to their homelands into spectacular images is both aesthetically and ethically incongruous. By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return, Sohn sought to participate in the suffering of the deceased, as well as in the anguish of those still living. To participate through photography is to participate emotionally. Through ‘concerned photography,’ different from declarative art that allowed no level of contribution from artists in the past, Sohn humbly and devotedly stayed by the side of his subjects. These photographs do not seem to fully belong to the realm of art, but rather, are closer to an anthropological record. Still, this record is vastly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anthropologists, whose methods were to record and analyze the ‘others’ of South America, Africa, or Asia. Sohn’s work, rather, is an emotional participatory anthropology - studying, in the name of anthropology, those who were forcibly exiled to foreign lands, losing their identities and forced to live in suffering. Through all of this, was Sohn able to recover the light long lost from their eyes? Really, it is asking too much. How can we ask something of an individual photographer that even the state couldn’t accomplish? Perhaps Sohn’s camera serves instead as an instrument that testifies that we are living in an era that has lost its light.
In the process of writing this review, I had the opportunity to travel to Irkutsk, a large city in Siberia. At the time, it was early fall so the weather was refreshing and the sun was shining. Birch and pine trees stretched out as far as the eye could see in the seemingly endless Taiga Forest and the air was crisp and clear. But still, Russia is a barren land. Hospitality and language could not be properly conveyed and communicated. It is a place that is likely extremely desolate in the winter. Thinking of our ancestors wandering this land long ago filled my heart with sadness. I was able to go comfortably as a traveler, but they came as displaced people who were left to fend for themselves in Siberia. They would have lost a lot, not just their beloved hometowns, but also their identities and memories. Sohn’s camera is an attempt to recover some of the things that they lost. However, it is not necessary for that attempt to be successful in order for the light to return. The very attempt to capture the enormous ‘han’ using a small camera lens is an act of illumination. Resolving and letting go of the ‘han’ that has built up over so many years is not an easy matter. I don’t think I am the only one who feels infinitely vulnerable when looking at Sohn’s photographs. It is for this reason that his effort is that much more valuable, since he is attempting to do the nearly impossible. The value of his photographs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the passing of time, the full return of those that were taken to other lands, and the true restoration of their identities.

손승현 Sung Hyun Sohn


사람과 그 주변에 대한 관심으로 사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인을 비롯한 몽골리안의 역사, 사회, 경제에 관한 이야기를 시각예술작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북미 원주민 공동체에 깊숙이 들어가 이들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여정을 함께하고 있다. 해마다 몽골과 북미 여러 곳을 여행하며 주된 작업인 사진작업과 글쓰기를 통하여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폭넓은 이야기와 현실 문제에 대한 문명비판도 병행하고 있다. 2002 광주 비엔날레를 비롯해 뉴욕, 이탈리아, 독일, 몽골 등지에서 60여 차례 전시에 참여했고 국내외의 여러 출판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지은 책으로 미국 원주민의 이야기인 『원은 부서지지 않는다 (The Circle Never Ends)』(아지북스, 2007)와 『제 4 세계와의 조우 (Close Encounters of the Fourth World)』(지오북, 2012), 사진집으로『밝은 그늘 (Bright Shadow)』(사월의 눈, 2013), 삶의 역사- 안산, 홋카이도, 사할린, 그리고 타슈겐트 (한양대학교 글로벌 다문화연구원, 2015) 그리고 공역서로 원주민 구전문학인 『빛을 보다 (Coming to Light)』(문학과지성사, 2012)가 있다. 미국 인류학회(AAA) 회원이고 한국 시각인류학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뉴욕을 기반으로 하는 초상사진가 그룹 누토피아 포럼(Nutopia Forum)의 멤버이다. 현재 한국인의 근대와 이산문제, 제 4세계 사람들(선주민)에 대한 광범위한 사진작업과 함께 대학에서 사진과 디자인, 영상인류학, 미국학 강의를 병행하고 있다.

개인전
2017 Waking Japan's War Ghosts: Recognition, Remorse,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Booth Library, Eastern Illinois University
2016 Homecoming, 일리노이 대학 YMCA Murphy Gallery, 미국
2016 기억의 예술- 70년만의 귀향, 프란치스홀, 성공회주교좌성당, 서울
2016 70년만의 귀향, 삿포르 서본원사, 홋카이도, 일본
2015 삶의역사_ 70년만의 귀향, 서울도서관(구 서울시청사), 서울
2015 70년만의 귀향, 일승사, 홋카이도, 일본
2015 삶의역사- 안산 그리고 홋카이도, 타슈겐트, 한양대학교 글로벌 라운지 갤러리, 안산
2015 70년만의 귀향, 프란치스홀, 성공회주교좌성당, 서울
2015 삶의 역사_ 나는 미래다, 안동 문화예술의전당 상설 갤러리, 안동
2015 삶의 역사_나는 미래다, KF한국 국제교류재단 갤러리, 서울
2014 밝은그늘, 갤러리 사각형, 서울
2013 삶의역사, 한양대학교 글로벌라운지 갤러리, 안산
2013 원은 부서지지 않는다, 싯팅불 대학, 포트에이츠 노스다코다, 미국
2012 삶의 역사, 플래툰 쿤스트할레, 서울
2012 삶의 역사, 한양대학교 글로벌라운지 갤러리, 안산
2005 통일의 집, 메이슨 그로스 갤러리 (뉴 브런스윅, 뉴저지)
1999 그늘진 낙원, D. M. Z (철원, 민통선 내 구 노동당사, 강원도)
1991 마음의 공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갤러리, 안성

주요 그룹전
2017 동강사진페스티벌 주제전 , 나는 갈등한다, 고로 존재한다], 동강사진미술관, 강원도 영월
2015 [로봇은 진화한다], KAIST+대전시립미술관, GS칼텍스 예울마루 갤러리, 여수
2014 [역사와기억], 미술관속 사진페스티벌, 광주 시립 미술관, 광주
2014 [인공의 뇌, 로봇은 진화한다], 대전시립미술관, 카이스트,K-Space,대전
2014 [다큐멘터리 스타일], 고은 사진 미술관, 부산
2014 [누락된 기록 – 증언의 힘], 갤러리 EMU, 서울
2013 [누락된 기록], 경기도 나눔의집,
2013 서울 사진 페스티벌,[초상의 시대, 시대의초상],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2013 전주 국제 사진 페스티벌 [WAR +MEMORY], 전주 소리문화의 전당, 전주
2013 창원 아시아미술제 현대미술전- 오래된 미래도시, 성산아트홀 ,창원
2013 [K Graphics], 갤러리 원, 서울
2012 공. 터 , 청주 연초제조창, 청주
2012 인천을 보다, 부평아트센터, 인천
2012 찰나생 찰나멸, 아르코미술관, 서울
2011 Ksana,, 자나두 갤러리, 울란바타르, 몽골리아
2011 Ksana, 남고비 미술관, 달란자드가드, 몽골리아
2011 당신의 텍스트, 갤러리 27, K-SAD, 경기도
2010 Redesigning the East, 뷔르템 베르기셔 쿤스트 페어라인, 슈투트가르트 독일
2010 상. 상, 제로원 디자인 센터, 서울
2010 그래픽 메소드, 갤러리 미엘, 서울
2009 [Made in Korea], 하노버산업 박람회 특별전, 하노버 독일
2009 상. 상, 목인 갤러리, 전시 및 소리 퍼포먼스, 서울
2009 [Hangeul], 볼로냐 시청사 갤러리, 이탈리아
2008 오월의 사진첩,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 분관, 전주 소리 문화의 전당
2007 [Imagination, Action], 광화문 갤러리, 서울
2007 [움직이다...], 세종문화회관, 코엑스, 서울
2005 RCIPP 뉴 프린트, 메이슨 그로스 갤러리, 뉴 브런스윅, 뉴저지 미국
2004 Unbroken, 데니스 비브로 파인 아트, 첼시, 뉴욕
2004 Last Summer, 타임스퀘어 로비 갤러리, 타임스퀘어, 뉴욕
2002 광주 비엔날레 프로젝트 3- 집행유예, 5.18 자유공원, 광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