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스펙타클은 고도로 축적되어 이미지가 된 자본이다
- Guy Debord, 스펙타클의 사회 中 -
나는 ‘도시와 건물이 주변과 어떻게 관계하는가’에 대한 탐색으로 건물 외면을 프레파라트처럼 시각화하는 작업을 하였다. 철과 유리로 만들어진 물체임에도 체온을 유지하는 생명체 같다는 감정 때문이었다. 하지만 무생물에서 느낀 온화함은 ‘한눈에 반한 아름다움’이라는 일차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 작업은 물활론적 희망을 버리지 못한 욕망의 산물이었다. 그 즈음, 여느 날과 다르지 않게 살아있는 무생물을 찾으러 어느 건물 옥상에 올랐다.
그 건물의 뒤편에는 높은 벽으로 가려진 채 아파트 공사가 한창이었다. 그곳은 복잡하지만 분명한 질서가 있는, 어딘가에 있을 법한 생명체를 생산하는 공장 같았다. MRI 사진처럼 절단면 같기도 하고, 피부가 벗겨져 속살을 여과 없이 드러낸 것 같기도 했다. 바닥에는 암호 같은 숫자와 기호, 약호들이 난무했고, 외벽전체를 둘러싼 색면은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감추려는 것이 분명해 보였다. 전선들은 어디로 연결되는지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뒤엉켜 있고, 가느다란 철골은 어떤 방식으로든 서로가 연결된 뒤 걸쭉한 시멘트로 덮여졌다. 층이 올라가는 속도는 상식적인 수준의 공간감이나 물리적 시간을 초월했다. 어제의 바닥이 오늘은 천장으로 변모해 있었고, 매끈했던 면에는 하루 만에 새로운 돌기가 솟아났다. 네모난 구멍은 화려하고 깨끗한 색면으로 덮여졌고, 아래층은 유심히 보지 않으면 느끼지 못할 정도만 색이 바랬다. 가려지지 않은 벽은 수분 함량 때문인지, 날씨 탓인지 칙칙해졌다가 맑아지기도 했다.
허공을 물질로 채우는 과정은 짧고 기묘했으며, 충분히 스펙타클했다. 이 반듯하고 거대한 콘크리트 네모 덩어리는 온갖 선과 면과 색으로 구성된 규칙적인 카오스를 통해 익사할 것 같은 기분이 들도록 했다. 이성과 감수성을 적절히 조화시키려 노력했지만 분별력을 상실케 했다. 저기 어딘가 모서리 한 칸 즈음이 너의 보잘 것 없는 삶의 낙원이 될 것이니, 아무 의심하지 말고 무기력하게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는 듯 했다. 이 자본주의적 산물은 층위가 쌓일수록 지배의 표상이 될 것임을 대놓고 자랑하는데,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나는 샤르트르의 구토를 느꼈다.
“보이는 것은 좋은 것이며, 좋은 것은 보이는 것이다“라는 말에 넋을 놓고 바라보면 내 삶은 축소되고, 이미 구별되지 않는 노예일 뿐 소유하고 있지 않은 소유자들에게 소유 당한다. 스펙타클은 이미지들의 집합이 아니라 이미지들에 의해 매개된 사람들 간의 사회적 관계라는 것을 이해하기까지는 많은 시간보다 순간의 성찰이 필요했다.
2016 년 고은사진미술관은 사진작업에 대한 열정을 지닌 사진 애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진강좌 프로그램인 포트폴리오반을 개설, 진행하였다. 3 인의 멘토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3 명의 작가 중 그 마지막으로 권해일의 <꼼뿌레샤>전을 소개한다.
17-18 세기의 사람들이 도시를 주체적 관점으로 바라보았다면,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들은 수동적존재인 도시의 구경꾼으로 전락했다. 산업혁명 이후 촉발된 소비로 인하여 도시인들은 스스로의 위상을 만들어왔지만 오히려 주체적인 힘을 상실하고 소외 당한 것이다.
노스텔지어의 공간인 주거공간이 그 의미를 상실한 채, 자본주의적 가치로 전락한 것에 대한 권해일의 문제 제기는 시대와 존재의 성찰에 대한 비평적 은유로 다가온다.
17-18 세기의 사람들이 도시를 주체적 관점으로 바라보았다면,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들은 수동적존재인 도시의 구경꾼으로 전락했다. 산업혁명 이후 촉발된 소비로 인하여 도시인들은 스스로의 위상을 만들어왔지만 오히려 주체적인 힘을 상실하고 소외 당한 것이다.
노스텔지어의 공간인 주거공간이 그 의미를 상실한 채, 자본주의적 가치로 전락한 것에 대한 권해일의 문제 제기는 시대와 존재의 성찰에 대한 비평적 은유로 다가온다.
En 2016, le Musée GoEun de la Photographie a ouvert un atelier de portfolio aux amateurs de la photographie. Suite à cet atelier, un jury de trois mentors a sélectionné les trois meilleurs travaux photographiques pour être exposés ; le dernier d’entre eux va désormais rencontrer le public.
Aux XVIIe et XVIIIe siècles, la ville est regardée avec subjectivité. Mais le citadin moderne n’est qu’un voyeur inerte de sa ville. Depuis la Révolution industrielle, il acquiert une place dans la société par des actes de consommation, qui entraînent cependant la perte de sa subjectivité et l’aliénation.
Kwon Hae Il met en cause la capitalisation de l’espace d’habitation, originellement espace nostalgique. Son travail est une métaphore acerbe due à sa réflexion sur l’époque et sur l’homme.
Aux XVIIe et XVIIIe siècles, la ville est regardée avec subjectivité. Mais le citadin moderne n’est qu’un voyeur inerte de sa ville. Depuis la Révolution industrielle, il acquiert une place dans la société par des actes de consommation, qui entraînent cependant la perte de sa subjectivité et l’aliénation.
Kwon Hae Il met en cause la capitalisation de l’espace d’habitation, originellement espace nostalgique. Son travail est une métaphore acerbe due à sa réflexion sur l’époque et sur l’homme.
34. 스펙타클은 고도로 축적되어 이미지가 된 자본이다
- Guy Debord, 스펙타클의 사회 中 -나는 ‘도시와 건물이 주변과 어떻게 관계하는가’에 대한 탐색으로 건물 외면을 프레파라트처럼 시각화하는 작업을 하였다. 철과 유리로 만들어진 물체임에도 체온을 유지하는 생명체 같다는 감정 때문이었다. 하지만 무생물에서 느낀 온화함은 ‘한눈에 반한 아름다움’이라는 일차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 작업은 물활론적 희망을 버리지 못한 욕망의 산물이었다. 그 즈음, 여느 날과 다르지 않게 살아있는 무생물을 찾으러 어느 건물 옥상에 올랐다.
그 건물의 뒤편에는 높은 벽으로 가려진 채 아파트 공사가 한창이었다. 그곳은 복잡하지만 분명한 질서가 있는, 어딘가에 있을 법한 생명체를 생산하는 공장 같았다. MRI 사진처럼 절단면 같기도 하고, 피부가 벗겨져 속살을 여과 없이 드러낸 것 같기도 했다. 바닥에는 암호 같은 숫자와 기호, 약호들이 난무했고, 외벽전체를 둘러싼 색면은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감추려는 것이 분명해 보였다. 전선들은 어디로 연결되는지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뒤엉켜 있고, 가느다란 철골은 어떤 방식으로든 서로가 연결된 뒤 걸쭉한 시멘트로 덮여졌다. 층이 올라가는 속도는 상식적인 수준의 공간감이나 물리적 시간을 초월했다. 어제의 바닥이 오늘은 천장으로 변모해 있었고, 매끈했던 면에는 하루 만에 새로운 돌기가 솟아났다. 네모난 구멍은 화려하고 깨끗한 색면으로 덮여졌고, 아래층은 유심히 보지 않으면 느끼지 못할 정도만 색이 바랬다. 가려지지 않은 벽은 수분 함량 때문인지, 날씨 탓인지 칙칙해졌다가 맑아지기도 했다.
허공을 물질로 채우는 과정은 짧고 기묘했으며, 충분히 스펙타클했다. 이 반듯하고 거대한 콘크리트 네모 덩어리는 온갖 선과 면과 색으로 구성된 규칙적인 카오스를 통해 익사할 것 같은 기분이 들도록 했다. 이성과 감수성을 적절히 조화시키려 노력했지만 분별력을 상실케 했다. 저기 어딘가 모서리 한 칸 즈음이 너의 보잘 것 없는 삶의 낙원이 될 것이니, 아무 의심하지 말고 무기력하게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는 듯 했다. 이 자본주의적 산물은 층위가 쌓일수록 지배의 표상이 될 것임을 대놓고 자랑하는데,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나는 샤르트르의 구토를 느꼈다.
“보이는 것은 좋은 것이며, 좋은 것은 보이는 것이다“라는 말에 넋을 놓고 바라보면 내 삶은 축소되고, 이미 구별되지 않는 노예일 뿐 소유하고 있지 않은 소유자들에게 소유 당한다. 스펙타클은 이미지들의 집합이 아니라 이미지들에 의해 매개된 사람들 간의 사회적 관계라는 것을 이해하기까지는 많은 시간보다 순간의 성찰이 필요했다.
34. Le spectacle est le capital à un tel degré d’accumulation qu’il devient l’image.
- Guy Debord, La Société du Spectacle –Malgré les matériaux d’acier et de verre, les immeubles me paraissent un organisme vivant. Mon travail consiste alors à les visualiser d’abord en préparations microscopiques afin de rechercher les rapports qu’entretiennent les immeubles urbains avec leur entourage. La douceur que je sens face aux immeubles provient d’une beauté enchanteresse due aux contacts immédiats. Ma photographie est le fruit de ma foi imprégnée d’animisme. Un jour, je suis monté comme d’habitude en haut d’un immeuble à la recherche de l’organisme-immeuble.
Par-derrière cet immeuble s’élève une bâche de chantier qui tient à l’abri des regards la construction des appartements. J’y aperçois un désordre ordonné, une usine de fabrication des êtres vivants qui pourraient exister quelque part. C’est une coupe IRM d’un corps, une chaire exposée par la peau arrachée. Sur le plancher se déchaînent les numéros, les signes et les sigles. Les câbles s’y entremêlent à tel point que personne ne sait où ils vont. Le squelette de fer se couvre de béton épais. Les étages s’entassent si vite qu’en un jour le plancher se transforme en plafond et les protubérances surgissent du mur vierge. Les carrés troués se colorent, la couleur des étages inférieurs se fane de manière imperceptible. Le mur découvert s’éclaircit et s’obscurcit selon le temps ou l’humidité.
Combler le vide de matériaux est un processus court, étrange et spectaculaire. Je me sens noyé dans un chaos régulier de lignes, surfaces et couleurs que crée un énorme carré monolithique de béton. J’ai cherché à garder une harmonie entre la raison et la sensibilité mais en vain. L’immeuble semblait me dire : “Quelque part au coin là sera le paradis pour ta vie minable. Alors entres-y sans douter.” Ce produit capitaliste prétend être un signe clair de domination sociale. Qu’est-ce que je fais ? Je ressens la nausée de Sartre.
Ruminant la phrase “ce qui apparaît est bon, ce qui est bon apparaît.”, je découvre ma vie rétrécie et possédée par les faux possesseurs. Je me retrouve esclave comme des milliers d’autres. Il me suffit de cet instant de réflexion pour me rendre compte que le spectacle est le capital à un tel degré d’accumulation qu’il devient les relations sociales des individus façonnés par l’image, et non pas l’image elle-même
권해일 Kwon Hae Il
1976 대구 출생
학력 및 경력
2017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술교육과 박사수료
2008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미술교육과 석사졸업
2002 부산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졸업
2017 고은사진아카데미 사진작품연구반 수료
2016 고은사진아카데미 포트폴리오반 수료
2016 고은사진아카데미 사진작품연구반 수료
개인전
2017 《꼼뿌레샤》, 부산 프랑스문화원 ART SPACE,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