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와 서울시립미술관이 공동 주최하는 서울사진축제가 올해로 7회를 맞이한다. 2016 서울사진축제는 ‘세계화’와 ‘디아스포라’를 상징하는 <서울 新아리랑-천리의 강물처럼>이라는 제목으로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시청 시민청, 서울도서관 기획전시실, 서울혁신파크 SeMA창고, 문래동 예술 창작촌(9개 공간), 통의동 보안여관 등지에서 오는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 동안 개최된다.
<서울 新아리랑-천리의 강물처럼>은 한국인의 정서를 대표하는 곡인 아리랑을 통해 다문화 사회의 자발적 이주와 이민에 의한 현대적 디아스포라의 의미를 상징하는 제목이다. 전시의 부제인 ‘천리의 강물처럼’은 지역과 국경을 넘어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아리랑이 천리의 강물처럼 흐른다는 뜻으로, 2012년 서울아리랑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시작된 2013년 서울아리랑 페스티벌에서 이어령(前문화부장관)의 축사에서 참조한 것이다. <서울 新아리랑-천리의 강물처럼> 제목 하에 2개의 파트(1부-경계에서 경계를 바라보다, 2부-타인의 땅에서 나의 집으로)로 구성되는 2016 서울사진축제 본 전시는 22명 작가의 신작과 최근작을 중심으로 100여 점의 사진과 영상작업으로 구성된다.
이번 2016사진축제는 본 전시 중심으로 조직되었던 기존 사업의 규모를 확장하여 더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고 공감할 수 있는 도시 차원의 사진축제로 거듭나고자 노력하였다. 본전시가 진행되는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을 필두로 본 전시 주제와 연관되는 3개의 특별전과 3개의 공모전 그리고 심포지엄, 시민포럼, 사진워크샵 등이 서울시청 시민청, 서울도서관, 서울혁신파크 SeMA창고, 문래동 예술 창작촌, 통의동 보안여관 등 다양한 전시 공간과 협력으로 진행된다. 2016서울사진축제는 다채로운 전시와 부대행사를 통하여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시대상을 ‘지금, 여기’의 현재성을 기반으로 한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더불어 세계화 과정에서 도시 공간을 중심으로 발현되고 있는 ‘이주’, ‘경계’, ‘커뮤니티’, ‘도시 공동체’ 등 유, 무형적 형태의 ‘디아스포라’ 현상을 사진 이미지로 구현하는 작업들을 통하여 ‘미래 도시 서울’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장이 될 것이다.
본전시
<서울 新아리랑 – 천리의 강물처럼>
1부 – 경계에서 경계를 바라보다
2부 – 타인의 땅에서 나의 집으로
전시 기간 2016.11.01.(화)-11.30(수)
전시장소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참여작가
고정남, 김규식, 김상돈, 김태동, 김홍식, 문소현, 박현두, 박형렬, 성지연, 송호철, 안옥현, 양철모, 옥정호, 원범식, 유비호, 임노아, 정지현, 조이경, 조준용, 한성필, 황규태
해외작가특별전
<보이지 않는 도시 : Cité Invisible>
전시 기간 2016.11.09(수)-11.22(화)
전시 장소 통의동 보안여관
전시 기획 이성희
참여 작가
Dolores Marat(프랑스, 돌로레스 마라),
Geraldine Lay(프랑스, 제랄딘 레)
Konstantin Chernichkin(우크라이나, 콘스탄틴 체르니츠키)
Laurent Kronental(프랑스, 로랑 크로낭탈), Patrick Tourneboeuf(프랑스, 파트릭 투른느뵈프), Ricardo Yui(페루, 리카르도 유이)
한독이주여성 아카이브 특별전
<언니들이 왔다: Our Trans-Gänger >
전시 기간 2016.11.01(화)-11.30(수)
전시 장소 서울도서관 기획전시실
전시 기획 손민아, 이희영
참여 작가
CHOE Dong-Ha(최동하), Tsukasa Yajima(츠카사 야지마)
문래동 특별전
<서울 속 문래, 문래 속 서울 - 열 개의 문장으로 쓴 편지>
전시 기간 2016.11.07(월)-11.20(일)
전시 장소 문래 예술 창작촌 9개 공간
전시기획 최연하
참여 작가
강진주, 권정준, 김병직, 김재남, 김전기, 김지원 나태흠, 박부곤, 송기연, 양선주, 예병현, 이건영, 이승훈, 이승희, 이영욱, 이한수, 임안나, 조진섭, 차경희,
참여 공간
2相공간 두들, 스페이스 9, 대안공간 정다방 프로젝트, 대안예술공간 이포, 사진문화공간 아지트, 상상채굴단, 예술공간 뮤온, 예술공간 세이, 치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