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urth ‘Chung(靑) Project’ of 2017, BMW Photo Space presents 《Medium》 of JongHyun An, from November 10th, 2017 to January 6th, 2018.
We are facing the beginning and ending through the time, the physical measure.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at which successive parallel times can be distinguished may occur separately and sometimes in common through place and object. When these moments are repeated and accumulated, we call it historicity. Historicity can be said to be a collection of time domains with both cross-sections of creation and extinction, rather than a mass of successive time. Among these cross-sections, we find the cycle of time outside the parallel law of time, and we obtain wisdom through it.《Medium》 of JongHyun An, reveals another possibility of time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perceive through works such as the cross-section of time that is created and destroyed by beginning and ending.
[Red Room](2011) which was taken in red district of Yongsan, is about redevelopment area, which is about to distroy for creation. The place was made by capitalism society and also disregarded by it too. The society focused on this place again right before the demolition, but the attention was gone because the events that happening around it couldn’t fit in to the value of capital. After that, the place is leaved like a ruin, without any attention. The anonymous subjects in the works are metaphors of the phenomenon that shows disregard at the moment of extinction. [Future Land](2013), which was taken at tungsten mine in Gangwon-do, shows the extinction of usefulness through running out of the value of capital. In 1970s, Korean industrialization period, this land attracted millions of people who want fortune. Now, according to the rules of world that follows practicality, this land is dumped, but JongHyun An approaches to this place in different way. He thinks that it’s not the ruin, but the historic site which has glorious history.
Unlike two previous series that recognize in the existence and causality of subjects, [Passage](2015) is about the coincident discovery of Jongro in midnight. He was caring his sick father in those days. Being existed yet, but Jongro looks like an old place that seems to disappear soon after the function of the age is gone. Also, it is a place where the sign of the overlapped periods are mixed. In the night, when all people has leaved, JongHyun An records disparate subjects which has blurred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time. Those recorded scenes reproduce the fantasy that takes us to other dimensional space-time through present space, rather than being possibility or trace of extinction. This means that the time has not only 2 sides of ‘start and end’, but also other faces like layer. Furthermore, we can confirm that there’s another symbol in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If the [Red Room](2011) shows skeptical view to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the [Future Land](2013) goes forward to the agony about the trace of disappearance made by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This agony, is advanced to the breakaway from the social codes in [Passage](2015). Through this, we can notice that we were captured in the district of time which was made by institutional society. JongHyun An’s brand new work [Scenery](2016-2017) is about the purity of the time through all this process. The nature that existed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is an infinite object which is constantly repeating the creation and extinction, and it is also the existence which is not able to measure the point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it is the object that proves the creation by the extinction and the beginning by the end, not the extinction by the creation. JongHyun An tells us that our time should go back to existential field of each person, not the artificial territory made by the system.
BMW Photo Space에서는 2017년 11월 10일부터 2018년 1월 6일까지 2017년 네 번째 청사진 프로젝트로 안종현의 《Medium》을 선보인다.
우리는 시간이라는 물리적 단위 안에서 시작과 끝을 직면해가며 삶을 살아가고 있다. 연속적으로 평행하는 시간을 구분 지을 수 있는 시작과 끝의 지점은 장소와 대상을 통해 개별적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때로는 공통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순간들이 반복되고 축적되었을 때 우리는 이것을 역사성이라고 부른다. 역사성은 곧 연속적으로 이어진 시간의 덩어리라기 보다 생성과 소멸이라는 양쪽의 단면을 가진 시간의 영역이 결집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영역의 단면들에서 우리는 평행하는 시간의 법칙을 벗어난 시간의 순환성을 발견하게 되고 그것을 통해 지혜를 얻기도 한다. 안종현의 «Medium»은 시작과 끝에 의해 생성ㆍ소멸되는 시간의 단면이라는 작업들을 통해 우리가 지금껏 인지하지 못했던 시간의 또 다른 가능성을 드러낸다.
용산의 홍등가를 촬영한 <붉은 방>(2011)은 도시의 생성을 위해 소멸을 앞둔 재개발 구역을 촬영한 작업이다. 자본주의 사회에 의해 만들어지고 외면받았지만 철거를 앞두었을 때 비로써 사회의 관심을 받게 된 이 장소는 자본의 가치를 벗어나는 일들이 일어나자 또다시 무관심에 의해 폐허로 방치된 곳이기도 하다. 소멸의 순간 또 다시 사회에서 외면받게 된 이 현상을 흔적을 찾을 수 없는 익명의 물건들을 통해 은유한다. 강원도의 중석광산을 촬영한 <미래의 땅>(2013) 또한 자본의 가치가 다해 유용성이 소멸된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1970년대 한국의 산업화와 부를 축적하며 수만 명의 사람들을 심산유곡으로 불러 모았던 이 땅은 실용에 의해서만 운용되는 사회의 원칙을 따라 지금은 버려진 땅이 되었다. 하지만 안종현은 폐허가 되어 적막해진 도시가 아닌 과거의 영광을 품은 채 퇴적된 유적처럼 이 장소를 접근하고 있다.
먼저 대상의 존재와 인과를 인지하고 작업했던 앞의 두 시리즈와 달리 <통로>(2015)는 아버지의 병환으로 인한 간호 중에 우연히 발견하게 된 한밤중 종로의 모습을 담아낸 작업이다. 아직은 존재하지만 시대의 기능이 다해 곧 소멸할 듯한 노쇠한 종로는 중첩된 시대의 흔적들이 혼재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안종현은 사람들이 떠나간 밤의 시간 현재의 장소성과 시간이 모호해진 듯한 이질적인 대상들을 찾아 기록한다. 그렇게 기록된 장면들은 소멸의 가능성이나 흔적이라기 보다 마치 새로운 차원의 시간, 장소로 이동할 것만 같은 판타지를 현재의 장소를 통해 재현해낸다. 이것은 시간의 단면이 ‘시작과 끝’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제도 사회가 구축해 놓은 시스템에서 분명한 목적 외 또 다른 기호를 우리가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붉은 방>이 제도권 사회가 만들어낸 시스템에 대한 회의적인 관점이 담겨 있었다면, <미래의 땅>에서는 사회의 시스템이 만들어 놓은 소멸이라는 시간의 끝에 남겨진 흔적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 고민은 <통로>에서 정해진 사회의 코드를 이탈하는 행위로 이어지며 이를 통해 우리가 제도권 사회가 만들어 놓은 시간의 구역에 포획되어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신작 <풍경>(2016-2017)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로소 마주하게 된 순수한 시간성을 담아낸 작업이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또는 이전부터 존재했던 자연은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무한한 대상으로 시작과 끝의 지점을 가늠할 수 없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리고 생성에 의한 소멸이 아닌, 소멸에 의한 생성과 끝에 의한 시작을 증명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안종현은 이러한 대상을 통해 우리의 시간이 제도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영역이 아닌 개인의 실존적인 영역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고은사진미술관ㆍBMW Photo Space
우리는 시간이라는 물리적 단위 안에서 시작과 끝을 직면해가며 삶을 살아가고 있다. 연속적으로 평행하는 시간을 구분 지을 수 있는 시작과 끝의 지점은 장소와 대상을 통해 개별적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때로는 공통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순간들이 반복되고 축적되었을 때 우리는 이것을 역사성이라고 부른다. 역사성은 곧 연속적으로 이어진 시간의 덩어리라기 보다 생성과 소멸이라는 양쪽의 단면을 가진 시간의 영역이 결집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영역의 단면들에서 우리는 평행하는 시간의 법칙을 벗어난 시간의 순환성을 발견하게 되고 그것을 통해 지혜를 얻기도 한다. 안종현의 «Medium»은 시작과 끝에 의해 생성ㆍ소멸되는 시간의 단면이라는 작업들을 통해 우리가 지금껏 인지하지 못했던 시간의 또 다른 가능성을 드러낸다.
용산의 홍등가를 촬영한 <붉은 방>(2011)은 도시의 생성을 위해 소멸을 앞둔 재개발 구역을 촬영한 작업이다. 자본주의 사회에 의해 만들어지고 외면받았지만 철거를 앞두었을 때 비로써 사회의 관심을 받게 된 이 장소는 자본의 가치를 벗어나는 일들이 일어나자 또다시 무관심에 의해 폐허로 방치된 곳이기도 하다. 소멸의 순간 또 다시 사회에서 외면받게 된 이 현상을 흔적을 찾을 수 없는 익명의 물건들을 통해 은유한다. 강원도의 중석광산을 촬영한 <미래의 땅>(2013) 또한 자본의 가치가 다해 유용성이 소멸된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1970년대 한국의 산업화와 부를 축적하며 수만 명의 사람들을 심산유곡으로 불러 모았던 이 땅은 실용에 의해서만 운용되는 사회의 원칙을 따라 지금은 버려진 땅이 되었다. 하지만 안종현은 폐허가 되어 적막해진 도시가 아닌 과거의 영광을 품은 채 퇴적된 유적처럼 이 장소를 접근하고 있다.
먼저 대상의 존재와 인과를 인지하고 작업했던 앞의 두 시리즈와 달리 <통로>(2015)는 아버지의 병환으로 인한 간호 중에 우연히 발견하게 된 한밤중 종로의 모습을 담아낸 작업이다. 아직은 존재하지만 시대의 기능이 다해 곧 소멸할 듯한 노쇠한 종로는 중첩된 시대의 흔적들이 혼재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안종현은 사람들이 떠나간 밤의 시간 현재의 장소성과 시간이 모호해진 듯한 이질적인 대상들을 찾아 기록한다. 그렇게 기록된 장면들은 소멸의 가능성이나 흔적이라기 보다 마치 새로운 차원의 시간, 장소로 이동할 것만 같은 판타지를 현재의 장소를 통해 재현해낸다. 이것은 시간의 단면이 ‘시작과 끝’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제도 사회가 구축해 놓은 시스템에서 분명한 목적 외 또 다른 기호를 우리가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붉은 방>이 제도권 사회가 만들어낸 시스템에 대한 회의적인 관점이 담겨 있었다면, <미래의 땅>에서는 사회의 시스템이 만들어 놓은 소멸이라는 시간의 끝에 남겨진 흔적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 고민은 <통로>에서 정해진 사회의 코드를 이탈하는 행위로 이어지며 이를 통해 우리가 제도권 사회가 만들어 놓은 시간의 구역에 포획되어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신작 <풍경>(2016-2017)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로소 마주하게 된 순수한 시간성을 담아낸 작업이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또는 이전부터 존재했던 자연은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무한한 대상으로 시작과 끝의 지점을 가늠할 수 없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리고 생성에 의한 소멸이 아닌, 소멸에 의한 생성과 끝에 의한 시작을 증명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안종현은 이러한 대상을 통해 우리의 시간이 제도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영역이 아닌 개인의 실존적인 영역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고은사진미술관ㆍBMW Photo Space
The fourth ‘Chung(靑) Project’ of 2017, BMW Photo Space presents 《Medium》 of JongHyun An, from November 10th, 2017 to January 6th, 2018.
We are facing the beginning and ending through the time, the physical measure.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at which successive parallel times can be distinguished may occur separately and sometimes in common through place and object. When these moments are repeated and accumulated, we call it historicity. Historicity can be said to be a collection of time domains with both cross-sections of creation and extinction, rather than a mass of successive time. Among these cross-sections, we find the cycle of time outside the parallel law of time, and we obtain wisdom through it.《Medium》 of JongHyun An, reveals another possibility of time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perceive through works such as the cross-section of time that is created and destroyed by beginning and ending.
[Red Room](2011) which was taken in red district of Yongsan, is about redevelopment area, which is about to distroy for creation. The place was made by capitalism society and also disregarded by it too. The society focused on this place again right before the demolition, but the attention was gone because the events that happening around it couldn’t fit in to the value of capital. After that, the place is leaved like a ruin, without any attention. The anonymous subjects in the works are metaphors of the phenomenon that shows disregard at the moment of extinction. [Future Land](2013), which was taken at tungsten mine in Gangwon-do, shows the extinction of usefulness through running out of the value of capital. In 1970s, Korean industrialization period, this land attracted millions of people who want fortune. Now, according to the rules of world that follows practicality, this land is dumped, but JongHyun An approaches to this place in different way. He thinks that it’s not the ruin, but the historic site which has glorious history.
Unlike two previous series that recognize in the existence and causality of subjects, [Passage](2015) is about the coincident discovery of Jongro in midnight. He was caring his sick father in those days. Being existed yet, but Jongro looks like an old place that seems to disappear soon after the function of the age is gone. Also, it is a place where the sign of the overlapped periods are mixed. In the night, when all people has leaved, JongHyun An records disparate subjects which has blurred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time. Those recorded scenes reproduce the fantasy that takes us to other dimensional space-time through present space, rather than being possibility or trace of extinction. This means that the time has not only 2 sides of ‘start and end’, but also other faces like layer. Furthermore, we can confirm that there’s another symbol in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If the [Red Room](2011) shows skeptical view to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the [Future Land](2013) goes forward to the agony about the trace of disappearance made by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This agony, is advanced to the breakaway from the social codes in [Passage](2015). Through this, we can notice that we were captured in the district of time which was made by institutional society. JongHyun An’s brand new work [Scenery](2016-2017) is about the purity of the time through all this process. The nature that existed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is an infinite object which is constantly repeating the creation and extinction, and it is also the existence which is not able to measure the point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it is the object that proves the creation by the extinction and the beginning by the end, not the extinction by the creation. JongHyun An tells us that our time should go back to existential field of each person, not the artificial territory made by the system.
GoEun Museum of Photography
We are facing the beginning and ending through the time, the physical measure.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at which successive parallel times can be distinguished may occur separately and sometimes in common through place and object. When these moments are repeated and accumulated, we call it historicity. Historicity can be said to be a collection of time domains with both cross-sections of creation and extinction, rather than a mass of successive time. Among these cross-sections, we find the cycle of time outside the parallel law of time, and we obtain wisdom through it.《Medium》 of JongHyun An, reveals another possibility of time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perceive through works such as the cross-section of time that is created and destroyed by beginning and ending.
[Red Room](2011) which was taken in red district of Yongsan, is about redevelopment area, which is about to distroy for creation. The place was made by capitalism society and also disregarded by it too. The society focused on this place again right before the demolition, but the attention was gone because the events that happening around it couldn’t fit in to the value of capital. After that, the place is leaved like a ruin, without any attention. The anonymous subjects in the works are metaphors of the phenomenon that shows disregard at the moment of extinction. [Future Land](2013), which was taken at tungsten mine in Gangwon-do, shows the extinction of usefulness through running out of the value of capital. In 1970s, Korean industrialization period, this land attracted millions of people who want fortune. Now, according to the rules of world that follows practicality, this land is dumped, but JongHyun An approaches to this place in different way. He thinks that it’s not the ruin, but the historic site which has glorious history.
Unlike two previous series that recognize in the existence and causality of subjects, [Passage](2015) is about the coincident discovery of Jongro in midnight. He was caring his sick father in those days. Being existed yet, but Jongro looks like an old place that seems to disappear soon after the function of the age is gone. Also, it is a place where the sign of the overlapped periods are mixed. In the night, when all people has leaved, JongHyun An records disparate subjects which has blurred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time. Those recorded scenes reproduce the fantasy that takes us to other dimensional space-time through present space, rather than being possibility or trace of extinction. This means that the time has not only 2 sides of ‘start and end’, but also other faces like layer. Furthermore, we can confirm that there’s another symbol in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If the [Red Room](2011) shows skeptical view to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the [Future Land](2013) goes forward to the agony about the trace of disappearance made by the system of institutional society. This agony, is advanced to the breakaway from the social codes in [Passage](2015). Through this, we can notice that we were captured in the district of time which was made by institutional society. JongHyun An’s brand new work [Scenery](2016-2017) is about the purity of the time through all this process. The nature that existed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is an infinite object which is constantly repeating the creation and extinction, and it is also the existence which is not able to measure the point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it is the object that proves the creation by the extinction and the beginning by the end, not the extinction by the creation. JongHyun An tells us that our time should go back to existential field of each person, not the artificial territory made by the system.
GoEun Museum of Photography
1
풍경 사진의 대상은 사진 찍기에 적합한 “ ” 을 가지고 있다.
풍경이라는 단어는 자연과 인간의 오랜 역사를 보면 언제부터 사용하였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보통 풍경 사진이라 함은 인간이 보기에 좋은 대상(자연)을 아름답게 찍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렇게 찍는 사진을 풍경 사진 아니면 달력 사진이라 불렀다.
2
영혼이나 생명 움직이는 힘을 가진 것은 무엇인가? 생물인 것과 생물이 아닌 것 사이의, 혹은 순수한 주체와 단순한 객체 사이에 경계는 매우 상의한 방식으로 인식되고 상상된다. 따라서 올바른 구분이라는 것에 대한 궁극적으로 객관적인 규정이란 것은 없다. 하지만 이 경계선은 주관적인 문제도 아니다. 결국 이 경계선이 자연과 인간의 물질적 관계의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3
자연에 영혼이나 주체적 성격이 깃들어 있다는 생각은 합리와 이성으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배척되거나 무시되기 쉽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여전히 오늘날에도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하게 아름답지 않은(일반적으로) 오브제나 비객관적인 어떤 것으로 보는 관점이 아니라 풍경(자연)을 둘러싼 배경의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4
풍경(자연)에 대한 사진적 재현은 이미지를 통해 이러한 경계선을 구축하고 반영하고 가로지른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진적 재현을 통해 어떻게 이러한 경계가 미학적 주관화와 객관적 과정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며, 이러한 미학적 과정들을 통해 풍경(자연) 사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데 본 작업의 의의를 둔다.
안종현
풍경 사진의 대상은 사진 찍기에 적합한 “ ” 을 가지고 있다.
풍경이라는 단어는 자연과 인간의 오랜 역사를 보면 언제부터 사용하였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보통 풍경 사진이라 함은 인간이 보기에 좋은 대상(자연)을 아름답게 찍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렇게 찍는 사진을 풍경 사진 아니면 달력 사진이라 불렀다.
2
영혼이나 생명 움직이는 힘을 가진 것은 무엇인가? 생물인 것과 생물이 아닌 것 사이의, 혹은 순수한 주체와 단순한 객체 사이에 경계는 매우 상의한 방식으로 인식되고 상상된다. 따라서 올바른 구분이라는 것에 대한 궁극적으로 객관적인 규정이란 것은 없다. 하지만 이 경계선은 주관적인 문제도 아니다. 결국 이 경계선이 자연과 인간의 물질적 관계의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3
자연에 영혼이나 주체적 성격이 깃들어 있다는 생각은 합리와 이성으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배척되거나 무시되기 쉽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여전히 오늘날에도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하게 아름답지 않은(일반적으로) 오브제나 비객관적인 어떤 것으로 보는 관점이 아니라 풍경(자연)을 둘러싼 배경의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4
풍경(자연)에 대한 사진적 재현은 이미지를 통해 이러한 경계선을 구축하고 반영하고 가로지른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진적 재현을 통해 어떻게 이러한 경계가 미학적 주관화와 객관적 과정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며, 이러한 미학적 과정들을 통해 풍경(자연) 사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데 본 작업의 의의를 둔다.
안종현
안종현 JongHyun An
1982년 서울에서 태어난 안종현은 2012년 순천대학교 사진예술학과를 졸업, 2015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space55, 송은아트큐브 등에서 다수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2016 베이징 국제사진제, 2015 고은사진미술관, 2014 토포하우스 등지에서 주요 그룹전을 가졌다.
2014년 제7회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프로그램 올해의 작가 선정 및 2013년 제15회 사진비평상 수상, 2011년 미래작가상을 수상하였다. 그리고 현재 국립현대 미술관, KT&G상상마당, 박건희문화재단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1982 서울 출생
학력
2015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진학과 수료
2012 국립순천대학교 사진예술학과 졸업
개인전
2017 《풍경》, space55, 서울
2015 《통로》, 송은아트큐브, 서울
2009 《SCREAM》, gallery Now, 서울
그룹전
2016 《베이징 국제사진제》, 베이징, 중국
2016 《락희럭키루키》, 금천예술공장, 서울
2015 《사진 미래色 2015》,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2015 《로드쇼-7번국도》, 토탈미술관, 서울
2015 《Beyond Landscape》, 아트 앤 스페이스 갤러리, 상해, 중국
2015 《제14회 동강국제사진제 국제공모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2014 《우리는 왜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는가?》, 더텍사스프로젝트, 서울
2014 《제15회 사진비평상 수상자전》, 토포하우스, 서울
2013 《TRIALOG》, 토탈미술관, 서울
2013 《제12회 동강국제사진제-거리설치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2012 《미래작가상 사진전》, 캐논플렉스, 서울
수상
2014 제7회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프로그램 올해의 작가 선정, KT&G 상상마당, 서울
2013 제15회 사진비평상 수상, 포토스페이스, 서울
2011 미래작가상, 박건희 문화재단,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