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8 04
2018.04.02 21:18

유별남 Yoo Beylnam

조회 수 358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빗개 ‘ 망보는 소년’의 시선으로 4.3을 환원하다
전시기간 2018. 4. 3 ~ 4. 22
전시장소 류가헌 Ryugaheon 전시 1, 2관, Seoul
오프닝 2018년 4월 3일(화) 6:00pm
작가와의 만남 2018년 4월 14일(토) 4:00pm
갤러리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113-3(자하문로 106) 02-720-2010
작가 홈페이지 http://www.yoobeylnam.com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ryugaheon.com
후원 제주 4·3 연구소, 후지필름
제주도에서 태어난 나는 어릴 적 육지로 가족이 이사하면서부터 제주도에 살지 않았다. 부산에서 살면서 부산말을 썼고 서울에서 살면서 서울말을 썼다. 육지 사람으로 살았다. 다행인 것은 어린 시절 방학이면 항상 제주도 할아버지 집에서 내내 지내다 돌아오는, 제주에서 정기적으로 어린 시절을 보낼 수 있었던 점이다. 제주도는 그저 단편적인 기억만이 있는, 남에게 고향이라고 자랑하기 좋은 “꺼리”였다. 중학교 여름방학 때였다. 할아버지 댁 마루에서 뒹굴며 머리통만한 귤을 굴리다 4.3사태라는 글이 쓰인 종이를 발견했다. 할아버지에게 쪼르르 들고 가 “이게 뭐꽈?”하고 물었다가 회초리로 엄청 맞고는 대문 밖으로 도망갔던 일이 있었다. 억울한 눈물을 흘리며 씩씩거리고 있는 나를 할머니가 데리러 오셨다. “다시는 다시는 그 얘기 하지 말라”라는 약속을 받아내신 후 차가운 오이냉채를 내주셨다. 나의 부모님은 4.3사건이 시작되고 한창인 때 태어나셨다. 그들이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그 난리를 넘기셨는지 알 수는 없으나, 그 험한 시기를 용케 지나오셨으니 나도 이렇게 존재하는 것일 테다. 난 부모님에게서 한 번도 4.3에 관해 들어 본 적이 없다. 그들 또한 기억할 수 없는 어린 시절이었기에 해 줄 이야기도 없을 것이다. 그렇게 서로 모른 채하며 살았는데, 어느 때부턴가 물음이 시작됐다. 왜 일본에 우리 친척이 많은지, 왜 북한에도 친척이 있는지, 왜 할아버지와 다른 친척 간에 그리 갈등이 심했는지, 연좌제가 뭔지… 물음의 답을 하나하나 얻어가는 동안, 오랫동안 말할 수 없었던 것의 실체가 서서히 드러났다. 무엇이라도 해야만 했다. 사진기를 들고, 70년 전의 이야기를 찾아 헤맸다. 다큐멘터리사진에 있어 ‘현장’은 무엇보다 중요한데, 어디에도 남아 있지를 않았다. 그 아픔을 기리는 무덤과 기념비들 또는 피해지역(섬 전체가 피해지역일진데), 생존자의(제주도민 모두가 생존자인데 누군들) 얼굴을 흑백으로 담는 것도 현장은 아니었다. 바람소리에서 과거의 울음을 듣고 파도소리에서 그 슬픔을 느낀다는 표현도 억지스럽게 느껴졌다. 시간과 고민은 그렇게 길어지고 깊어졌다. 그러다 찾은 방법은 내가 과거의 풍경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빗개’ 작업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하루종일 보초를 섰던 빗개는 언덕 아니면 길목을 지키며 불안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했을 것이다. 한 손에는 나팔을 들고 한 손에는 삶은 감자(?)을 움켜쥐고서… 불안한 마음으로 시작한 소년의 시간은 지루함과 짜증으로 변했을 것이다. 때로는 호기심으로 주변을 둘러보며 변화무쌍한 풍광에 감탄도 했을 텐데. 내가 빗개가 되어 그 감정으로 눈앞의 풍광을 바라보고 싶었다. 아니 그 방법이 나에게는 유일했다. 제주도 전체가 광기로 꽉 찬 곳이었기 때문에 어느 특정 지역이 우선 일 순 없었지만 첫 사진은 다랑쉬굴 앞에서 시작했다. 4.3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소설 <순이삼촌>으로 유명해진 북촌의 너븐숭이 옆 서우봉 아래 일본군 진지에서 바라보는 다려도는 더 이상 도망칠 곳이 없는 이들의 맨바닥이었다. 하원동의 도순천을 따라 이어진 마을길은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는 매서운 거미줄이었다....
  • ⓒ유별남 Yoo Beylnam
  • ⓒ유별남 Yoo Beylnam
    <빗개> _ 다랑쉬, 2017. Pigment print
  • ⓒ유별남 Yoo Beylnam
    <빗개> _ 어리목, 2018. Pigment print
  • ⓒ유별남 Yoo Beylnam
    <빗개> _ 아끈다랑쉬, 2017. Pigment print
  • ⓒ유별남 Yoo Beylnam
    <빗개> _ 북촌리, 2017. Pigment print
  • ⓒ유별남 Yoo Beylnam
    <빗개> _ 선흘리, 2018. Pigment print
  • ⓒ유별남 Yoo Beylnam
    <빗개> _ 송당리, 2017. Pigment print
  • ⓒ유별남 Yoo Beylnam
    <빗개> _ 아끈다랑쉬, 2017. Pigment print

사진, ‘망보는 소년’의 시선으로 4.3을 환원하다

- 유별남 사진전 <빗개>, 4월 3일부터 류가헌에서

오름의 부드러운 능선을 원경으로 펼쳐두고 갈대들이 바람에 흔들린다. 구멍 뚫린 현무암 돌담 너머엔 하늘이 걸려있다. 노란 유채와 새빨간 동백. 오름과 돌담과 꽃, 꽃들. 일찍이 우리 눈에 익은 ‘아름다운 제주 풍경’이다.

그런데 사진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어딘지 불안하다. 몰래 숨어서 내다보는 것 같은 시점이다. 때로는 땅에 납작 엎드려야만 보이는 높이다. 돌담은 모서리에 찔릴 듯 너무 가깝고, 갈대의 흔들림도 어떤 기척처럼 수상하다. 사진의 제목이 ‘빗개’. 아무리 방언이라 할지라도, 제목조차 귀에 설다.

제주에서는 처녀를 비바리라 부르듯이, 어린 소년소녀들을 빗개라 불렀다. 하지만 여기서의 빗개는 1948년 일어난 4.3사건 당시 토벌대와 무장대를 피해 제주 땅 곳곳에 몸을 숨긴 주민들이 은신처를 지키고자 망보기로 세웠던 아이들을 일컫는다. 여기 이 제주 풍경들은, 70년 전 참혹한 학살이 벌어졌던 제주 다랑쉬굴 앞에서, 도틀굴 숲속에서, 정방폭포 물살 뒤에서 망을 보던 소년의 시선으로 찍힌 사진들이다. 지금은 유적으로 분류된 학살터를 비롯해 '생존한 빗개’들의 증언을 통해 확인된 장소들의 사계절이 사람의 시각과 유사한 화각에 담겨있다. 바로 그날의 4.3을 오늘로 환원하는 사진들인 것이다.

사진을 찍은 이는 유별남이다. 그는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사람이다. 오랫동안 EBS의 <세계테마기행>, KBS <여섯시 내고향> 같은 유명 프로그램 출연자로 낯을 익혔다. 그 프로 들 안에서, 그는 ‘별남이’라는 이름처럼 친근하고 명랑한 표정으로 우리나라와 세계 곳곳을 소개하는 여행작가로 등장한다. 다큐멘터리사진가들의 모임인 <온빛다큐멘터리>의 일원이기도 하지만, 그동안 여러 방송 프로그램과 책으로 선보인 사진들은 주로 해외의 난민과 빈민아동에 관한 것이거나 여행지의 풍광을 담은 회화적인 사진들이었다.
그런 그가, <빗개>라는 제목의 사진전을 연다고 했을 때, 그것이 제주 4.3을 내용으로 한 다는 이야기가 돌았을 때, 많은 이들이 의아해했다. ‘유별남이 4.3을?’. 어딘지 어울리지 않는 조합 같았다. 다만 그의 이력에 적힌 출생지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라는 것이 개연성을 찾을 수 있는 유일한 한 줄이었다.

제주 4.3은 ‘미군정기부터 대한민국정부수립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 여에 걸쳐 지속된, 한국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극심했던 비극적인 사건’이라는 것이 오늘날의 정의다. 지금은 ‘국가 공권력에 의한 집단 희생’으로까지 귀결되었지만, 반세기 넘도록 진상규명은커녕 입 밖으로도 꺼내서는 안 되는 사건이었다.

“어린 시절, 왜 앞집 할망이 나를 그렇게 이상한 눈초리로 바라보았는지, 오래도록 알지 못했다. 4.3을 제대로 알기 전까지는...” 유별남의 말이다. 대학민국에게는 ‘현대사의 비극적인 사건’이지만 제주 사람들에게는 가족의 아픈 역사이자 이웃과 고향의 슬픈 역사였다. 또 7년이 지난 후에도 끝나지 않고 ‘내 자식과 남편, 부모를 죽게 한 이웃을 골목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며 사는’ 70년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귀결되지 않은 현재’다.

4.3에 대해 어린 별남 역시 제대로 들은 기억은 없다. 4.3은 ‘쉬쉬’하면서 하는 어른들의 귀엣말과 한숨과 눈초리와 움츠린 몸짓을 타고 그에게 전이되었다. 제주를 벗어난 뭍에서, 서울 도심에서, 세계 여러 지역을 떠돌며 살았지만 고향이 제주인 이상 그에게 4.3은 생래적으로 태에 감겨 나온 무엇이었다.

따라서 <빗개> 사진의 촬영기간인 1년은, 제주에서 나고 자라온 그의 생애의 총합이 기어이 밀어낸 끄트머리의 일년일 것이다. 미술고를 졸업하고 대학에서 조각을 전공했으나 대학원에서 포토저널리즘으로 그리고 다큐멘터리사진가 그룹의 일원으로 옮아 온 그의 궤적도 마찬가지다. 오래 입 밖에 내어서는 안 되었던 말을, 이제 자신의 화법인 ‘시각언어’로 우리에게 전하는 것이다. 이 말을 하기 위해 이름자에도 박힌 그의 별이 여기까지 그를 인도했는지도 모른다.

유별남이 채록한 ‘생존한 빗개’의 인터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토벌대든 무장대든 언제 누가 쳐들어올지 몰라 무서운 마음으로 숨어서 망을 봅니다. 어릴 때니까, 그렇게 종일 마을 뒷산에서 망을 보다보면 지루해지기도 합니다. 그럼 저도 모르게 주변에 풀꽃도 건드려보고 돌담에 기대 하늘도 올려다봅니다. 그럼 이런 생각이 들어요. ‘우리 고향 참 아름답구나....’ 그러다 새가 날아오르는 작은 기척에도 소스라쳐 놀라지요. 그때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망을 보던 소년 ‘빗개’의 눈앞에 펼쳐진 풍광은 70년이 지난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제주의 자연은 그때나 이제나 여전히 아름답다. 다만, 우리는 안다. 사람의 마음에 의해 풍경의 명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이제 제주의 풍경은 4.3을 알리려 노력하는 저마다의 일성에 의해 그 명도가 달라질 것이다. 아무리 아프고 힘든 일일 지라도 아름다운 제주 풍경의 한 겹을 벗겨내고 사건의 진상과 진실을, 그 속살의 사연들을 들여다보아야만 한다. 그것이 묻히고 사라져가던 방언인 ‘빗개’의 이름을 되살려, 유별남이 이 사진들을 세상에 전하는 이유이다.

‘낮게 걸린’ 30여 점의 <빗개> 사진과 4.3 관련 자료 및 영상들을 함께 볼 수 있는 전시는 4월 3일부터 갤러리 류가헌 전시 1, 2관에서 열린다.
제주도에서 태어난 나는 어릴 적 육지로 가족이 이사하면서부터 제주도에 살지 않았다. 부산에서 살면서 부산말을 썼고 서울에서 살면서 서울말을 썼다. 육지 사람으로 살았다. 다행인 것은 어린 시절 방학이면 항상 제주도 할아버지 집에서 내내 지내다 돌아오는, 제주에서 정기적으로 어린 시절을 보낼 수 있었던 점이다. 제주도는 그저 단편적인 기억만이 있는, 남에게 고향이라고 자랑하기 좋은 “꺼리”였다.

중학교 여름방학 때였다. 할아버지 댁 마루에서 뒹굴며 머리통만한 귤을 굴리다 4.3사태라는 글이 쓰인 종이를 발견했다. 할아버지에게 쪼르르 들고 가 “이게 뭐꽈?”하고 물었다가 회초리로 엄청 맞고는 대문 밖으로 도망갔던 일이 있었다. 억울한 눈물을 흘리며 씩씩거리고 있는 나를 할머니가 데리러 오셨다. “다시는 다시는 그 얘기 하지 말라”라는 약속을 받아내신 후 차가운 오이냉채를 내주셨다.

나의 부모님은 4.3사건이 시작되고 한창인 때 태어나셨다. 그들이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그 난리를 넘기셨는지 알 수는 없으나, 그 험한 시기를 용케 지나오셨으니 나도 이렇게 존재하는 것일 테다. 난 부모님에게서 한 번도 4.3에 관해 들어 본 적이 없다. 그들 또한 기억할 수 없는 어린 시절이었기에 해 줄 이야기도 없을 것이다.

그렇게 서로 모른 채하며 살았는데, 어느 때부턴가 물음이 시작됐다. 왜 일본에 우리 친척이 많은지, 왜 북한에도 친척이 있는지, 왜 할아버지와 다른 친척 간에 그리 갈등이 심했는지, 연좌제가 뭔지… 물음의 답을 하나하나 얻어가는 동안, 오랫동안 말할 수 없었던 것의 실체가 서서히 드러났다.

무엇이라도 해야만 했다. 사진기를 들고, 70년 전의 이야기를 찾아 헤맸다. 다큐멘터리사진에 있어 ‘현장’은 무엇보다 중요한데, 어디에도 남아 있지를 않았다. 그 아픔을 기리는 무덤과 기념비들 또는 피해지역(섬 전체가 피해지역일진데), 생존자의(제주도민 모두가 생존자인데 누군들) 얼굴을 흑백으로 담는 것도 현장은 아니었다. 바람소리에서 과거의 울음을 듣고 파도소리에서 그 슬픔을 느낀다는 표현도 억지스럽게 느껴졌다. 시간과 고민은 그렇게 길어지고 깊어졌다. 그러다 찾은 방법은 내가 과거의 풍경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빗개’ 작업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하루종일 보초를 섰던 빗개는 언덕 아니면 길목을 지키며 불안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했을 것이다. 한 손에는 나팔을 들고 한 손에는 삶은 감자(?)을 움켜쥐고서… 불안한 마음으로 시작한 소년의 시간은 지루함과 짜증으로 변했을 것이다. 때로는 호기심으로 주변을 둘러보며 변화무쌍한 풍광에 감탄도 했을 텐데. 내가 빗개가 되어 그 감정으로 눈앞의 풍광을 바라보고 싶었다. 아니 그 방법이 나에게는 유일했다.

제주도 전체가 광기로 꽉 찬 곳이었기 때문에 어느 특정 지역이 우선 일 순 없었지만 첫 사진은 다랑쉬굴 앞에서 시작했다. 4.3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소설 <순이삼촌>으로 유명해진 북촌의 너븐숭이 옆 서우봉 아래 일본군 진지에서 바라보는 다려도는 더 이상 도망칠 곳이 없는 이들의 맨바닥이었다. 하원동의 도순천을 따라 이어진 마을길은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는 매서운 거미줄이었다....

유별남 Yoo Beylnam


<개인전>
2015 개인전 “STAY ; 믿고 의지하는 대상 1” – 루시다 사진갤러리
2013 개인전 “길에서 별을 만나다” - 스페이스 선 더하기
2012 개인전 Never stop loving -스페이스 선+
2011 개인전 Never stop walking - 스페이스 선+
2011 세계도시슬럼 사진전 “MOMENTO" -서울대입구미술전시관, 현대힐스테이트 전시관
2010 개인전 Never stop thinking 스페이스 선+
2010 파키스탄 수해지원 사진전 - 파키스탄대사관 주최
2010 개인전-IN PAKISTAN - 파키스탄국립현대미술관(이슬라마바드)
- 알 함라(Al hamra) 갤러리 (라호르)
2009 개인전 Nothing to Impress 스페이스 선+
2007 개인전 - 두루 갤러리
2007 이슬람 “기도하는 사람들” - 상명예술디자인센터
2006 “In PAKISTAN” - 갤러리 락

<단체전>
2015 layers전 – 갤러리 피치
2015 공간의 흔적 – 상명문화예술센터
2015 가슴 뛰게 하는 태극기전 – 전쟁기념관
2015 후지필름 X-포토그래퍼 사진전 “공간 형태 표류” 전
2014 기획전 보이는 것 너머의 진심 -갤러리박영
2012 사진전 “굴업도의 바람” -류가헌 갤러리
2009 국제구호단체 ‘월드비전’ 4대륙 기획특집 촬영
2006 “WONDER WORLD” - 갤러리 N-SPACE

<책>
2015 “말순씨는 나를 남편으로 착각한다” 글 최정원 사진 유별남 출판사 베프북스
2013 포토에세이 “길에서 별을 만나다” 글,사진 유별남 출판사 이마고
2012 “두번째 사랑이 온다면” 글 서정윤 사진 유별남 출판사 공감의 기쁨
2012 “가장 낮은데서 피는 꽃” 글 이지성, 김종원 사진 유별남 출판사 문학동네
2011 “삶에게 묻지 말고 삶에 답하라” 글 김영권 사진 유별남 출판사 이덴슬리벨
2010 “일곱 빛깔 지중해의 조용한 천국 튀니지” 사진 유별남 출판사 지식채널
2010 “너의 눈에서 희망을 본다” 글 최민석 사진 유별남 출판사 조화로운 삶
2009 “따뜻한 말 한마디” 사진 유별남 출판사 글로세움
2009 “아이 러브 드림” 사진 유별남 출판사 글로세움
2008 “중동의 붉은 꽃 요르단” 글, 사진 유별남 출판사 지식채널
2006 “신의 뜻대로 (In sha'l Llah)” 출간 사진 유별남, 글 백경훈 출판사 이가서

<방송>
KBS 6시 내 고향 강산별곡(2009)
SBS 물은 생명이다(2013)
EBS 세계테마기행
몽골리아(2017) 베트남(2017) 파키스탄(2016) 캐나다(2015) 몽골리아(2014) 아프리카(2014) 아이슬란드(2013) 이집트(2013) 파키스탄(2011) 인도(2010) 가이아나(2009) 요르단(2008)

<학력>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학사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사진과 예술학석사 (포토저널리즘)

<활동>
온빛 다큐멘터리 회원,
현 FUJIFilm X-포토그래퍼
1839상상문화발전소 레지던스 선정작가,
K2코리아 선정 어썸도어 포토그래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