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532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지극의 상속 Polar Heir
전시기간 2015. 1. 8 ~ 2. 22
전시장소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갤러리 주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5길 84번지 (02-541-5701)
작가 홈페이지 http://www.hansungpil.com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arariogallery.com
관람시간 11:00 – 19:00 (월요일 휴관)
  • ⓒ한성필 Han Sungpil
    Deception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Archipelago III
  • ⓒ한성필 Han Sungpil
    Longyerbyen, Spitsbergen, Svalbard I_2013_chromogenic print_58x68cm
  • ⓒ한성필 Han Sungpil
    Ny-Alesund, Spitsbergen, Svalbard I_2013_ 100x150cm_choromogenic Print
  • ⓒ한성필 Han Sungpil
    Weight of Time 3, 2013, Archival Pigment Print, 85cm x 127cm
  • ⓒ한성필 Han Sungpil
    Weight of Time 5, 2013, Archival Pigment Print, 85cm x 127cm
  • ⓒ한성필 Han Sungpil
    Weight of Time 7, 2013, Archival Pigment Print, 85cm x 128cm
Arario Gallery Seoul is pleased to present Polar Heir, new video and photography works by Han Sungpil, from January 8 to February 22, 2015. Polar Heir is the first presentation of Han Sungpil’s work after his sole exhibition at Arario Gallery Cheongdam in 2013.
The new works in the exhibition deal with the polar regions. In his previous Façade Project, Han has explored fundamental questions and forms of photography such as the issues of the original and the copy, reality and fiction, and conceptual interpretation of space. Photography, video, and installation have all been employed in such creative production.
For two years since 2013, the artist has been working on the Arctic and Antarctic project, discovering the sublime beauty of the nature embedded in the layers of time as well as the gap hidden behind such aesthetic. The title of the exhibition Polar Heir bears multiple connotations. In the Korean pronunciation of the word “polar(地極)” in Chinese characters, it means the Arctic and Antarctic. Yet, it also means the longest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wo hands (指極) and to hold a spear (持戟). A spear is an ambivalent object that has both the qualities of attack and defence. If the geological ends of the Arctic and Antarctic have been attacked by our spears to be exploited, they now became spears for reflecting on the humanity’s future. In addition, the temporality and obligation embedded in the polar regions tell that the humanity is the “heir” of such sublime time and place.
In his approach towards the polar regions, Han Sungpil breaks away from the stereotypical conception of the regions, such as places of extreme coldness and tough terrain, turmoil and hardship, or mystic places where animals such as polar bears, sea lions, and penguins inhabit. The artist finds the sense of the sublime about the Arctic and Antarctic from the layers of time. Through his new works, Han reconceptualizes the Arctic and Antarctic as spaces that had time and history, which the audience will encounter as an accumulation of time presented in the artist’s work. Han also conveys traces of historical memory and reality, hidden behind the sublime of the nature, through documentary photography and video. The artist conveys the memories of whaling, mining, and polar conquests, which were done for the sake of economic and industrial benefit, in a rather calm and placid manner. The efforts made in the past is contrasted with the current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providing a ground for realising the history behind the sublime of the nature. Moreover, the representation of traces in the polar regions through the media of video and photography is to inherit such traces in eternity.
In Polar Heir, Han presents large-format photography works depicting the sublimity of the nature of polar regions seen through noble ideals and layers of time, which are exhibited in the basement floor and on the first floor of the gallery. On the second floor, the artist introduces 17 documentary photographs that depict the gap between historical memories and reality, along with a new work that employs a photo-mapping technique, a technique that is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ith the opening of Polar Heir, an artist talk is scheduled to take place on January 10, 4 p.m. at Arario Gallery Seoul. A book of documentary photography about the mining and whaling industries of polar regions is scheduled to be published with the opening of the exhibition. The publication includes a foreword by Chin Jungkwon, a renowned professor and critic, and an essay by an artist Choi Yeseon.
Later in 2015, Han Sungpil will present a large-scale installation work at Between the Idea and the Experience, the main exhibition of the Havana Biennale, along with Anish Kapoor, Daniel Buren, and Tino Seghal, among others.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은 1월 8일부터 2월 22일까지 2015년을 맞이하는 첫 전시로 한성필 작가의 개인전 [지극의 상속 Polar Heir]展을 개최한다. 2011년 아라리오 삼청과 2013년 아라리오 청담에서의 2번의 개인전 이후, 2년 만에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소격동)에서 열리는 한성필 개인전은 미발표 최신작인 남극권과 북극권의 모습이 담긴 사진, 영상 작업 30여 점으로 구성된다.
한성필은 그 동안 파사드 프로젝트(Façade Project)를 통해 ‘원본과 복제’, ‘실제와 가상’ 그리고 ‘공간의 개념적 해석’이라는 사진매체의 근본적 질문과 형식을 풀어내며 사진과 영상, 설치 작품을 선보여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가 지난 2013-2014년에 걸쳐 진행한 ‘북극과 남극 프로젝트’에서 발견한 시간의 층위를 통해 보여지는 대자연의 장엄함과, 그 이면에 숨어있는 역사와 현실의 간극을 담은 작품들이 처음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전시제목인 [지극의 상속]에서 ‘지극 (地極)’은 지축의 양 끝인, 남극과 북극을 지칭하는 사전적 의미이다. 하지만 ‘양쪽 팔을 좌우로 수평으로 벌려 왼쪽 가운데 손가락 끝에서 오른쪽 가운데 손가락 끝까지의 가장 긴 직선거리 (指極)’와 ‘창을 지니고 있음 (持戟)’이라는 의미한다. 창(槍)은 방어와 공격의 양면적 성격을 지닌다. 지리상 반대인 북극과 남극에 무기인 창으로써 과거에 고래를 남획하고 탄광을 개발하였다면 현재는 우리가 지닌 창으로써 미래를 향한 고민을 함의 하기도 한다. 또한 ‘상속’에 내재된 시간성과 의무감을 통해 극지라는 숭고한 시간과 장소를 현재 우리들이 상속을 받았고 우리 스스로가 미래를 위한 환경 보존의 책임을 지니고 있다는 이중적 내용의 함의를 포함한다. 이처럼 작가는 극지라는 특정한 장소에 부여된 인식적인 환경이 갖는 장소가 아닌, 그 이면에서 보여지는 시간성, 그리고 역사의 흔적과 기억을 작가만의 시선으로 내밀하게 표현하였다.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역사 속의 남극과 북극은 극한의 추위와 함께 눈과 얼음만으로 덮인 험난한 장소이거나, 자연환경과 맞서는 고난과 역경에 대한 이미지, 혹은 북극곰, 바다사자와 펭귄 같은 동물이 살고 있는 신비한 장소로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성필은 남극과 북극의 숭고에 대한 감각을 수천 년에 걸쳐 쌓여진 시간의 적층 (積層 Layers)에서 찾았다. 작가는 남극과 북극이라는 장소를 시간과 역사가 담긴 공간으로 새롭게 의미화하였다. 관객은 수십만 년 동안 침식된 산들과 빙하의 적층이 쌓여서 만들어진 시간의 축적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는 진기한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대자연의 숭고의 이면에 있는 역사적 기억과 현실의 흔적을 다큐멘터리 사진과 영상 작업으로 담았다. 경제적, 산업적 기치를 위해 과거 북극과 남극에서 벌어졌던 고래잡이, 광산개발, 극점 정복의 기억과 흔적을 객관적이고 담담한 시선으로 풀어나간다. 혹독하게 대자연의 힘과 맞서며 도전과 투쟁, 심지어는 숭고한 희생까지 감내했던 과거의 노력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의 생태와 환경 문제 사이에 첨예한 대립 구조를 이루면서 그 동안 놓쳐왔던 대자연의 장엄함의 이면에 있는 역사 인식의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그가 사진과 영상의 매체로써 북극과 남극의 과거 기억과 현재 흔적을 재현한 작업들은 시간적으로 영구히 상속하는 의미를 지닌다.
전시장 지하 1층과 지상 1층에서는 북극과 남극에 대한 숭고적 이상과 시간의 층위를 통해 보여지는 대자연의 장엄함이 담긴 대형 사진 작업을, 2층에서는 역사적 기억과 현실의 간극을 담은 다큐멘터리 사진 17여 점과 국내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사진매핑 기법을 사용한 신작을 선보인다.
전시와 더불어 한성필 작가의 남극과 북극 작업에 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아티스트 토크가 1월 10일 4시에 진행되며 남극과 북극의 탄광 산업과 포경 산업에 관한 다큐멘터리 사진집인 ‘POLAR HEIR가 진중권 교수의 서문과 최예선 작가의 에세이와 함께 태광종합기획에서 출판될 예정이다. 또한 이 전시의 연장선에서 2015년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강남 미디어폴 (강남대로)의 미디어 플랫폼 프로젝트에서 한성필 작가가 남극 항해와 장소에 대한 영상 미디어 작업인 ‘더 슬릿 (The SLIT)’을 상영된다.
작가는 2015년, 쿠바 하바나 비엔날레의 메인 전시인 ‘개념과 경험 사이 (Between the Idea and the Experience)’에 초대받아 아니쉬 카푸어 (영국) 다니엘 뷰렌 (프랑스), 티노 세갈(영국/독일) 등의 세계 초정상급 작가들과 함께 쿠바 하바나에 새로운 대규모 설치작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Chin Jungkwon (Professor, Dongyang University)


What is it about the barren environment of the Polar Regions that fascinates us? In the 18th century, Edmund Burke gave a classic explanation on the sublime, that it is an overwhelming object that rouses pain and fear. He saw the sublime as an ambivalent emotion: when we are overcome by something colossal we feel an anxiety that entails joy.
Then what is the identity of this happiness hidden in horror? Immanuel Kant explains it as an extension of existence: we first undergo fear when we see something beyond our normal scale of perception, but during the psychological processing of the phobia, we are taken to a sphere of infinity, beyond our sensual limitations, and it is that moment when we reach a state of delight, incomparable to that of any pleasure. What provoked Han Sungpil to the Polar Regions may have been such emotion of sublimity. His photography with respect to the areas reminds me of Caspar David Friedrich’s The Sea of Ice. The painting depicts a shipwreck and chunks of Arctic ice piled on top of it, as if a white mouth of Mother Nature has sardonically swallowed a ridiculous human trial.
However, from man’s perspective, nature is no longer in the domain of the sublime. It was until early 19th century, being a horrific force impossible for mankind to overthrow. Meanwhile in the present, it rather needs protection from the tyranny of the avaricious modern man with an arsenal of technology. The Polar Regions are no exception of this deprivation of conventional sublimity. It has been a while since the practice of human exploitation has been exercised in even the most remote areas over and around the two poles, places where nowadays paying a call has become a comparatively affordable tourism program for a considerable population.
Meanwhile, the sublime in the contemporary is rather the vast series of human breakthroughs. What blows us away today is not the works of nature, but those of the cutting edge, and a global capitalism that nullifies the control of individual states. The photography of Andreas Gursky, including the exquisite example of his Chicago, Board of Trade II, well depicts the technological sublime in the digital era.
Conversely, what we see in the works of Han is a return to the natural sublime. However, why now, in the time of the technological sublime? Strictly speaking, there is nothing new about photographing the presence of the polar. All one has to do is pick up a copy of National Geographic. Better yet, going to an IMAX theater and watching a movie whose setting is the Polar Regions can be an even more vivid experience.
Recalling the natural sublime to the present entails the risk of descending down to a visual cliché. However, in the works of Han, there seems to be the intention of recovering the dignity of nature, a nature that has been undergoing the visual exploitation of man’s intellectual curiosity. It is as if the works are trying to tell us that no matter how great our avarice is, how great our technology is, we are after all finite beings, destined to one day being buried in the even greater arms of Mother Nature, like the ship in Friedrich’s painting.
The sublimity Han experienced during his visit in the polar world is related more to time than space. His work depicts the flow of time preserved frozen in snow and ice. The stratification of snow shows the many years that have flowed over the strata. It is here where Han witnesses the frozen infiniteness of time. Despite our spatial conquest of the Arctic and Antarctic, we are still incomparably trivial beings when we go face to face with the capacity of their time kept in ice.
With respect to this observation of polar time, Han told me quite an interesting story. When the people there drink whisky on the rocks, the ice being small chunks from the glaciers, they say small bubbles of air come out from the ice. The older the ice, the more bubbles ascend. They say this proportional relation it is due to the fact that older ice has been compressed by the weight of a greater time, hence contains more air. What can better show how polar glaciers are possessors of perpetuity?
Other extensions of Han’s perspective gaze at the abandoned facilities and equipment of exploitation man built and abandoned. Although it has not been too long since their builders and operators left them, the newest stratum of snow has already grown on top of them. Hal Foster may call this the “fixed-explosive”: one of the uncanny effects surrealists sought, for instance the psychological impact that is generated by the image of a fast-moving object suddenly halting or that of the collapse of civilization.
A frozen image of a turning ballerina or a picture of a locomotive entrapped in a shrubbery. It were photographs of this kind that captivated surrealists. If one desires to comprehend this charm, recalling the feeling that comes from observing Ta Phrom buried under the roots of the gigantic trees growing out of the old temple might serve them well. The photographic representation of human traces buried in snow and ice saturates its appreciator with a similar emotion. In the setting of the polar uncanny, there lies the impulse of death. For me, Han’s polar photography is a stroke of memento mori.

English translations by Ahn Jae Woo
숭고의 미학

진중권 (동양대학교 교수)


우리가 극지방과 같은 인간에게 혹독한 환경에 매료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오래 전에 영국의 철학자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1729~1797) 가 이 물음에 대한 고전적 답변을 내놓았다. ‘숭고.’ 버크에 따르면 숭고란 우리에게 “고통과 위험의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어떤 압도적 대상이다. 버크는 숭고의 체험을 부정과 긍정의 양가적 감정으로 설명한다. 즉 어떤 거대한 대상에 압도당할 때 우리는 “공포”를 느끼나, 그 공포의 이면에 모종의 “기쁨”이 동반된다는 것이다. ‘공포’ 속에서도 느껴지는 그 ‘기쁨’의 정체는 무엇일까? 칸트는 그것을 존재의 확장으로 설명한다. 인간은 자신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압도적 대상 앞에서 먼저 공포를 느끼지만, 그 위협을 심리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감각적 한계를 넘어 무한성의 영역으로 고양된다는 것이다. 그때 인간은 감각적 ‘쾌락’(Pleasure) 따위와는 비교할 수 없는 지적 ‘열락’(Delight)을 맛보게 될 것이다.

한성필 작가를 극지로 데려간 것도 숭고의 감정과 비슷한 것이었으리라. 남극과 북극을 찍은 그의 사진들은 18세기 낭만주의 화가들의 풍경화들, 특히 독일의 화가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 (Caspar David Friedrich 1774~1840)의 작품 [빙해 (Das Eismeer 1823-24)]를 연상시킨다. 이 작품은 거대한 얼음덩어리들 아래 파묻힌 북극 탐사선의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자연은 그 무서운 하얀 입으로 인간의 가소로움을 간단히 집어삼킨다.

하지만 이제 자연은 더 이상 숭고의 대상이 아니다. 19세기 초만 해도 자연은 인간에게 숭고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극복하기 힘든 무서운 힘이었지만, 오늘날 자연은 외려 기술로 무장한 탐욕스러운 인간들의 폭정으로부터 보호 받아야 할 대상이 되었다. 극지 역시 오래 전부터 과학적, 산업적 착취의 대상으로 전락했다. 심지어 지금은 약간의 돈만 있으면 누구나 선택하여 갈 수 있는 관광 상품이 되었다.

오늘날 숭고한 것은 외려 인간이 이룩한 것들이다. 오늘날 우리를 경외의 감정에 빠뜨리는 것은 더 이상 자연이 아니라,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영역 너머로 발전하는 테크놀로지와, 개인은 물론이고 개별국가의 통제력마저 무력화시키는 세계 자본주의체제다. 안드레아스 구르스키(Andreas Gursky) 의 작품들, 특히 그의 [시카고 상공회의소 II (Chicago, Board of Trade II, 1999)]는 디지털시대의 이른바 ‘기술적 숭고’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한성필 작가의 작품에서 우리가 보는 것은 다시 자연의 숭고함이다. 그는 왜 이 시점에 낭만주의적 자연 숭고를 다시 불러냈을까? 사실 극지의 모습을 담은 사진은 우리에게 그리 새롭지 않다. [내셔널지오그래픽]과 같은 다큐멘타리 잡지를 통해 그런 이미지들을 일상적으로 수없이 접한다. 심지어 IMAX와 같은 장치를 통해 극지의 장관을 마치 현장에서 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접할 수도 있다.

그런 시대에 자연 숭고를 다시 소환하는 데에는 자칫 시각적 클리셰로 전락할 위험이 따른다. 하지만 한성필의 작품에서는 ‘다큐멘터리’라는 인간의 지적 호기심을 위해 시각적으로 착취당하는 자연에 위엄을 되돌려주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그의 작품은 아무리 인간의 탐욕이 거대하고, 그의 기술이 위대하더라도, 결국 인간은 유한하며 프리드리히의 작품 속의 탐사선처럼 언젠가 대자연에 묻혀버릴 수밖에 없는 존재라고 말하는 듯하다.

한성필이 극지에서 체험한 숭고의 감정은 ‘공간’보다는 ‘시간’에 관계한다. 그의 작품들은 극지의 눈과 얼음 속에 응고한 시간을 보여 준다. 내린 눈이 겹겹이 쌓여 생긴 층들은 그 위로 흘러간 무수한 시간의 결들을 보여준다. 거기서 그는 차갑게 얼어붙은 시간의 영원성을 본다. 비록 극지를 북극을 공간적으로 정복했을지 몰라도, 그 안에 응고된 시간의 규모 앞에서 인간은 여전히 미약하고 왜소한 존재일 뿐이다.

작가는 이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일화를 들려준다. 극지에서 위스키를 마실 때, 그곳에서 채취한 얼음을 집어넣으면, 마치 응고된 세월이 풀려나오는 듯이 수많은 기포가 올라온단다. 오래된 얼음일수록 물론 기포는 더 많이 생기는데, 그것은 같은 두께라 하더라도 오래된 얼음은 세월의 무게로 압착되어 더 많은 공기를 담고 있기 때문이란다. 극지의 얼음이 영겁의 시간을 품고 있음을 이보다 더 잘 보여줄 수 있을까?

작가의 확장된 시선들은 한때 인간이 그곳을 착취하기 위해 사용하다 버리고 간 건물과 장비들을 보여준다. 그리 긴 시간이 지나지 않았음에도 그것들은 벌써 눈과 얼음 속에 파묻혀 버렸다. 할 포스터(Hal Foster 1955 ~)라면 그것을 ‘정지된 폭발’이라 부를 것이다. 이는 초현실주의자들이 추구하던 ‘언캐니’ 효과의 하나로, 가령 빠르게 움직이던 것이 갑자기 정지하거나, 인간이 이룩한 문명이 무너져 내리는 장면이 불러일으키는 심리적 효과다.

회전하는 발레리나의 정지 사진. 관목 숲에 잡아먹힌 기관차의 사진. 초현실주의자들은 이런 이미지들에 매료됐다고 한다. 그 매력이 어떤 것인지 알려면, 거대한 뱅골 보리수의 뿌리에 파묻혀 버린 캄보디아의 따 프롬 사원(Ta Phrom) 을 볼 때 느끼는 감정을 떠올려 보라. 눈 속에 파묻혀 버린 장비와 얼음으로 막혀버린 터널의 사진도 그와 비슷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이 ‘언캐니 (Uncanny)’의 바탕에는 죽음의 충동이 깔려 있다. 내게 한성필의 작품은 일종의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이다.
Polar Space, Polarized Time

Han Sungpil


The twofold flow and accumulation of time: for many years, this has been a core interest of mine with respect to the Polar Regions. To be more specific, after my studies on the human traces in and around the Arctic and Antarctic areas, my snowballing question has been about how the regions’ icy stratification over the hundreds of thousands of years of their natural history contrasts with their much shorter but quite significant history of human expedi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a healthy number of us, the regions are understood as areas of little more than gargantuan volumes of snow and ice under the dominance of Earth’s coldest natural temperature. Based on this assumption is the general image of their land and waters: an extremely sublime sculpture of Mother Nature; her most silent and natural presence perfectly preserved in her most exquisite ice bank system. It is not too hard to understand how we have developed this universal imagery of the two poles, after collectively reading and watching all those books and documentaries that teem with the selective visual and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areas focused more on the subject matter of their natural features.
Yes, selective, as there exists another set of features that has been relatively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development of polar discourse, namely the human features: the history of human activity over the regions which are seemingly too inhuman for a considerable timeline of human engagement. However, after the Dutch explorer Willem Barents discovered the Svalbard Archipelago in 1596, the Arctic Ocean’s long kept secret of being an enormous habitat of whales was revealed to Europe, turning the color of its waters from blue to crimson, turning its cetacean residents into endangered species. Then in the 18th century, British explorer James Cook’s virgin visit to the Antarctic Circle disclosed the Southern Hemispheric counterpart of the Arctic Ocean’s secret, resulting in nearing the entire world’s whale extinction. In addition, the radar of man’s overhunting detected Antarctica’s penguins and pinnipeds as well, enriching the gore of the bloodbath. Therefore it is safe enough to say that the Polar Regions have a history of not one but at least two colors: the white history of its icecaps, and the red history of its holocaustic hemorrhage.
The gigantic game from the land and waters of polar promise provided goods for a variety of our markets: food, cosmetics, medicine, apparel, and lubricant, to name a few. Until the 18th century, before the introduction of petroleum, whale oil in particular was widely used as the base material for candles and lamps, liberating Europe’s nights from the visual constraint of darkness. Then in early 20th century, another mammoth secret of the Svalbard Archipelago was revealed: its titanic deposit of coal. The Arctic mine race soon began; the area soon became Europe’s most abundant source of the fossil fuel. Speaking of “mine” rac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coal was the reason why the frosty area was actually also a boiling battlefield of the Allied Forces and the Nazi, exchanging rains of rounds over its possession; concrete traces of the mining and dogfighting still exist there to this day. On top of that, in more recent times, as global warming has been melting down the polar glaciers, what has been divulged is yet another polar secret to civilization, a secret of utmost utility to the modern man: oil. Thus in the contemporary, a new polar war has begun: the war of the oil companies, the black gold rush. This is why I said earlier that the Polar Regions have a history of not one but “at least” two colors, introducing black as the third color of the bigger picture. While we generally consider the Arctic and Antarctic areas as little more than the most remote regions, for more than 400 years, they have in fact been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rather adjacent to us, playing such a crucial role in the industrialization of mankind, the shaping of who we are now.
In the mind of the Polar Regions, there exists a photographic memory of triple exposure, the superposition of its white, red and black histories. The land and waters of purely the most extreme natural sublimity, according to an ordinary imagination, have actually been running on a two-track time: a track of Mother Nature, and that of her most audacious children.

English translations by Ahn Jae Woo
같은 공간, 다른 시간

한성필


평소 본인이 가졌던 북극권과 남극권에 대한 특별한 관심사는 극지방에서 보여지는 시간의 흐름과 누적 때문이었다. 보다 엄밀히 말해 그로 인해 형성된 층위의 표면과 이면 때문인데, 전자가 수십 만년간 진행되어온 빙하의 침식과 퇴적에 의해 만들어진 대자연의 장엄함이라면, 후자는 그 뒤에 숨어있는 역사와 현실의 간극이다.
흔히 우리들에게 남극과 북극은 극한의 추위 속에서 눈과 얼음으로만 황량하게 뒤덮여 있는 오지로, 또 그렇기에 자연의 가장 고요하고 천연한 모습이 냉동 보존된 극한의 숭고미를 지닌 곳으로 여겨질 것이다. 아마도 극지에 대한 이렇게 고착된 보편적 정서와 이해는 우리가 어려서 읽었던 위인전이나 동화책에 묘사된 내용, 즉 삽화와 함께 서술된 북극과 남극의 정복을 위한 탐험가들의 험난한 자연 환경에 맞선 고난과 역경의 이야기들에 대한 기억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문헌들이 전하는 극지방의 분위기와 심상은, 지금까지 실제로 진행되어온 종합적 현실하고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 16세기 네덜란드 탐험가 빌럼 바렌츠 (Willem Barents 1550 ? ~ 1597)가 북극해의 스발바르 제도(Svalbard Archipelago)를 발견한 이후, 주변 바다 전체가 핏빛으로 물들만큼의 수많은 고래가 살육되었고 마침내 씨가 마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8세기에 영국의 제임스 쿡 (James Cook 1728 ~ 1779) 선장이 남극권에 최초로 진입한 이후 유럽 사회에 남극권 또한 거대한 고래 서식지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유럽의 수많은 고래 사냥꾼들이 몰려가 마찬가지의 남획이 일어남에 따라 결국 현재 전세계 고래가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그와 함께 20세기 중반까지 남극의 마스코트인 펭귄과 물개들마저 수십만 마리가 도살되었는데, 이처럼 극지는 우리에게 흔히 알려져 있는 설원의 하얀 역사만 지니고 있는 곳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붉은 역사 또한 지니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렇게 살육된 수많은 극지의 동물들은 식용뿐만 아니라 화장품, 의약품, 패션산업, 윤활유 등의 인간 편리를 위해 사용되었다. 특히 석유와 전기가 개발되기 전인 17, 18세기에는 고래 기름이 등잔과 양초의 원료는 물론 등대와 가로등의 불을 밝히는 기름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는데, 그럼으로써 문명은 밤의 어둠으로부터 본격적으로 해방됨과 동시에 산업 생산량의 급격한 증가를 이루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20세기 초, 스발바르 제도에서 발견된 어마한 양의 석탄은 그 극한의 동토에서 광산 개발 붐을 일으켰고, 심지어 한때는 유럽 최대의 석탄을 산출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이곳은 2차 세계대전 중 연합국과 나치 독일과의 피비린내 나는 탄광 정복전이 벌어진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며, 석탄에 대한 개발과 결투의 구체적 흔적들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드러나는 북극과 남극에 매장된 수천억 배럴의 석유가 메이저 정유 회사들의 치열한 유정(油井) 개발을 촉발하는, 마치 19세기 미국 서부나 호주 등에서의 황금 채굴 붐이었던 ‘골드 러시(Gold Rush)’와도 흡사한 ‘블랙 골드 러시’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에 엄청난 인력과 자본이 우리가 통상 인간 사회와 가장 떨어진 곳으로 간주하는 극지에 투입되고 있다. 이처럼 극지에서 벌어졌던 대량 포획과 자원 개발, 이들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것 이상으로 근대사회의 산업화 및 현대사회의 치열한 물리적, 이념적 투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과거 역사에서 돈과 명예를 위해 극지 탐험을 나섰던 욕망의 기억은 그 이후의 끝없는 부와 에너지를 위한 탐험의 욕망들이 투사되어 있는 극지의 오늘과 함께 중첩되고, 또 극지 본래의 오랜 비인공적 세월과도 중첩된다. 많은 사람들에게 지극한 천연 숭고미의 표상으로 간주되어온 극지는 그 순수한 자연의 역사를 지닌 동시에 자원의 대량 확보를 위한 지극히 인간적인, 문명적인 역사 또한 간직하고 있으며, 이 역사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장엄한 빙하의 왕국, 그 이면에는 문명과 자연의 충돌이, 또 자원 경쟁에 따른 문명과 문명의 충돌이 기술된 은밀하고도 오랜 서사가 숨어있는 것이다.
Han Sungpil (b.1972 Seoul, Korea)
He creates art mainly using photography, moving images, and installations to support and to examine a philosophical subject such as environmental issues, originalities, history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real and the represented.
He strives to understand diverse cultures by exploring nature and interpreting mundane worlds that have been sources of his artistic inspiration and creation. He often includes a sense of humor in a subtle manner incorporating sublime elements of beauty. In the end, his works invites viewers to arrays of philosophical questions of how to ideally design an ideal synthesis for the post-contemporary.
His work has been exhibited and reviewed in important museums, biennales, galleries and publications internationally including;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Seoul, Korea), Museum of Fine Arts (Houston, U.S.A),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Buenos Aires, Argent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hanghai, China),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Photography (Tokyo, Japan), Kiyosato Museum of Photographic Arts (Japan), Yokohama Triennale (Japan), Havana Biennial (Cuba) and etc.
He received a BFA in photography from Chung-Ang University, Korea and completed Curating Contemporary Design, a joint MA program offered by Kingston University in London and the Design Museum, London. This nomadic artist is currently lives and work in somewhere on earth.
To know more about his work, please visit www.hansungpil.com

Education
2003 ~ 2004 MA in Curating Contemporary Design with commendation at Kingston University,
London (Delivered in collaboration with the Design museum, London)
1993 ~ 1999 BFA in Fine Arts (Photography medium) with distinction at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Artist in Residence
2013. 9 ~ 10 The Arctic Circle Program
(Expedition into the High Arctic from International Territory of Svalbard.)
2010.11~ 2011.1 18th Street Arts Center , Santa Monica, U.S.A
.........(Supported by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Republic of Korea)
2010. 7 ~ 8 Picture Berlin (Kunstlerhaus Bethanien Berlin, Germany)
2008.4 ~ 2009.3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Paris in France
......... (Supported by Samsung Culture Foundation, Seoul, Korea)
2007.8 ~ 9 Sirius Art Centre, Cobh, Cork in Republic of Ireland
......... (Supported by Irish Arts Council and Cork County Council)
2007.3 ~ 5 Uijae Art Studio, Gwangju in Korea
......... (Supported by ‘A Culture Hub City of Asia, Gwangju & Gwangju Metropolitan City)
2006.3 ~ 9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Paris in France
......... (Supported by Ministere Francais des Affaires Culturelles)
2005.6 ~ 12 Centre d’art Marnay Art Centre , Marnay-sur-Seine, France
......... (Supported by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oundation grants & Fondation TENOT)
2004.12 ~ 2005.3 Selasar Sunaryo Art Space, Bandung, Indonesia (UNESCO-Aschberg Bursaries)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4. 8 Ground Cloud - XVIII Encuetros Abiertos, Festival Luz,
.............(Centro Cultural Coreano en América Latina, Buenos Aires, Argentina )
2013. 10 Façade Project (PHOTOVISA Festival, Krasnodar, Russia)
2013. 3 Diplopia (Arario Gallery, Seoul, Korea)
2011. 6 Façade (Blanca Berlín Galería, Madrid, Spain)
2011. 5 Moment of Realization:The Meaning of Photography (National Assembly Library, Seoul, Korea)
2011. 4 Dual Realities (Arario Gallery, Seoul, Korea)
2011. 1 Façade –12à Bienal International de Fotografía de Córdoba (Cordoba, Spain)
2010. 3 In Between Layers (Gallery Zandari, Seoul, Korea)
2008. 2 RE: Presentation (SEO Gallery, Seoul, Korea)
2007. 3 Façade: Face_cade (Gallery Zandari, Seoul, Korea)
2006. 11 The Sea I dreamt - The 16th International Festival of Photography : Bratislava
.............Month of Photography 2006 (Bratislava, Slovakia) - Supported by Arts Council
.............Korea & Paradise Culture Foundation, Korea
2006. 1 The Sea I dreamt (Lightcontemporary, London, U.K)
2005. 10 My Sea (Goethe Institute, Frankfurt am Main, Germany)
2005. 2 Blue Jungle - Displaced Spaces (Selasar Sunaryo Art Space, Indonesia)
2004. 3 The Sea I Dreamt - The 10th International Biennial of Photography & Photo- Related Art .............‘Houston Fotofest 2004’ (Houston Fotofest Headquarters gallery, Texas, U.S.A.)
2002. 10 The Sea I Dreamt (Gallery Space 4Zine : Seoul, Korea)
1999. 5 My Sea (Gallery Indeco: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4.10 By Destiny, ARARIO MUSEUM DONGMUN MOTELⅠ(Jeju Island, Korea)
2014. 9 ART FLASH: Art for fifth sense (COEX, Seoul, Korea)
2014. 9 Day and Night in Seoul (K11 Art Museum, Shanghai, China)
2014. 9 Origins, Memories & Parodies - Daegu Photo Biennale (Daegu Culture & Arts Center, Korea)
2014. 8 ‘Basicaly. Forever’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Photography, Tokyo, Japan)
2014. 4 Animamix (Animamix Biennale, Museum of Contemporary Art, Shanghai, China)
2014. 4 Wandering Vision (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14. 3 ‘Sport. City, Future’ PHOTOVISA in MOSCOW, ROSIZO State Center for Museums and Exhibitions, Russia
2014. 3 Animamix (Animamix Biennal, Museum of Tsinghua University Academy, Beijing, China)
2014. 1 Photography and Media 4:00 am (Seoul Museum of Art, Korea)
2013.12 Parallax ASEAN (ASEAN-Korea Cultural Exhibition 2013, Seoul City Hall, Korea)
2013. 9 Photosight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2013. 9 New Photograph in Korea (Galerie Paris- Beijing, Hotel Winssinger, Brussels, Belgium)
2013. 9 The Zizek / Badiou Event of Philosophy (Platoon Kunsthalle Seoul, Korea)
2012.11 Dislocation (Daegu Art Museum, Korea)
2012. 9 우리[WOO:RI], TINA B. Prague Contemporary Art Festival (Prague, Czech Republic)
2012. 9 Busan Biennale ‘Garden of Learning’ - Special Exhibition ‘The Cityscape as Still Life’ (Busan Cultural Center, Korea)
2012. 8 LAM 360º – 2nd Land Art Mongolia Biennial (Ikh Gazriin Chuluu - Dundgobi & The National
.............Mongolian Modern Art Gallery - Ulaanbaatar, Mongolia)
2012. 3 Art Project 2012 : Communion (Nuclear Security Summit Seoul 2012 Media Center
&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2011.12 Epilogue : On the Border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Korea)
2011.11 Fotografias - Coleção Joaquim Paiva (MAM, Museu de Arte Moderna, Rio de Janeiro, Brazil)
2011. 9 MoA Picks 2011 (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1. 8 Our Magic Hour (Yokohama Triennale 2011, Yokohama Museum of Art, Japan)
2011. 7 Mr. Rabbit in Art Land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Korea)
2011. 4 Purpose of Life (Pohang Museum of Steel Art, Gyungsangnamdo, Korea)
2011. 3 Multiple Senses (Savina Museum, Seoul, Korea)
2010. 7 The Extraordinary Time Travel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Korea)
2010. 7 Chaotic Harmony: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U.S.A)
2010. 5 Man Ray's Photography & His Heritage, (Seoul Museum of Art, Korea)
2010. 4 Maden Pictures (Arario Gallery, Cheonan, Korea)
2009. 12 Views from Korea - The 5rd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 Lianzhou, China)
2009. 10 Chaotic Harmony: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Museum of Fine Arts, Houston, U.S.A)
2009. 7 Photography is Dead … , (Three White Walls Gallery, Birmingham, U.K)
2009. 7 The Photograph as Contemporary Art, (Doosan Gallery, Seoul, Korea)
2009. 5 Someplace, (Gallery Ihn, Seoul, Korea)
2008.12 Things Dancing,( Dr Park Gallery, Yangpyung, Korea)
2008. 11 Then & Now – Momories of the Future (Daegu Photo Biennale, Exco, Daegu in Korea)
2008. 10 The Senses (Gallery Zandari, Seoul, Korea)
2008. 9 Olympics & Love (Pingyao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Pingyao, China)
2008. 6 Escenarios Emocionales English Title: Emotional Scenarios - PHotoEspaña 2008 :Off Festival
............. (Blanca Berlín Galería, Madrid, Spain)
2008. 4 ‘Space’ Looking at different way – (Shinsegae Art Wall Gallery, Seoul, Korea)
2008. 3 2007 New Acquisitions of 'Gyeonggi Museum of Art' (Ansan, Korea)
2007. 12 The Alchemy of Shadows – The 3rd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 (Granary Factory, Lianzhou, China)
2007. 11 Pass the Picture (Goethe Institute, Berlin, Germany)
2007. 10 Mysteries, Secrets, Illusions – Kaunas Photo 07
............. (Kaunas Picture Gallery, M.K.Ciurlionis National Museum, Kaunas in Lithuania)
2007. 9 Co-exist (Foil Gallery, Tokyo, Japan)
2007. 9 My Private Collection (Gana Art Center, Seoul, Korea)
2007. 6 In Touch of the Present – Korean Artists Collaboration
............. (Wada Fine Arts, Tokyo in Japan)
2007. 6 Photography - copied truth : four truth : made truth
............. (Gallery Touch Art Gallery, Hayri, GyeongGi-do, Korea)
2007. 5 Open Studio3 (Old Jeonnam Province Hall & Uijae Studio)
2007. 3 Photographs by the Next Generation: Young Portfolio Acquisitions 2006
............. (Kiyosato Museum of Photographic Arts, Yamanashi, Japan)
2006. 12 Danginri Culture Factory (Ssamzie Space, Seoul, Korea)
2006. 11 Obsesiones - Obras de la Colección Fotográfica del MNBA
.............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Buenos Aires, Argentina)
2006 11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_KOREANEW DAYS
............. (Dome Unenia, Bratislava in Slovakia)
2006. 10 The Senses (Gallery Zandari, Seoul, Korea)
2006. 6 Descubrimientos PHE – Photo Espana 2006
............. (Antiquo Matadero de Leqazpi, Marid, Spain)
2006. 4 Pictures vs Pictures 2006 (Gallery Zandari, Seoul, Korea)
2006. 2 Photographs by the Next Generation: Young Portfolio Acquisitions 2005
............. (Kiyosato Museum of Photographic Arts, Yamanashi, Japan)
2005. 12 Winterwonderland (Fotografie Forum international, Frankfurt, Germany)
2005. 12 Three Views: Korean Photography (De Santos Gallery, Houston, U.S.A)
2004. 11 Club Paradiso – Jamming with Photography
............. (Kiyosato Museum of Photographic Arts, Yamanashi, Japan)
2004. 7 The Flow - The International Festival of the Image ‘Rhubarb-Rhubarb’
............. (Mailbox Gallery, Birmingham, England, U.K)
2004. 7 Archetype & Experience (Gallery La Mer, Seoul, Korea)
2003. 2 Photographs by the Next Generation: Young Portfolio Acquisitions 2002
............. (Kiyosato Museum of Photographic Arts, Yamanashi, Japan)
2002. 11 I International Encounter “Artists for Peace” (Islamic Cultural Center, Madrid, Spain)
2001. 1 Photographs by the Next Generation: Young Portfolio Acquisitions 2000
............. (Kiyosato Museum of Photographic Arts, Yamanashi, Japan)
2000. 10 Sky & Sea ; Text & Context” (Gallery Sajin Madang : Seoul, Korea)
2000. 7 Introduction to Photography-Portraits & Landscapes
............. (Art Sonje Center Seoul & Art Sonje Museum Gyeongju Korea)

Public Installation Projects
2013.12 Illusion reality with Lincoln (Lincoln Continental, Gangnam Store, Seoul, Korea)
2013.3 Small City in Hyundai (Hyundai Department Store, Seoul COEX, Korea)
2012.6 Tandem Sequence (Changgyeonggung Palace, Korea)
2012.5 Small City in Doosan Art Center (Doosan Art Center, Seoul, Korea)
2011.9 Tandem Sequence (Namhansanseong, Korea)
2011.4 Small City in Garden 5 (Garden 5, Seoul, Korea)
2011.3 Small City in SHINSEGAE (Shinsegae Department Store, Cheonan, Korea)
2011.1 Open Water (18th Street Art Center, Santa Monica, CA, U.S.A)
2010.9 Melting Space (The Goyang Cultural Foundation, Goyang, Korea)
2010.4 New World Square Project (ARARIO Green Sculpture Park, Cheonan, Korea)
2010.3 RE(Wrapping + Eco Bag)Cycling Project (Gallery Zandari, Seoul, Korea)
2009.7 How to Lie with SPACE, (Space Group, Seoul, Korea)
............. Public Film Screening
2014. 9 NAVER Logo Art Project for International Da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Ozone
Layer (www.naver.com / on 16th Sep 2014)
2012.9 Amor Fati - BIO OKO Art Cinema (Prague, Czech Republic)
2006.7 Audio & Visual Show of the Young Emerging 16 Korean Photographic Artists
............. - The Opening of Donggan International Festival of Photography
............. (Youngwol Museum of Photographic Arts, Gangwondo, Korea)
한성필은 1972년 서울 생으로 중앙대학교 사진학과와 런던 킹스턴 대학교에서 큐레이팅 컨템포러리 디자인 석사를 졸업하였다.
파사드 프로젝트 (Façade Project)’로 널리 알려진 그의 작업은 ‘실재와 가상’,’원본과 복제’, ‘역사와 환경’과 같은 첨예하고 근원적인 주제들을 사진, 비디오, 설치 등의 작업을 통해 매혹적인 시각 작업으로 풀어나간다.
다양한 여행과 독서를 통한 깊은 통찰은 우리들에게 일상적인 것을 넘어 철학적인 화두를 던진다. 또한 개념적이고 사유적인 그의 작업은 내밀한 감성과 유머, 더 나가 숭고의 미까지 함축되어 있다.
국립현대 미술관, 국회도서관, 서울시립미술관, 휴스턴 현대 미술관, 미국 뉴 멕시코 미술관, 상해 현대 미술관, 동경사진미술관, 아르헨티나 국립 미술관, 요코하마 트리엔날레, 하바나 비엔날레 등과 같은 주요 비엔날레와 미술관등에 두루 전시 및 소장을 통해 관객들과 만나오고 있다. 또한 그의 대표작인 파사드 설치 프로젝트는 공간 사옥, 남한 산성 등의 유수 문화재 등에서 시행 되었으며 그의 작품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지구의 어디인가를 여행하고 어디인가에서 정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작가 홈페이지 www.hansungpil.com 작가 세부 이력
b. 1972, 한국
2004 런던 Kingston University, London 및 The Design Museum, London의 공동 프로그램
Curating Contemporary Design 석사 (MA) 과정 졸업
199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14 NAVER Logo Art Project (2014. 9. 16일 세계오존층보호의 날 www.naver.com)
2014 Ground Cloud – XVII Encuentros Abiertos, Festival de la Luz, 중남미한국문화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2013 Façade Project, PHOTOVISA Festival,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2013 Diplopia,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청담
2011 Façade, Blanca Berlín Galería, 스페인 마드리드
2011 재인식의 순간, 국회도서관, 서울
2011 Dual Realities,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삼청
2011 Façade –12à Bienal International de Fotografía de Córdoba, Cordoba, Spain
2010 In Between Layers, 갤러리 잔다리, 서울
2008 再現 : 製現, 세오갤러리, 서울
2007 FACADE: face-cade, 갤러리 잔다리, 서울
2006 The Sea I Dreamt – 제16회 포토포 국제 사진 축제 :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2006 The Sea I dreamt, The Light contemporary Gallery, 런던, 영국
2005 My Sea, Goethe Institute, 프랑크푸르트, 독일
2005 Displaced Spaces- ‘Blue Jungle’ , Selasar Sunaryo Art Space, 인도네시아, 반둥
2004 The Sea I Dreamt : 제10회 국제 사진, 영상 비엔날레 ‘Houston Fotofest 2004’, Huston Fotofest Headquarters gallery, 텍사스, 미국
2002 바다에서 꿈꾸다, 스페이스 사진, 서울
1999 나의 바다, 인데코 갤러리, 서울

주요 그룹전
2014 By Destiny, 아라리오 뮤지엄 동문모텔 Ⅰ,제주
.........Day and Night in Seoul, K11 Art Museum,중국 상하이
.........Art Flash, KIAF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Interactive 특별전 – COEX, 서울
.........기원, 기억, 패러디-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문화예술회관, 한국
.........Basically. Forever, 일본 도쿄도 사진 미술관
.........Changing Landscapes, Wandering Stars, 주 아세안 대한민국 대표부 주최,인도네시아, 자카르타
.........‘Sport. City, Future’ PHOTOVISA in MOSCOW, ROSIZO State Center for Museums and Exhibitions, 러시아
.........Animamix, 상하이 현대 미술관, 중국 상하이
.........돌아다니는 시각, 서울대학교 미술관
.........Animamix, 칭화대학교 미술관, 중국 베이징,
.........사진과 미디어, 새벽: 4시, 서울시립미술관
2013 사진의 눈,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Parallax ASEAN (ASEAN-Korea Cultural Exhibition 2013), 블루스퀘어, 서울
.........New Photograph in Korea, Galerie Paris- Beijing, Hotel Winssinger, 벨기에 브리쉘
.........The Zizek / Badiou Event of Philosophy, 쿤스트할레 플라툰, 서울
2012 Dislocation, 대구미술관
.........우리[WOO:RI], TINA B. Prague Contemporary Art Festival, Prague, Czech Republic
.........Outside of Garden – ‘The Cityscape as Still Life’ : 부산비엔날레 특별전
.........Land Art Mongolia Biennial 360º – 제2회 몽골리아 대지미술 비엔날레
.........Ikh Gazriin Chuluu – 고비사막 & 몽고 근대 미술관, 울랑바트르
.........Art Project 2012: Communion, COEX : 핵안보 정상회의 2012 미디어센터, 서울 – 국립현대미술관 기획)
2011 에필로그: 경계에 서다, 경기도 미술관, 안산
.........MoA Picks 2011, 서울대학교 미술관
.........Our Magic Hour , 2011 요코하마 트리엔날레, 일본 요코하마 미술관
.........거북이 몰래 토끼야 놀자, 경기도 미술관, 안산
.........Fotografias-Coleção Joaquim Paiva, Museu de Arte Moderna, Rio de Janeiro, 브라질
.........생활의 목적, 포항시립미술관, 경상남도 포항
.........다중감각, 사비나 미술관, 서울
2010 만레이와 그의 친구들의 사진전, 서울시립미술관
.........거꾸로 달리는 시계, 월전미술관, 경기도 이천
.........Chaotic Harmony: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Santa Barbara Museum of Art (SBMA),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아케이드 프로젝트, 인터알리아, 서울
.........Maden Pictures, 아라리오 갤러리, 충청남도 천안
2009 Chaotic Harmony: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Museum of Fine Arts, Houston (MFAH), 텍사스, 미국
.........Photography is Dead, Three White Walls Gallery, 영국 버밍험
.........현대미술로서의 사진 (The Photograph as Contemporary Art), 두산 갤러리, 서울
2008 Then & Now - Memories of the Future 2008 대구사진비엔날레, EXCO, 대구
.........Olympic & Love, 중국, 핑야오 사진 페스티벌
2008 Escenarios Emocionales (PHotoEspaña : Blanca Berlín Galería), 스페인 마드리드
2007 경기도미술관 신소장품전-작품의 재구성,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7 The Alchemy of Shadows – The 3rd Lianzhou International Photo Fesitval, Granary Factory, 중국 렌저우
.........Pass the Picture, Goethe Institute, 독일 베를린
.........Mysteries, Secrets, Illusions – Kaunas Photo07, Kaunas Picture Gallery, M.K.
.........Ciurlionis National Museum, 리투아니아, 카우나스
.........Co-exist, Foil Gallery, 일본, 도쿄
.........In Touch of the Present–Korean Artists Collaboration, Wada Fine Arts, 일본,도쿄
.........Photography – 寫眞 : 四眞 : 詐眞, 갤러리 터치아트, 헤이리
2006 당인리 문화 공장, 쌈지스페이스, 서울
.........Obsesiones - Obras de la Colección Fotográfica del MNBA,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_KOREA NEW DAYS, Dome Unenia,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Descubrimientos PHE – Photo Espana 2006, Antiquo Matadero de Leqazpi, 마드리드, 스페인
2005 Winter wonderland, Fotografie Forum international, 독일, 프랑크푸르트
.........Three Views: Korean Photography, De Santos Gallery, 미국, 휴스턴
Club Paradiso) - Jamming with Photography , 키요사토 사진 미술관, 일본, 야마나시현, 키요사토
2004 The Flow - 제 5회 국제 이미지 페스티벌 ‘Rhubarb-Rhubarb’ 기획 전시,Mailbox Gallery, 버밍험, 영국
2003Photographs by the Next Generation: Young Portfolio Acquisitions 2002, 키요사토 사진 미술관, 일본, 야마나시현, 키요사토
2002 I International Encounter ‘Artists for Peace’, 이슬람 문화센터, 마드리드, 스페인
2001 Photographs by the Next Generation Young Portfolio Acquisitions 2000, 키요사토 사진 미술관, 야마나시현, 일본
2000 사진학 개론 - 인물과 풍경, 아트선재미술관, 경주 & 아트선재센타, 서울

레지던스 프로그램
2013 The Arctic Circle Program (스발바드 국제 영토 및 북극해 탐험 원정)
2011 18th Street Arts Center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미국, 산타모니카)
2010 Picture Berlin (베타니엔 쿤스트 하우스, 독일 베를린 )
2008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프랑스, 파리)
2007 Sirius Art Centre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아일랜드 코크 코브)
.........의재 창작 스튜디오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전라도 광주)
2006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프랑스 파리)
2005 CAMAC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프랑스, 노종 쉬 센)
.........UNESCO-Aschberg Bursaries - Selasar Sunaryo Art Space (인도네시아, 반둥)

작품소장
The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Kiyosato Museum of Photographic Arts, 야마나시, 일본 / Selasar Sunaryo Art Space, 반둥, 인도네시아 / Museum of New Mexico (Museum of Fine Arts), 뉴 맥시코-산타페, 미국 / The Photomedia Centre, 펜실바니아, 미국 / SPACE Group, 서울 / 국회도서관, 서울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서울시립미술관 / 서울대미술관 / 대구미술관 / 하나은행, 서울 / OCI Museum, 서울 / 공간 사옥, 서울 /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 / 서울대학교 미술관, 한국 / 아라리오 컬렉션, 한국

설치 작업 프로젝트
2013 Lincoln Reimagine Project (서울 강남 도산공원, 링컨 매장)
2013 Small City in Hyundai (서울 현대백화점, COEX, )
2012 Tandem Sequence (서울 창경궁 선인문)
2012 Small City in Doosan Art Center (서울 두산아트센타)
2011 Tandem Sequence (남한산성 행궁)
2011 Small City in Garden 5 (가든 5, 서울 장지동)
2011 OPEN Water (18th Street Art Center, 산타모니카, 미국 캘리포니아)
2010 New World Square (아라리오 야외 조각공원 - 천안 신세계 백화점 광장)
2010 Melting Space ( 고양문화재단 어울림 미술관, 일산)
2010 RE(Wrapping + Eco Bag)Cycling Project (갤러리 잔다리, 서울)
2009 How to Lie with SPACE, (공간 스페이스, 서울)


TAG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