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65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전시제목 The heart of child
전시기간 2015. 4. 1 ~ 4. 14
전시장소 갤러리 나우 gallery Now
갤러리 주소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39, 관훈동 성지빌딩 3F
갤러리 홈페이지 http://www.gallerynow.com
The human life is a hard journey to pursue constant questions and answers about fundamental doubts originated from one's own deep inside and conditions surrounding oneself. In the process, deep meaning of human existence and meaning of the fundamental life are deepened and expanded. But I seem to give up questioning about the fundamental doubts to say nothing of answering.
  • ⓒ박대조 Dae-cho Park
    A wild flower 10_60x90cm_화강석에 음각후 먹 +아크릴_2009
  • ⓒ박대조 Dae-cho Park
    Hero1(점묘음각)_825x620_대리석+아크릴+먹+ 혼합재료+스틸_2008
  • ⓒ박대조 Dae-cho Park
    Hope 8 _68.3x110cm_Transparency+change lense+light box+change color _2010
  • ⓒ박대조 Dae-cho Park
    Human, Nature _100x150Cm
  • ⓒ박대조 Dae-cho Park
    Maternal love_115x91cm_Transparency+입체렌즈+light box+change color _2010
  • ⓒ박대조 Dae-cho Park
    기도_ 128x101Cm_비단위에 채색+배면조명+색상변환장치_ 2012
  • ⓒ박대조 Dae-cho Park
    기도_128x122Cm_비단위에 채색+배면조명+색상변환장치_2012
  • ⓒ박대조 Dae-cho Park
    나는 누구인가 _120x180Cm_비단위에 채색+배면조명+색상변환장치_2012
  • ⓒ박대조 Dae-cho Park
    누구를 위하여_62x83cm_대리석에 음각후 채색_2008_800
  • ⓒ박대조 Dae-cho Park
    동심_113x108Cm
  • ⓒ박대조 Dae-cho Park
    염원_110x104cm_ Transparency+입체렌즈+light box+change color
  • ⓒ박대조 Dae-cho Park
    염원29_60x60cm_mix medeia in light box_2010
  • ⓒ박대조 Dae-cho Park
    태안기름유출_100x75cm_대리석에 음각후 채색_2008
조각과 회화, 사진이 결합된 독자적 인물화 작업으로 알려진 박대조의 개인전 ‘The heart of child’가 갤러리 나우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대리석위의 음각과 먹, 아크릴 등을 이용했던 이전 작품을 비롯해, 그래픽 이미지로 전환된 사진 이미지를 비단위에 다시 그려 넣고 뒷면에 LED조명을 첨부한 근작까지 그간의 박대조의 시도와 도전을 집약한 15점을 선보인다. 작가는 의도치 않아도 쉽게 직면하게 되는 현세계속의 묵시적 폭력성을 철모르는 아이의 눈동자 속에 직접 대면시킴과 동시에 동시대의 주체이자 주제인 아이의 무표정을 통해 현시대를 살아가는 어른들을 향한 비판적 역설로 그 절박함을 전하고 있다. 독특한 재료만큼이나 섬세하고 세련된 완성기법, 묵직한 메시지 뒤에 담겨진 현상(現狀)에 대한 작가의 예술관과 직면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오는 4월 1일부터 14일까지 이어진다.
갤러리 나우
The human life is a hard journey to pursue constant questions and answers about fundamental doubts originated from one's own deep inside and conditions surrounding oneself. In the process, deep meaning of human existence and meaning of the fundamental life are deepened and expanded. But I seem to give up questioning about the fundamental doubts to say nothing of answering. For me, working for the pieces is the philosophy of life which realizes through constant re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continuous conversation with my internal self. ...I think again that if someone discovers the truth, it is not added up and even if nobody discovers it, it does not disappear, truth is always on its place. This is the lesson that the principle of leaving nature as it is gives to me. I want to be aware of my existence while I am drawing paintings and discover what the truth is in front of my paintings. I name that constant new challenge and trial are my mission and fate. ...Human life is present in time. Each different life breeds individuality of human beings and the individuality becomes the origin of creativity. During the long winter, we feel cold wind and wait a warm spring and before you know it, we wait a cool fall in the hot summer. That is, passing by, waiting, time goes by like that. Human life which is hard and difficult continues permanently in this time of the day. I draw paintings thinking the value of the day in this time. This is the reality of life. The stone is a fossil of nature on which human time is carved. I bring stones which observe quietly the human beings living in the quietly sleeping world for eternity into the real world and draw me and the human beings on the stones.
Les photos posées m'intéressent peu. Je recherche toujours le naturel dans les attitudes pour mes prises de vues. Je privilégie souvent le mouvement aux attitudes figées. Pour moi un portrait ne doit pas être une photo de passeport mais doit refléter les sentiments du modèle.

Park, Dae-cho
…내면은 텅 비고 삭막하고 고통스러운 현대인의 삶. 현대인의 정체성과 실존 의문에서 출발한다. 사라지고 생기고 보고 보이고...나는 너와 별개가 아니고 세계는 관계하며 공존한다. 현대인의 존재 물음부터 개인 혹은 사회 부조리에서 비롯된 갈등과 인간욕망에 의해 상처 입은 자연과의 관계모색을 나타내려한다.
노장(老莊)사상의 “무위자연(蕪爲自然)”은 자연의 이치를 깨달아 자연과 조화스러운 삶을 영위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 본인의 작업은 이러한 “자연으로의 회귀와 自然과 인간의 合一된 세계인 천지인합일(天地人合一)적 본능의 바탕에서 시작된다.
인간의 삶은 자기를 둘러싼 주변 조건들과 자기 내부의 깊은 곳으로부터 발생하는 근원적인 의문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과 해답을 추구하는 힘든 노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인간 실존의 깊은 의미와 근원적 생의 의미를 확대 심화시켜 나아가는 것이다. 하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나는 그러한 본질적인 의문에 대한 해답은 고사하고 질문을 던지는 것조차도 포기해버린 것 같다. 내게 있어 작품 활동은 자기 내부와의 끊임없는 대화와 자연과의 지속적인 반응과 소통을 통해서 깨달을 수 있는 삶의 철학인 것이다.
…인간의 삶은 시간 속에 존재한다. 제각기 다른 삶은 인간의 개성을 낳고, 그 개성은 창조력의 근원이 된다. … 기다리며, 시간은 그렇게 지나가는 것이다. 어렵고 힘든 인간의 삶도 이러한 하루하루의 시간 속에서 영속적으로 이어진다. 나는 이러한 시간 속에서 하루의 가치를 생각하며 그림을 그린다. 이것은 삶의 리얼리티이다. 돌은 이러한 인간의 시간을 자연에 새겨놓은 화석이다. 억겁의 시간동안 조용히 잠들어 있던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들을 조용히 관망하던 동심을 현실 세계로 끌어와서 나를, 인간을 그려 넣는다.

박 대 조
박대조 - 돌의 피부에 서린 천진한 얼굴

박영택(경기대교수, 미술평론)

수묵을 이용한 산수화와 대리석이 지닌 자연적인 무늬와 색상을 이용, 그 무늬의 결을 따라 산수이미지의 자취를 쫓던 것이 박대조의 그간의 작업이었다. 그러나 근작은 이전과는 무척 다른 지점에서 전개되고 있다. 그는 필에 의한 그리기와 대리석이란 오브제를 이용한 작업 대신에 사진을 활용하고 있다. 사진이란 레디메이드와 돌이란 오브제를 쓰고 있는데 그 사진을 대리석 표면에 독특한 장치로 올려놓고 연출해 새로운 장면, 상황을 만들어내고 있다. 사진은 하나의 회화 재료로 구사되고 있고 대리석/돌이란 재료, 표면은 여전히 매력적인 물질이자 그만의 작업언어와 방법론으로 기능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사진이미지와 회화의 접목, 그리고 이를 돌/돌의 피부 위에 올려놓아 독자한 사진 상태를 흥미롭게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그것은 일반적인 사진프린트기법에서 벗어나 사진오브제, 혹은 사진의 물질화, 조각화라는 새로운 지점으로 나아간다.

그는 어린아이의 얼굴을 촬영한 후 이를 확대했다. 아이들은 커다란 눈을 뜨고 우리를 바라본다. 아이의 커다란 눈이 전면적으로 다가온다. 티없이 맑고 순수한 영혼이 아이의 얼굴 표정에 드리워져 있다. 보는 이의 시선이 그 아이의 시선과 일치하는 지점에 놓여진다. 흑백의 사진에 들어온 이 얼굴, 커다란 눈동자는 침묵 속에 우리를 응시한다. 익명의 아이들 눈동자에는 또 다른 장면이 개입되어 있는데 크게 두 가지 종류의 이미지가 그려져 있거나 콜라주되어 있다. 우선 전쟁이나 공포스러운 상황을 암시하는, 다분히 종말론적이고 세기말적인 상황을 암시하는 풍경이 그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전쟁과 테러, 생태파괴와 환경오염 등을 보여주는 이미지는 어리고 착한 아이의 눈에서 불꽃처럼, 섬광처럼 분출한다. 단색 톤의 사진이미지에서 유독 그 부분만은 강렬하게, 눈에 띠는 색채를 지닌 체 박혀있다. 티없이 맑은 얼굴로, 무방비로 다만 그 장면을 고요함 속에서 바라보고만 있는 아이의 심정과 내면을 관자들로 하여금 유추케 한다. 어른의 세계가 저지른 비극과 참화를 아이들은 다만 바라볼 뿐이다. 그러나 그로인한 대가와 피해는 고스란히 이 아이들의 어깨에 내려앉아있다.

한 축으로는 그와 상반된 이미지들이 스며들어있다. 밝고 긍정적이며 낙관적인 미래에 대한 은유적인 이미지가 그것이다. 극단적인 세계상, 현실상황이 아이들의 눈동자 안에서 번갈아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눈동자의 홍채 대신에 스며든 이 이미지들은 마치 눈동자에 비친, 아이들이 바라보고 있는 바로 앞의 장면을 투사하는 한편 아이들에게 닥친 비극적, 긍정적 세계상을 보여주는 가공의 풍경연출이다. 그에게 사진이란 작업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이미지를 재현해주는 한편 현실상황을 강하게 암시하는 매개로 활용된다. 현대 사회의 여러 모순과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들추어내기 위한 효과적인 오브제이미지로 사진이 개입된다. 동시에 흑백사진이미지는 수묵에 익숙한 그에게 그와 유사한 미감으로연결된다.....(중략)

돌은 영속성과 굳건함, 아득한 시간의 결들을 함축하고 있는 물질이다. 그 물질이 연약한 아이의 얼굴과 눈을 담고 있다. 사실 인간의 연약한 살과 유한한 목숨을 돌 위에 그리는가 하면 아예 돌 자체에 각인하고자 한 것은 유한한 인간의 삶, 소멸의 두려움을 돌로 극복하고자 했던 욕망을 말한다. 그것이 이미지의 기원이었을 것이다. 박대조는 새삼 그 재료와 사진이미지를 결합해서 새로운 화면을 만들었다. 동양의 전통사상과 재료의 흔적에 첨단의 방법론이 결합되어 이룬 작업인데 그 안에 천진한 아이의 얼굴/눈에 현대문명으로 인해 초래된 참화와 공포를 담담히 비추어내고 있다. 서늘한 돌의 피부가 그 장면을 영원히 각인하듯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