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2015.01.05 19:52

Jaegu Kang 강재구 - 12mm

조회 수 870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 ⓒJaegu Kang 강재구
    12mm#1, 의정부306보충대, 한용진, 21살, 2011.06.14,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 논선훈련소, 이지호 21살, 2011.06.02,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1, 의정부306충대, 이대근 장동욱 이정해, 21살, 2011.08.02,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2, 의정부306보충대, 이대근 이정해 , 21살, 2011.09.20,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4-1, 논산훈련소, 권재욱 이효연, 20살, 2011.10.24,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4-2, 논산훈련소, 권재욱, 20살, 2011.11.14,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5-1, 논산훈련소, 조성용 홍석민, 20살, 2011.06.2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5-2, 논산훈련소, 홍석민, 20살, 2011.08.16,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6, 의정부306보충대, 박경덕, 24살, 2011.11.15,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7-1, 의정부306보충대, 이성희 김태호, 20살, 2011.11.15,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7-2, 의정부306보충대, 이성희 김태호, 20살, 2011.11.15,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8, 춘천102보충대, 청기, 20살,2011.11.01,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9-1, 논산훈련소, 유시현 한동식, 20살, 2011.10.31,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9-2, 논산훈련소, 한동식, 20살, 2011.11.15,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0, 논산훈련소, 김원식, 21살, 2011.12.17,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1, 논산훈련소, 김연, 22살, 2011.12.04,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2-1, 논산훈련소, 김환희 김교민 한주혁 최인규 강상준, 20살, 2011.10.31,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2-2, 의정부306보충대, 김환희 김교민 최인규 강상준, 20살, 2011.12.2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3, 의정부306보충대, 김건우, 20살, 2011.05.31,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4, 의정부306보충대, 김동규, 22살,201105.17,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5, 논산훈련소, 김준영, 22살, 2011.06.2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6, 논산훈련소, 박상우, 21살, 2011.06.02,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17, 논산훈련소, 홍정수, 21살, 2011.06.02, Pigment print,100x145cm,2011
  • ⓒJaegu Kang 강재구
    12mm#18, 의정부306보충대, Pigment print,100x145cm,2011
  • ⓒJaegu Kang 강재구
    12mm#19, 논산훈련소, 정병건, 21살, 2012.05.21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0_1, 의정부306보충대, 김민준, 20살, 2011.05.31,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0-2, 의정부306보충대, 김민준, 20살, 2011.05.31,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1_1, 의정부306보충대, 노석민, 22살, 2011.08.22,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1-2, 인천을왕리해수욕장, 노석민, 22살, 2011.11.26,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2, 의정부306보충대, 김상열, 20살, 2011,05.31,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3, 의정부306보충대, 배철훈, 21살, 2011.06.02,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4, 의정부306보충대, 이병재 21살 2011.09.2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5, 논산훈련소, 최준범, 20살2011.10.1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6, 의정부306보충대, 고성결, 21살, 2011.06.14,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7, 의정부306보충대, 김재경 김현규 남기룡,21살, 2011.05.31,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8, 의정부306부충대, 이명근, 21살, 2011.10.04,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29, 논산훈련소, 박성언, 20살, 2011.10.1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0, 논산훈련소, 2011.12.05,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1, 의정부306보충대, 정지호 한민주, 21살, 2011.06.14,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2, 의정부306보충대, 한민주, 21살, 2011.06.14,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3-1, 논산훈련소, 한진섭, 21살, 2011.10.24,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3-2, 동서울터미널, 한진섭, 21살, 2011.12.1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4, 논산훈련소, 2011.05.16,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5_1, 논산훈련소, 이영식 유인상 이재혁 이호규, 20살, 2011.10.24,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5-2, 수료식, 이영식 유인상 이재혁 이호규, 20살, 2011.11.3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5-3, 논산훈련소, 유인상 이영식 이호규, 20살, 2011.12.05,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5-4, 수료식, 이영식, 21살, 2012.01.11,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5-4, 춘천102보충대, 이호규 유인상, 21살, 2012.01.03,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6-1, 의정부306보충대, 정상엽 박준기 한진용, 21살 ,2011.05.17,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6-2, 논산훈련소, 박준기 한진용, 21살, 2011.06.20, Pigment print, 69x100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6-3, 논산훈련소, 박준기, 21살, 2011.06.20, Pigment print, 100x145cm
  • ⓒJaegu Kang 강재구
    12mm#36-4, 외박휴가, 박준기, 21살, 2011.11.05, Pigment print, 100x145cm
12mm

Before entering the boot camp, a private must cut his hair to 12mm. Hair cutting is the starting point for young men in their 20s to become incorporated into a uniformed and collective military culture. Project [12mm] documents the same person in series before and after the enlistment. Thus it intends to establish a symbolic code penetrating through all previous soldier series including [A Private], [A Reserve Soldier] and [Portrait Shot].
I still remember vividly how it was just before I entered the military. My mother’s face with teary eyes watching my head being shaved, back of my father who tried to hide his tears by simply telling me to be safe. That strange feeling of depressing breakfast on the morning I left for the camp.
The enlistment series is a portrait work of young men in their 20s about to enter the boot camp. Their heads already shaven before entering the gate, the eyes of these young men saying goodbyes to their family, lovers and friends are filled with emotion and resignation to their unavoidable fate simultaneously mixed together with anxiety and conflict about upcoming days at the military. Continuing from the private, reserve force, and portrait shot series, the project returns to the starting point of military service to follow through multi-sided features of the young men about to become soldiers and at the same time dissect through a contemporary section of modern day identity through faces of their friends captured together with them.
12mm

이등병은 입대 전 머리카락 길이를 12mm로 잘라야만 한다. 삭발은 20대 청년들이 획일적이고 집단적인 군대문화로 편입되는 시작점이다. [12mm] 작업은 입대를 전후한 동일 인물을 릴레이로 촬영함으로써 [이등병], [예비역], [사병증명] 등 지금까지의 군인 시리즈 전체를 관통하는 상징적 코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입대를 앞두었던 내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입대 전 삭발을 하는 동안 촉촉해져 있던 어머니의 얼굴과 흘리는 눈물을 애써 감추며 잘 다녀오라는 한마디만 남기셨던 무뚝뚝한 아버지의 뒷모습. 입대하는 아침, 눈물의 밥상을 받아야 했던 낯선 느낌.
입영시리즈는 군대 입소를 바로 앞둔 이십 대 청년들의 초상작업이다. 입대 전 삭발을 한 채 가족, 연인, 친구들과 이별의 시간을 갖는 청년들의 눈빛에는 피할 수 없는 현실에 대한 체념과 애틋함, 동시에 군대 생활에 대한 불안과 갈등이 뒤섞여 있다. [이등병], [예비역], [사병증명] 시리즈에 이어 군대 생활의 시작점으로 다시 돌아가 곧 군인의 신분으로 변화될 이십 대 청년들의 다층적 모습을 추적하고, 그와 함께 포즈를 취한 동년배들 모습을 통해 현대인의 정체성의 한 단면을 바라보고자 한다.

* 사진 설명 속 이름은 왼쪽부터이며, 입영 직전 혹은 입영 후인 사람들의 이름은 굵게 표시했다.
Poses in Front of Complete Discipline

Choi Bong Lim, Photo Critic, Photographer


Kang Jaegu’s [12mm] portrays young soldiers: soldiers whose hair is cut to 12mm, standing before forced army training to obtain that psychological comfort of being a ‘normal’ man as well as moral and legal legitimacy as a Korean national. It is a souvenir photograph of new recruits who go through the initiation to fully understand the rules of military and complete their discipline. It is a social portrait in the form of souvenir pictures revealing certain mental trauma resulting from military discipline and physical effect inscribed by the process. If so, through which and what format does Kang Jaegu visualize effects of such disciplines?
The artist does not ask any demands of his models nor does he try to control them. This is unlike common souvenir photos where models are required to stand and pose in certain position, dressed in costumes fit for the rite. He lets these young men already familiar with souvenir photos pose for themselves. He only decides an appropriate background, moment of shooting and how many people should be nearby. The background may be a barrack at the training camp, or other facilities in the proximity. The main model may be smoking a cigarette, or cuddling his girlfriend. The photo may be a lonesome picture of the boy about to step into the camp by himself, or of a bustling goodbye party for the to-be-soldier. The artist thus shows diverse reactions of young men about to face military discipline. He captures diverse poses taken moments before entering the military, starting from behaviors that are unlikely to be tamed by the discipline to those already standing to well trained attention. The artist has chosen diptych, triptych and polyptych as the format of this project. This is to show the process of how these different young men with no common variables except for their ‘12mm’ hair and the twenty-something age, become assimilated through military discipline. In other words, by laying out the images in order of time, the artist documents how these ‘cynical’ or free-minded young men become ‘correct’ or identical through military discipline and magnify the physical effect imposed by the military. Disorderly hands are now neatly clutched in fists, free postures and blurry facial expressions replaced by poses gazing ‘straight’ ahead. Take a look at the shooting dates the artist has entered and you will be surprised how effective military discipline can be. A month, or three at the most is all the time needed to correct ‘unfavorable’ attitudes. Recruit’s body is trained fast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military. Gone are the eyes unsteady and determined the expressions. Weakness transformed into strength. Look at ‘Noh Seok Min, 22, Nov. 26, 2011’. After 3 months of training, ‘Noh Seok Min, 22, August 22, 2011’, a ‘cynical’ boy with tattoos would now honorably protect his loving girlfriend with an adorable puppy from the fierce ocean wind.
Meticulously functioning upon effec-tiveness, military discipline targets at three aims. First is a strong body for the battle, second is completing an obedient mind and third is nurturing exclusive morals devoted to the group. Because of such economic effectiveness and administrative functionality, mechanism of military discipline can be directly and indirectly applied to managing countries, companies, schools or even social clubs. Furthermore, aims of military discipline can be stretched out to virtue of society members. This is so because military service ‘roperly’ teaches ‘reckless’ young people endurance the virtue of healthy labor, obedience the virtue of manners, and loyalty the virtue of organization.
To reach its disciplinary aims the military follows following principles. First is a strict hieratical order that is uncompromisable. Second is reward and punishment rules based on disciplinary achievements. Last is the principle of isolation. Through such seclusion the military drills its members with consolidated sense as a community and exclusive group consciousness, brainwashing that their identity is unique. These three principles that are implemented without an exception gain effective drive power of military discipline from several materialistic factors. First is the training camp, a space for lasting surveillance and control in the form of certain confinement and arrest. Training camp locks up footloose young men and tames them, a gymnasium to shape up feeble body and mind. Second materialistic factor is the ‘12mm’ hair and military uniforms. These two are body shells that intensely contain and control conscripts by standardizing their mind and looks, integrating its members’ reason of being. The moment they are summoned to the training camp with hair cut to 12mm, and the moment they are named as soldiers through uniforms, the young man deletes his personality shown through his own clothes and begins to recognize himself a subject of discipline and surveillance. As a result, Kang’s consecutive photos of before and after the enlistment carry out the task of explicitly comparing the crisis of identity and independence young Korean men go through during the process of military discipline. There are also an alternative photographic message hidden within. As witnessed from polyptych ‘Lee Youngshik, Yu Insang, Lee Jaehyuk, Lee Hogyu, 20, Oct. 24, 2011’, ‘Lee Youngshik, Yu Insang, Lee Jaehyuk, Lee Hokgyu, 20, Nov. 30, 2011’, ‘Yu Insang, Lee Youngshik, Lee Hogyu, 20, Dec. 05, 2011’, and ‘Lee Hogyu, Yu Insang, 20, Jan. 03, 2012’, enlistment of Lee Jaehyuk and another enlistment of his friend Lee Youngshik followed by Lee Hogyu who sent off Lee Youngshik to the military, clearly visualize the coercion, inevitability and endless repetition of Korean military duties.
Kang Jaegu’s [12mm] is a scenery depicting coming-of-age happening at a training camp, an event indigenous to Korea alone. From outside the barracks the project recreates the religion initiation-like process of a military man enlisting then to become a private. Soldiers get a 12mm haircut similar to a Jewish circumcision or Buddhist tonsure and bid farewell to their loved ones. Then after finishing a series of training full of loneliness and anxiety, they shed their shell of ‘reckless’ self to report the birth of an enduring body and a self devoted to the transcending fidelity for his country with a ‘right’ view and posture. This painful rite of passage piercing through me, my friend and friend of a friend does in fact provide a basis for unusual hierarchy, manners and collective mind of Korean society. Applied to the conventional management principles for social groups, military discipline has suppressed coming of democracy and revelation of individualism while contributing to Korean economy’s effective development in and out. As proved by Kang Jaegu’s 2012 photography project [12mm], the effect of military discipline seems to live on even today, where democracy has been fulfilled and individualism has become an everyday principle for all generations.
However, it is the artist Kang Jaegu himself who points out military discipline’s weakness and fabrication. [Reserved Forces] exhibited in 2004 had shown that such attempts of military discipline can never be perfected nor last forever. Consecutive images revealing the same person’s change of posture from [12mm] and perfected tamed body from [Private] have proved how effectively military discipline can function. Yet as the artist points out, the ‘reserved forces’ would all the same “show their own color within a unified and systemized clothing called uniforms” and “display small protests against the military in their own style.” Such ‘color and protest of their own’ are strong elements that deteriorates from the inside those rules sustaining the disciplinary system of the military: the mind obedient and devoted to the group. If Kang Jaegu’s photographic statement can be accepted as it is, the effect of military discipline starts from [12mm], hitting its climax with [Private] then shows an evident down slide when it comes to [Reserved Forces]. Nevertheless, let’s not think less of military discipline. Training of ‘reserved forces’ continues on in work training, work assessments and student records and attempts are made to see its completion at a place other than ‘reserved forces’. To achieve prosperity of the company and their children’s successful entrance to the college and a life thereafter, the Korean elders who can never forget the trauma of discipline they received at the training camp try to discipline their workers, students and children in a ‘military’ way even after they are excused from the ‘reserved forces’. Thus military discipline fulfills its duty when ‘reckless’ young men are trained ‘correctly’ through conscription. If they are ‘properly’ trained as those young men from [12mm], they will in the future consistently seek to complete the discipline they had failed to achieve during the years as ‘reserved forces’ at their workplace and homes.
훈육의 완성 앞에 선 포즈들

최봉림(사진평론가, 작가)


강재구의 [12mm]는 ‘정상적’ 남자라는 심리적 안정성과 국민으로서의 도덕적, 법률적 합당성을 얻기 위해 ‘12mm’로 머리를 자르고 군이 행하는 강제 훈육 앞에 선 장정군(壯丁軍)의 초상이다. 완전한 군 규율의 습득과 훈육의 완성을 향해 통과의례를 거치는 신병들의 기념사진이다. 군 훈육이 남긴 일종의 정신적 충격과 그 과정이 각인한 육체적 효과를 기념사진의 형식으로 드러내는 사회적 초상이다. 그렇다면 강재구는 무엇을 통해, 어떤 형식으로 그 훈육의 효과들을 가시화하는가?
작가는 모델의 위치와 자세 그리고 의식에 부합하는 복장을 요구하는 일반의 기념사진과는 달리, 모델들에게 그 무엇도 요구, 통제하지 않는다. 기념사진에 익숙한 젊은이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포즈를 연출하도록 내버려둔다. 작가는 다만 적절한 배경과 촬영의 순간, 주변 인물들의 수를 결정할 뿐이다. 배경은 훈련소 막사 앞일 수도 혹은 그 주변 시설일 수도 있고, 주인공은 담배를 피우거나 혹은 애인을 감싸 안을 수도 있다. 그리고 홀로 찍은 쓸쓸한 입영사진일 수도 혹은 왁자지껄한 송별 사진일 수도 있다. 그리하여 작가는 군 훈육 앞에 선 젊은이들의 여러 반응들을 보여준다. 군 훈육에 길들여질 것 같지 않은 행태로부터 이미 훈육된 부동자세에 이르기까지 입영 앞에 선 다양한 포즈들을 포착한다.
작가가 이번 작업을 위해 2매1조, 3매1조, 폴립티크 등의 형식을 택한 것은 오직 ‘12mm’와 20대라는 것 외에는 별다른 공통점이 없는 여러 다양한 청년들이 군 훈육을 통해 동질화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다시 말해 시간의 순서에 따른 이미지의 병치를 통해 작가는 ‘삐딱한’ 혹은 자유분방한 태도의 장정군들이 군 훈육을 통해 ‘옳은’ 혹은 획일적인 자세로 변해 가는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군대가 부과한 신체적 효과를 부각시킨다. 흐트러졌던 손은 일반적으로 가지런히 주먹을 쥐고, 자유분방한 자세와 어정쩡한 표정은 이제 정면을 ‘바르게’ 응시하는 포즈로 대체된다. 작가가 기록한 촬영일시를 보면 군 훈육의 효율성에 놀라게 된다. ‘좋지 못한’ 태도를 교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한 달 혹은 석 달이면 충분하다. 신병의 신체는 군의 필요성에 맞춰 빠르게 훈육된다. 불안한 시선은 사라지고 표정은 확고해진다. 연약함은 강인함을 향해간다. ‘노석민 22살, 2011. 11. 26’을 보라. 문신을 했던 삐딱한 ‘노석민 22살 2011. 08. 22’은 3개월의 군 훈육을 통해 이제는 예쁜 강아지를 사랑하는 애인을 세찬 바닷바람 속에서도 의연히 보호하지 않겠는가?
효율성에 의거하여 면밀하게 작동하는 군 훈육은 다음 세 가지를 목표로 삼는다. 첫째는 전투를 위한 강건한 육체, 둘째는 복종하는 의식의 완성, 셋째는 집단에 헌신하는 배타적 도덕성의 함양이다. 그리하여 군대의 훈육 메커니즘은 그 경제적 효율성, 조직 관리의 유용성 때문에 국가, 기업, 학교 심지어는 동아리의 운영에도 직간접적으로 적용된다. 더 나아가 군 훈육의 목표는 사회인의 덕목으로도 연결된다. 군복무는 건강한 노동의 덕목인 인내, 예절의 덕목인 순종, 조직의 덕목인 충성심을 ‘철없는’ 젊은이들에게 ‘제대로’ 가르치기 때문이다.
훈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군대는 다음의 원칙들을 준수한다. 첫째는 양도할 수 없는 엄격한 위계질서를 원칙으로 삼는다. 둘째는 훈육의 성취도에 의거한 상벌원칙이다. 마지막은 격리의 원칙이다. 이 고립을 통해 군은 그 구성원들에게 획일적인 공동체 의식, 배타적인 집단의식을 주입시키며 그들 신분의 특수성을 세뇌한다. 항상 예외 없이 실행되는 이 세 가지 원칙들은 몇 가지 물질적 요소들에서 군 훈육의 효율적 동력을 얻는다. 첫째는 일종의 감금과 폐쇄 속에서 항구적 감시와 통제를 가능케 하는 훈련소라는 교육 공간이다. 훈련소는 자유방임적인 장정군을 가두어 길들이고, 나약한 육체와 정신을 조련하는 김나지움이다. 두 번째 물질적 요소는 ‘12mm’의 두발과 군복이다. 이 두 요소는 징집병을 강력하게 구속하고 통제하는 신체의 외피로, 정신과 외모를 평준화시키며 구성원의 존재 이유를 통일시킨다. 12mm에 맞춰 머리를 자르고 훈련소에 호출되는 순간 그리고 군복을 통해 군인으로 호명되는 순간, 청년은 머리, 복장을 통해 드러냈던 자신의 개성을 삭제하고 자신을 훈육과 감시의 대상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강재구의 입대 전/후의 연속 사진은 군 훈육과정을 통해 한국 젊은이들이 겪는 정체성과 주체성의 위기를 극명하게 대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숨은그림찾기 식으로 또 다른 사진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폴립티크 ‘이영식 유인상 이재혁 이호규, 20살, 2011. 10. 24’, ‘이영식 유인상 이재혁 이호규, 20살, 2011. 11. 30’, ‘유인상 이영식 이호규, 20살, 2011. 12. 05’, ‘이호규 유인상, 20살, 2012. 01. 03’이 보여 주듯이, 이재혁의 입영과 그의 친구, 이영식의 또 다른 입영, 이영식를 환송한 이호규의 새로운 입영은 한국 병역의무의 강제성, 필연성 그리고 끝나지 않는 반복성을 선명하게 시각화한다.
강재구의 [12mm]는 훈련소를 배경으로 전개되는 한국의 고유한 성년식 장면이다. 입대에서 이등병에 이르는 ‘군바리’의 과정을 병영 밖에서 종교적 통과의례처럼 재구성한 작업이다. 장정군은 유대교의 할례 혹은 불교의 삭발과 유사한 12mm의 이발을 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한다. 그리고 고독과 불안으로 점철된 훈련을 마치면서 ‘철없는’ 자아를 탈각하고 인내하는 육체와 초월적 국가정신에 헌신하는 자아의 탄생을 ‘바른’ 시선과 자세로 통보한다. 나, 나의 친구, 친구의 친구로 이어지는 이 고통의 통과의례는 분명 한국 사회의 특이한 서열규범, 예의범절, 집단의식의 토대를 형성한다. 사회조직의 보편적 운영원칙으로 적용되는 군 훈육은 민주주의의 도래, 개인주의의 발현을 억압하면서, 한국 경제의 효율적 발전에 음으로, 양으로 기여했다. 강재구의 2012년 [12mm]의 작업이 입증하듯이, 군 훈육의 효과는 민주주의가 도래하고 개인주의가 모든 세대의 생활원칙으로 자리 잡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계속되는 듯하다.
그러나 군 훈육의 취약성, 허구성을 지적한 것도 작가, 강재구이다. 2004년에 전시했던 [예비역]은 군 훈육의 시도들이 결코 완성에 이를 수도, 지속적일 수도 없음을 보여줬다. [12mm]의 연속 사진이 드러내는 동일인의 포즈 변화와 [이등병]의 완벽하게 길들여진 신체는 군 훈육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증명했지만, ‘예비역’들은 한결같이, 작가의 말처럼 “군복이라는 획일화되고 조직적인 복장 안에서 자신만의 색을 보여 주면서” “군에 대한 작은 반항심들을 그들만의 스타일로 나타”냈기 때문이었다. ‘자신만의 색과 반항심’은 군의 훈육체계를 지탱하는 규율들, 즉 복종하는 의식과 집단에 헌신하는 의식을 내부로부터 허무는 강력한 요소들이다. 강재구의 사진적 증언을 액면 그대로 믿는다면, [12mm]에서 시작한 군 훈육의 효과는 [이등병]에 이르러 정점을 향하고, [예비역]에 오면 분명한 하강국면에 들어선다. 그러나 군 훈육을 깔보지 말기로 하자. ‘예비역’의 조련은 군 훈육을 벤치마킹한 직장연수, 근무평가, 생활기록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예비역’이 아닌 다른 곳에서 그 완성을 이루려 하기 때문이다. 회사의 번영과 성공적인 대학 진학과 아들의 출세를 위해,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아 훈련소의 훈육을 결코 잊지 못하는 한국의 어른들은 ‘예비역’이 끝나도 부하직원, 제자 혹은 자식을 ‘군대식으로’ 훈육하려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 훈육은 징병제를 통해 ‘철없는’ 청년들을 ‘올바르게’ 교육시키면 그 의무를 완수하는 것이 되는 셈이다. [12mm]에 등장하는 장정군들처럼 ‘제대로’ 교육시키면, 그들은 훗날 ‘예비역’에서 실패한 훈육의 완성을 그들의 직장과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모색할 것이기 때문이다.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