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력
강원 태백 출생
강원관광대학교 산업경영학과 졸업
태백관광개발공사 오투리조트 퇴사
온빛 다큐멘터리 회원
수상경력
2010년 제24회 강원도 사진대전 대상 수상
2013년 제1회 최민식 사진상 특별상 대상 수상
2016년 제6회 온빛 타큐멘타리 사진가상 수상
개인전
2014년 “아버지는 광부였다” 개인전
(서울 인사동 경인미술관6관 7월23일 ~ 7월29일까지)
2015년 기획전 및 개인전 ‘검은 땅 우금(于今)에 서다’
(서울 갤러리 브레송 10월23일 ~ 10월31일)
2016년 “아버지의 그늘” 개인전
(서울 갤러리 브레송 05월06일 ~ 05월20일)
2017년 “아버지의 삶” 개인전
(서울 류가헌 01월10일 ~ 01월22일)
단체전
2014년 대한민국 국회초대전 “웅비하는 대한민국 그러게 말이다”
02.12~02.21 국회의원회관 신관로비 초대전
2014년 “제5차 중국연변 국제사진문화 주간” 초대전
연변 국제 컨벤션 전시 센터
2014년 “2014대한민국 국제포토페스티벌” 초대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 미술관 10월8일~10월15일까지)
2015년 “빠른 세상, 천천히 보기” 제4회 한국리얼다큐사진가회
회원전, (토포하우스 아트센터) 2015.10.7.(수)-13(화)
2016년 “제3회 수원 국제 사진축제“ 특별 초대전
2016,10,01~2016,10,30(수원 제일교회 노을빛 갤러리)
2017년 “미술터미널_작은미술관 기획전시”
2016.12.16.(금)~2017.1.8.(일)-고안사북 터미널
저 서
2014년 “아버지는 광부였다” 사진집 출판
2015년 “검은 땅 우금(于今)에 서다” 사진집 출판
2016년 “아버지의 그늘” 사진집 출판
신문사 연재
한겨레신문(사진마을) : 2015,05,15,~ 2016,09,11일까지 (68회 연재).
http://photovil.hani.co.kr/photographer
방송출연
KBS 황금연못 출연-2016년 1월9일
MBC 생방송 강원365 5회 출연
2017.03.18 23:48
검은 땅 우금(于今)에 서다
조회 수 125 추천 수 0 댓글 0
검은 땅 우금(于今)에 서다
강원도의 내 고향 “태백”
나의 고향이며 향수를 온전히 느낄 수 있는 공간이며, 어린 시절 탄광촌에서 살면서 보고
느끼고 들었던 수많은 기억들이 뇌리에 그대로 보존 되어 있다.
여기 저기 흩어진 석탄 부스러기들이 냇물과 섞여서 거무내가 되어 흐르던 모습,
삼삼오오 모여 출근하고 퇴근하는 광부들의 모습이 어렴풋하다.
가끔 이중교위에 “까시랑카”가 지날 때면 간간이 떨어지는 석탄 부스러기들을 주우러 나갔던 어릴 적 기억과 뒷마당 검은 땅 위에서 술래잡기 하던 그 개구쟁이 시절,
비가 오면 검은 탄들이 흘러 내려 골목길은 질퍽질퍽해서 늘 검은 신발이 되었던 기억을 되짚으며 구석구석을 바람처럼 누비며 다녔었다.
숨소리도 벅찬 낮 시간은 거대한 기계소리와 사람 사는 소리로 왁자지껄 하지만
숨을 죽인 밤이 되면 탄광촌은 또 다른 불빛들이 차지하게 된다.
하얀 가로등이 주인이 되고 사물은 조연이 되어 그저 주시할 뿐이다.
검은 사람들로 검은 도시가 번창하여 인심 또한 넉넉했던 탄광촌은 석탄 사업 합리화 정책이후로 쇠퇴하여 많은 사람들이 탄광촌을 떠났고, 하나 둘 폐업하는 탄광으로 인하여 그 잔해들은 시간을 거꾸로 당기고 있다.
세월의 망상으로 까시랑카의 자국만 남은 목침의 흔적, 그 흔적의 아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땅에서 오른 희뿌연 안개가 쌓인 폐광된 굴은 그 희미한 기억마저 얼음 기둥으로 만들었다.
겨울의 안개를 끊임없이 뿜어대는 저탄장은 근대문화유산의 건재함을 굳게 지켜 나가고
광부 사람들의 집성촌인 “피냇골”은 아늑하고 포근함과 순수함을 그대로 지닌
작은 탄광촌 마을이다.
그 피냇골 입구에서 마음의 평화를 빌어주는 교회는 오늘도 우금의 중심에서 자리하고 있으며 수천 명의 광부를 거느렸던 광업소는 과거의 영광을 놓치지 않으려는 듯 앙상한 잔해의 자존심을 고수 하고 있다.
졸고 있는 가로등 그 곁에서 하얀 가로등은 혹여 강아지의 발자국이 남겨 질세라 밤을 꼬박 지키고 있는 정겨운 모습들,
눈을 피해 갈수 없는 이런 장면 하나하나가 내 고향 태백의 모습들이며
잠자는 사진의 감성을 붙잡아 주는 요소들이다.
그 모든 것들은 카메라의 레이더망을 벗어 날수가 없다는 것과
내일의 태양이 될 불빛들과, 내 고향 장성을 중심으로 탄광촌 주변의 마을을 밤과 낮 그리고 계절마다 누비며 매번 새로운 감성을 담았다.
철암과 장성을 샅샅이 누비면서 알게 된 것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찬란했던 과거를
기억 하고 있다는 거였다.
분진이 날리는 철암 주변의 사진을 담다보면 왠지 긴장되고 숙연해 짐을 느낄 때도 많았으며
그런 날에는 감성을 더욱더 풍부하게 해 주어 그 잔잔함을 그대로 담을 수 있었다
특히 까치발건물은 번성했던 그 시대의 역사적인 산물로써 뭇 사람들로 하여금 심금을 울리고 있다. 수많은 삶의 타래들을 풀어 헤치며 기억된 편린들을 흑백의 묘미로 담았던 것이
낡았지만 흑백이 주는 따뜻하고도 정겨운 이미지들이 과거의 추억들을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했었다.
한 장의 사진이 주는 매력은 실로 엄청나며 셔터를 누르는 순간 그 사진은 온전히
내 것이기도 하지만 또한 사진을 보는 독자의 것이기도 한 것이다.
점점 쇠퇴해져가는 고향의 모습은 실로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지만
그 흔적들을 그리는 사람들로 하여금 아름다운 탄광의 풍경으로 기억되었으면 한다.
사치스럽지 않으며 그렇다고 고풍스럽지도 않지만 검은 삶의 진한 향기가 풍겨져
든든한 여유의 안식처가 되었으면 한다.
검은 땅 우금(于今)에 서다
강원도의 내 고향 “태백”
나의 고향이며 향수를 온전히 느낄 수 있는 공간이며, 어린 시절 탄광촌에서 살면서 보고
느끼고 들었던 수많은 기억들이 뇌리에 그대로 보존 되어 있다.
여기 저기 흩어진 석탄 부스러기들이 냇물과 섞여서 거무내가 되어 흐르던 모습,
삼삼오오 모여 출근하고 퇴근하는 광부들의 모습이 어렴풋하다.
가끔 이중교위에 “까시랑카”가 지날 때면 간간이 떨어지는 석탄 부스러기들을 주우러 나갔던 어릴 적 기억과 뒷마당 검은 땅 위에서 술래잡기 하던 그 개구쟁이 시절,
비가 오면 검은 탄들이 흘러 내려 골목길은 질퍽질퍽해서 늘 검은 신발이 되었던 기억을 되짚으며 구석구석을 바람처럼 누비며 다녔었다.
숨소리도 벅찬 낮 시간은 거대한 기계소리와 사람 사는 소리로 왁자지껄 하지만
숨을 죽인 밤이 되면 탄광촌은 또 다른 불빛들이 차지하게 된다.
하얀 가로등이 주인이 되고 사물은 조연이 되어 그저 주시할 뿐이다.
검은 사람들로 검은 도시가 번창하여 인심 또한 넉넉했던 탄광촌은 석탄 사업 합리화 정책이후로 쇠퇴하여 많은 사람들이 탄광촌을 떠났고, 하나 둘 폐업하는 탄광으로 인하여 그 잔해들은 시간을 거꾸로 당기고 있다.
세월의 망상으로 까시랑카의 자국만 남은 목침의 흔적, 그 흔적의 아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땅에서 오른 희뿌연 안개가 쌓인 폐광된 굴은 그 희미한 기억마저 얼음 기둥으로 만들었다.
겨울의 안개를 끊임없이 뿜어대는 저탄장은 근대문화유산의 건재함을 굳게 지켜 나가고
광부 사람들의 집성촌인 “피냇골”은 아늑하고 포근함과 순수함을 그대로 지닌
작은 탄광촌 마을이다.
그 피냇골 입구에서 마음의 평화를 빌어주는 교회는 오늘도 우금의 중심에서 자리하고 있으며 수천 명의 광부를 거느렸던 광업소는 과거의 영광을 놓치지 않으려는 듯 앙상한 잔해의 자존심을 고수 하고 있다.
졸고 있는 가로등 그 곁에서 하얀 가로등은 혹여 강아지의 발자국이 남겨 질세라 밤을 꼬박 지키고 있는 정겨운 모습들,
눈을 피해 갈수 없는 이런 장면 하나하나가 내 고향 태백의 모습들이며
잠자는 사진의 감성을 붙잡아 주는 요소들이다.
그 모든 것들은 카메라의 레이더망을 벗어 날수가 없다는 것과
내일의 태양이 될 불빛들과, 내 고향 장성을 중심으로 탄광촌 주변의 마을을 밤과 낮 그리고 계절마다 누비며 매번 새로운 감성을 담았다.
철암과 장성을 샅샅이 누비면서 알게 된 것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찬란했던 과거를
기억 하고 있다는 거였다.
분진이 날리는 철암 주변의 사진을 담다보면 왠지 긴장되고 숙연해 짐을 느낄 때도 많았으며
그런 날에는 감성을 더욱더 풍부하게 해 주어 그 잔잔함을 그대로 담을 수 있었다
특히 까치발건물은 번성했던 그 시대의 역사적인 산물로써 뭇 사람들로 하여금 심금을 울리고 있다. 수많은 삶의 타래들을 풀어 헤치며 기억된 편린들을 흑백의 묘미로 담았던 것이
낡았지만 흑백이 주는 따뜻하고도 정겨운 이미지들이 과거의 추억들을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했었다.
한 장의 사진이 주는 매력은 실로 엄청나며 셔터를 누르는 순간 그 사진은 온전히
내 것이기도 하지만 또한 사진을 보는 독자의 것이기도 한 것이다.
점점 쇠퇴해져가는 고향의 모습은 실로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지만
그 흔적들을 그리는 사람들로 하여금 아름다운 탄광의 풍경으로 기억되었으면 한다.
사치스럽지 않으며 그렇다고 고풍스럽지도 않지만 검은 삶의 진한 향기가 풍겨져
든든한 여유의 안식처가 되었으면 한다.